19감수,22관균,27관중,14구문,36귀구,9길경,40난여,34낭독,10낭탕자,42녹곽,24대극,7대황,4반하,23백급,35백두옹,20백렴,1부자,15사간,16사함,31상륙,44석장생,12선복화,46신초,29아자,37양도,32양제,30양척촉,13여로,38여청,39연교,6연미,41오구,2오두,28요화,47우편,49원화,45육영,26인우,8정력,43조휴,3천웅,21청상자,11초호,18촉칠,25택칠,33편축,48하고초,17항산,5호장
1.부자附子,미나리아제비과 오두ACONITUM CARMICHAELI DEBX(재배품)의 옆에 자라는 덩이뿌리이다.맛은 맵고 성질은 따뜻하다.주로풍한으로 인한 기침과 사기를 치료하고 속을 덥혀주며 쇠붙이에 상한 것을 치료하고 징가, 단단한 적취를 부순다.혈가-뱃속에 있는 血塊피덩어리를 없애고 한습으로 발을 절뚝거리는 병,경련과 무릎의 동통으로 걸을 수 없는 증상을 치료한다.내복시 1-3돈을 달여서 마시거나 환약 또는 가루약으로 만들어 쓴다.외용시 가루내어 붙인다.지담을 사약으로 쓴다.오공,방풍,감초,황기,인삼,오구,대두를 꺼린다.음허양성하고 眞熱假寒진열가한이 있는 자 및 임산부는 금한다.혈당강하,혈압상승
하74.부자(附子)
성질은 몹시 열하고[大熱] 맛은 매우며 달고[辛甘] 독이 많다. 3초를 보하고 궐역(厥逆)과 6부(府)에 있는 한랭과 한습으로 위벽증(痿躄證)이 생긴 것을 낫게 한다. 유산시키는 데는 모든 약 가운데서 가장 좋다.
○ 오두(烏頭), 오훼(烏喙), 천웅(天雄), 부자(附子), 측자(側子)가 다 한 가지 식물이다. 모양이 까마귀 대가리 같은 것을 오두라 하고 두가닥진 것은 오훼라 한다. 가늘고 길이가 3-4치 되는 것을 천웅이라 하며 뿌리겉에 토란과 같이 붙어 있는 것을 부자라 한다. 겉에 연달아 난 것을 측자라고 한다. 이 5가지 약은 같은 데 생기는데 이름만 다르다[본초].
○ 부자가 작은 것은 약 힘이 약하고 큰 것은 성질이 사납고 20g쯤 되는 것이 좋다[단심].
○ 옛날 의학책에는 큰 부자로서 무게가 40g인 것을 쓰면 그 힘이 크다고 하였다. 대개 쓸 때에는 반드시 싸서 터지도록 구워 껍질과 배꼽을 버리고 쓴다[단심].
○ 쓸 때에 동변에 담갔다가 달여셔 쓰면 내려가는 힘이 좋아진다.
○ 본래 수소양명문(手少陽命門)과 3초의 약이다. 모든 경맥을 다 돌기 때문에 높은 데나 중간이나 낮은 데나 가지 못하는 곳이 없다[입문].
○ 감초, 인삼, 생강을 배합하면 그 독이 없어진다[입문].
2.오두烏頭-草초오두,미나리아제비과오두-바곳의야생종ACONITUM CARMICHAELI DEBX,북오두A.KUSNEZOFFII RCHB의 까마귀 머리같이 생긴 덩이뿌리이다.맛은 맵고 성질은 따뜻하다.주로 중풍,악풍-뇌졸증을 치료하고 땀을 나게 하고 한습비,기침과 기가 치미는 것을 제거하고 적취를 부수고 한열을 없앤다.오훼,망초를 사약으로 한다.반하,괄루근,패모,백렴,백급과 반한다.질려를 꺼린다.내복시 0.5-2돈을 달이거나 환제,산제로 복용한다.외용시 신선한 것을 가루내어 개어서 바른다.또는 식초와 술을 가하여 함께 갈아서 바른다.신체가 쇠약하거나 임산부,음허로 화가 왕성하거나 열증과 통증이 있는 경우 금기이다.날 것은 복용에 주의해야 한다..혈압강하,혈당강하
하75.오두(烏頭)
성질은 몹시 열하고[大熱] 맛은 매우며 달고[辛甘] 독이 없다. 풍, 한, 습으로 생긴 비증(痺證)을 낫게 하고 가슴 위에 있는 냉담(冷痰)을 삭게 하며 명치 아래가 몹시 아픈 것을 멎게 하고 적취(積聚)를 헤치며 유산시킨다.
○ 즉 천오(川烏)이다. 부자와 같은 종류로서 법제하는 방법도 같다. 일명 근(菫) 또는 해독(奚毒)이라고도 하는데 그의 모양은 길고 뾰족한 것이 좋다[본초].
○ 오두와 천웅은 모두 기가 웅장하고 형세가 세어서 하부의 약에 좌사약이 될 수 있다. 그런데 사람을 해하는 것이 잘 나타나지 않으므로 이것을 알지 못하며 사람을 죽이는 일이 많다. 때문에 반드시 동변에 달여서 담가 두어 그 독을 없애는 동시에 내려가는 힘을 돕게 하여야 한다. 소금을 넣으면 더욱 빠르다[단심].
3.천웅天雄,초오두의 가늘고 긴 뿌리이다.맛은 맵고 성질은 따뜻하다.주로 심한 풍,한습비,관절통,급만성 경련을 치료하고 적취와 사기를 없애며 쇠붙이에 상한 것을 치료하고 힘줄과 뼈를 튼튼하게 하며 몸을 가볍게 하여 잘 걷게 한다.원지를 사약으로 하고 부비를 꺼린다.내복시 0.8-2돈을 달이거나 환제,산제로 하여 쓴다.외용시 가루내어 바른다.음허로 양이 심한 사람이나 임산부는 복용을 금한다.
하76.천웅(天雄)
성질은 몹시 열하고[大熱] 맛은 매우며 달고[辛甘] 독이 많다. 풍, 한, 습으로 생긴 비증과 역절통(歷節痛)을 낫게 하며 힘줄과 뼈를 든든하게 한다. 또 몸을 가볍게 하며 걸음을 잘 걷게 하고 뼈가 아픈 것[骨間痛]을 없애고 적취를 헤친다. 또한 유산시킨다.
○ 부자와 비슷한데 가늘고 길다. 대개 알약이나 가루약에 싸서 구워 껍질과 배꼽을 버리고 쓴다. 달이는 약에는 껍질째 생으로 쓰면 아주 좋다[본초].
○ 천웅이 아니면 상초의 양허를 보할 수 없다. 또 천웅은 위로 올라가고 오두는 아래로 내려간다[입문].
4.반하半夏,천남성과 반하-끼무릇 PINELLIA TERNATA 의 塊莖이다.맛은 맵고 성질은 평하다.상한으로 오한이 나면서 열이 나는 것,명치밑이 단단한 것,목안이 붓고 아픈 것,머리가 어지러운 것,가슴이 그득한 것,기침,배가 끓는 것을 치료한다.기를 내리며 땀을 그치게 한다.사간을 사약으로 한다.조협을 꺼린다.웅황,생강,건강,진피,귀갑을 두려워 한다.오두에 반한다.내복시 1.5-3돈을 달여서 복용하거나 환제로 복용한다.외용시 가루내어 개어서 바른다.모든 혈증 및 음허조해(허약하고 마른 기침) 및 진액이 손상되어 구갈증이 있는 환자는 금한다.
하77.반하(半夏, 끼무릇)
성질은 평(平)하고(생것은 약간 차고[微寒] 익히면 따뜻하다[溫]) 맛은 매우며[辛] 독이 있다. 상한(傷寒) 데 추웠다 열이 났다 하는 것을 낫게 하고 명치 아래에 담열(痰熱)이 그득하게 몰린 것과 기침하고 숨이 찬 것을 낫게 하며 담연(痰涎)을 삭이며 음식을 잘 먹게 한다. 비(脾)를 든든하게 하고 토하는 것을 멎게 하며 가슴 속에 담연을 없앤다. 또 학질을 낮게 하며 유산시킨다.
○ 곳곳에 있으며 밭과 들에서 자라는데 음력 5월, 8월에 뿌리를 캐 햇볕에 말린다. 둥글고 희며 오래 묵은 것이 좋다[본초].
○ 끓는 물에 담갔다가 조각이 나게 썰어 일곱번을 씻어 침 같은 진이 다 없어진 다음 생강즙에 담가 하룻밤 두었던 것을 약한 불기운에 말려 쓴다[본초].
○ 족양명경과 태음경, 소양경에 들어간다. 음력 12월에 물에 우려서 밖에 내놓아 얼쿤다[氷]. 이렇게 일곱번 우려 오래 두었던 것이 가장 좋다[입문].
○ 3가지 소갈과 혈허(血虛)한 사람, 목구멍이 마르면서 아픈 사람, 장이 말라 대변을 보기 힘든 사람, 땀이 많은 사람에게는 모두 쓰지 말아야 한다[단심]. 으로 해독한다.
5.호장虎掌-天南星천남성.천남성과호장-두여머조자기ARISEAMA THUNBERGII B1,천남성ARISEAMA CONSANGUINEUM SCHOTT.,東北천남성A.AMURENSE MAXIM.,異葉이엽천남성A.HETEROHYLLUM B1의 덩이줄기이다.擬의천남성A.AMBIGUUM ENGL,朝鮮조선천남성A.PENINSULAE NAKAI,鬼蒟蒻귀구약A.JAPONICUM B1,多우다우천남성A.VERRUCOSUM SCHOTT,偏葉편엽천남성A.LOBATUMENGL.VAR.ROSTHORNIANUMENGL,象상천남성A.ELEPHAS S.BUCHET도 약용한다.맛은 쓰고 성질은 따뜻하다. 주로 심장의 통증,한열,기가 몰리는 것,적취,복양-심적,힘줄이 상한 것,손발마비,경련을 치료하고 수도를 좋게한다.촉칠을 사약으로 하고 망초를 두려워한다.내복시 0.8-1.5돈을 달이거나 환제,산제로 쓴다.외용시 가루내어 산포하거나 붙인다.陰虛燥痰음허조담이 있는 사람이나 임산부는 쓰지 말아야 한다.혈당강하
하100.천남성(天南星)
성질은 평(平)하고 맛은 쓰며 맵고[苦辛] 독이 있다. 중풍을 낫게 하고 담을 삭이며 가슴을 편안하게 하고 옹종을 삭게 하며 유산시키고 또 파상풍(破傷風)을 낫게 한다.
○ 산과 들에 나는데 음력 2월, 8월에 뿌리를 캐며 약으로 쓸 때에는 싸서 구워 쓴다[본초].
○ 풍담과 파상풍 및 어린이의 경간을 낫게 한다. 우담에 법제한 것이 더욱 좋다[의감].
○ 음력 12월에 물 속에 담가 얼려서[凍] 조(燥)한 성질을 없애고 싸서 터지게[裂] 구워 쓰든가 생강즙이나 백반물에 속에 있는 흰 점이 없어지도록 삶은 것이 좋다[단심].
6.연미鳶尾,붓꽃과 연미-붗꽃Iris rectorum Maxim.의 뿌리줄기이다.맛은 쓰고 성질은 평하다.주로 고독,사기,귀주의 여러가지 독을 치료한다.징가,적취를 없애고 수水를 제거하고 3충을 구제한다.내복시 0.3-1돈을 달이거나 산제로 복용한다.외용시 찧어서 바른다.몸이 허약한 사람은 복용에 주의 해야 한다.
7.대황大黃,마디풀과장군풀 RHEUM UNDULATUM 또는 掌葉대황 R.PALMATUM L.,唐古特대황R.TANGUTICUM MAXIM.EX.REG, 南대황R.OFFICINALE BAILL 의 뿌리와 줄기이다.맛은 쓰고 성질은 차다.주로 어혈,월경이 중단된 것,오한이 나면서 열이 나는 것,징가,적취,유음,음식에 체한 것을 삭힌다.장과 위를 씻어 깨끗하게 하고 묵은 것을 몰아내고 새것이 생기게 하며 대소변이 잘 나오게하고 속을 고르게하며 음식물을 소화시킨다.또한 5장을 편안하게 한다.황금을 사약으로 한다.내복시 3.7-14.8그램을 달여서(사하제로 쓰는 경우에는 오랫동안 달이지 말아야 한다) 먹거나 환제,산제로 먹는다.외용시 가루내어 물 혹은 식초에 개어서 바른다.대체로 표증이 아직 끝나지 않고 혈허하고 기가 약하고 비위가 허하고 실열이 없고 적체한 어혈이 있는자 및 임산부는 복용에 주의해야 한다.담즙분비
하78.대황(大黃)
성질은 몹시 차고[大寒] 맛은 쓰며[苦] 독이 없다(독이 있다고도 한다). 어혈과 월경이 막힌 것을 나가게 하며 징가와 적취를 삭이고 대소변을 잘 통하게 한다. 온장(溫瘴)㈜과 열병을 치료하고 옹저(癰疽)와 창절(瘡癤)과 종독[毒腫]을 낫게 한다. 장군풀(將軍)이라고 한다.
[註] 온장(溫瘴) : 온병을 말한다.
○ 곳곳에서 자라는데 음력 2월과 8월에 뿌리를 캐 검은 껍질을 버리고 불에 말리는데 비단무늬 같은 것이 좋다[본초].
○ 실열(實熱)을 빨리 내리고 묵은 것을 밀어내며 새로운 것을 생기게 하는 것이 마치 난리를 평정하고 평안한 세상이 오게 하는 것 같다고 해서 장군풀이라 했다[탕액].
○ 수족양명경에 들어간다. 술에 담그면 태양경에도 들어가고 술에 씻으면 양명경에 들어간다. 다른 경에 들어가게 하려면 술을 쓰지 말아야 한다. 술에 한참 동안 담가 두면 그의 맛이 좀 약해지나 술의 힘을 빌어 가장 높은 부위까지 올라가며 술에 씻으면 또한 세게 설사하지 않게 하기 때문에 승기탕에도 다 술에 담갔다가 쓴다. 다만 소승기탕에는 생것을 쓰거나 밀가루떡에 싸서 잿불에 묻어 구워 쓰거나 술에 담갔다가 쪄서 쓰는데 허하고 실한 것을 보아서 쓴다[입문].
○ 술에 축여 볶아 쓰면 위로[上] 머리 끝까지 올라가고 술에 씻으면 위(胃)로 가며 생것을 쓰면 아래로 내려간다[회춘].
8.정력亭歷-정력자臣,십자화과 獨行采독행채L.APERTALUM WILLD,北美독행채L.VIRGINICUM L.,播娘蒿파낭호DESCURAINIA SOPHIA (L.)SCHUR,다닥냉이-두루미냉이 LEPIDIUMA PETALUM 의 종자-꽃다지씨이다.맛은 맵고 성질은 차다.주로 징가,적취,기가 몰린 것,오한이 나면서 열이 나는 것을 치료하며 음식에 체한 것을 삭힌다.유피를 사약으로 쓰고 백강잠을 꺼린다.내복시 1.5-3돈을 달이거나 환제,산제로 쓴다.외용시 달인 물로 씻거나 가루내어 개어서 붙인다.폐의 허약으로 인한 喘咳천해,비장이 허약하고 비만한 증에는 금한다.
하79.정력자(亭歷子, 꽃다지씨)
성질은 차고[寒] 맛은 매우며 쓰고[辛苦] 독이 없다. 폐옹(肺癰)으로 숨결이 밭고 기침하는 것을 낫게 하며 숨이 찬 것을 진정시키고 가슴 속에 담음을 없앤다. 피부 사이에 있던 좋지 못한 물이 위로[上] 넘쳐나서 얼굴과 눈이 부은 것을 낫게 하고 오줌을 잘 나가게 한다.
○ 곳곳에 있는데 싹과 잎이 냉이와 비슷하고 음력 3월에 약간 노란꽃이 피고 꼬투리가 달린다. 그 속에 씨는 납작하면서 작은 것이 마치 기장알과 비슷하며 빛이 누르다. 입하 후에 씨를 훑어 햇볕에 말린다[본초].
○ 성질이 급(急)하며 물을 잘 몰아낸다. 쓰고 단 두 가지 종류가 있는데 쓴 것은 세게 설사시키고 단것은 좀 완화하다[탕액].
○ 종이 위에 펴고 고소하게 닦든가 혹 쪄서 쓴다. 이 약은 성질이 급(急)하여 설사시키는 데 효력이 크며 쓴 것은 더욱 심하고 단것은 조금 완하하다[입문].
9.길경桔梗臣,길경-초롱꽃과 도라지 PLATYCODON GRADIFLORUM 의 뿌리이다.맛은 맵고 성질은 미지근하다.주로 가슴과 옆구리가 칼로 찌르듯이 아픈 것,뱃속이 그득하면서 배끓는 소리가 나는 것,잘 놀라며 무서워하며 가슴이 두근거리는 것을 치료한다.절피節皮를 사약으로 하며 백급을 두려워한다.용담,용안에 반反한다.내복시 3.7-7.4그램을 달여서 복용하거나 산제,환제로 복용한다.음허하고 구해-오래 기침하는 것-하며 기가 치밀어오르고 咳血해혈-기침할 때 또는 가래에 피가 섞여 나옴-이 있는 자는 복용을 금한다.혈당강하
菜26.길경(桔梗, 도라지)
성질이 약간 따뜻하며[微溫](평(平)하다고도 한다) 맛이 매우면서 쓰고[辛苦] 독이 약간 있다. 폐기로 숨이 찬 것을 치료하고 모든 기를 내리며 목구멍이 아픈 것과 가슴, 옆구리가 아픈 것을 낫게 하고 고독을 없앤다.
○ 어느 지방에나 다 있는데 산에 있다. 음력 2월과 8월에 뿌리를 캐어 햇볕에 말린다[본초].
○ 도라지는 모든 약 기운을 끌고 위로 올라가면서 아래로 내려가지 못하게 한다. 또한 기혈도 끌어올린다. 그러니 나룻배와 같은 역할을 하는 약인데 수태음경의 인경약이다[단심].
○ 요즘은 채소로 4철 늘 먹는다[속방].
10.낭탕자莨蕩子,加子-가지과 사리풀 -天仙子 HYOSCYAMUS NIGER 의 씨이다.맛은 쓰고 성질은 차다.주로 치통을 치료하고 그 벌레를 나오게한다.살이 저리고 뻣뻣하며 땅기는 증상을 치료하며 사인使人으로 하여금 잘 걷게한다.잘못 먹으면 귀신을 보고-환각을 일으키고 많이 먹으면 미친듯이 날뛰게한다.오래 복용하면 몸이 가벼워지고 걸음이 빨라지며 말을 분발케-날뛰게 한다-흥분시킨다. 의지가 강해지고 힘을 더하고 정신을 맑게한다.독이 강하므로 복용에 주의하여야 한다.많이 먹으면 극도로 흥분상태가 된다.중독시(심장이 찔려서 번민하고 눈에 星火성화가 나고 광란하여 날뛰고 귀신을 본다) 게와 건강으로 해독한다.
하80.낭탕자(莨菪子, 사리풀씨)
성질은 차고[寒] 맛은 쓰고 달며[苦甘] 독이 많다. 치통을 멎게 하며 거기에서 벌레가 나오게 한다. 많이 먹으면 미쳐서 달아다니며 헛것이 보인다고 한다.
○ 일명 천선자(天仙子)라고도 하는데 잎은 숭람( 籃)과 비슷하며 줄기에는 흰털이 있다. 음력 5월에 단지 모양의 열매가 맺히며 그 껍질 속에 많은 씨가 들어 있는데 아주 잘아서 좁쌀알 같으며 푸르스름한 빛이 난다. 먼저 식초에 문드러지게[爛] 달여 쓴다.
11.초호艸蒿-靑蒿청호,국화과 개사철쑥-제비쑥 ARTEMISIA APIACEA 의 전초이다.맛은 쓰고 성질은 차다.주로 옴,가려움증,악창을 치료하고 이를 죽이며 관절사이에 열이 있는 것을 치료하며 눈을 밝게한다.내복시 1.5-3돈을 달이거나 환제,산제로 쓴다.외용시 짓찧어 붙이거나 가루를 바른다.산후 혈허,속이 차서 하리하는사람,식욕이 없고 설사하는 사람은 복용하면 안된다.산후 비위박약한 증상에는 당귀,지황과 같이 쓰지 못한다.혈당강하,담즙분비
하81.초호(草蒿, 제비쑥)
허로를 낫게 하고 식은땀[盜汗]을 멎게 하며 뼈마디에 있는 열매를 없애고 눈을 밝게 한다. 중초를 보하고 기를 도와주며 얼굴색을 좋게하고 흰머리칼을 검게 하며 열황(熱黃)을 낫게 하고 사기(邪氣)와 귀독(鬼毒)을 없앤다.
○ 곳곳에 있는데 요즘 청호(靑蒿)라고 하는 것이 이것이다. 봄기운을 가장 일찍 받고 줄기와 잎은 보통 쑥과 같은데 이 쑥의 빛은 아주 푸르기 때문에 냄새가 향기롭다. 진하게 푸른 것이 좋다. 동변에 7일 동안 담갔다가 햇볕에 말려 쓴다[본초].
12.선복화旋覆花,국화과 금불초 INULA BRITANNICA VAR. CHINENSIS 또는 線葉선복화I.LINARIAEFOLIA TURCZ,大花선복화I.B.L의 꽃-花序이다.맛은 짜고 성질은 따뜻하다.주로 기가 몰린 것,옆구리가 그득한 것,놀랜것처럼 가슴이 두근거리는 것을 치료하고 수기를 내리며 5장에 있는 한열사를 없애고 비위를 보하며 기를 내린다.내복시 1.5그램을 달이거나(싸서 달이거나 문질러서 털을 제거한다.)환제,산제로 복용한다.외용시 달인 물로 씻거나 가루내어 살포하거나 개어서 붙인다.(본초연의보유,허한 사람은 많이 복용하면 안되고 대장을 滑활하게 하기 때문에 조심해야 한다.)담즙분비
하82.선복화(旋復花)
성질은 약간 따뜻하고[微溫] 맛은 짜며[鹹] 조금 독이 있다. 가슴에 잘 떨어지지 않는 담연이 있고 가슴과 옆구리에 담과 물이 있어 양 옆구리가 창만한 것을 낫게 한다. 음식맛을 나게 하며 구역을 멎게 하고 방광에 쌓인 물을 내보내고 눈을 밝게 한다.
○ 일명 금비초(金沸草)라고도 하는데 잎은 큰 국화와 비슷하다. 음력 6월에는 작은 동전만하고 국화처럼 생긴 진한 노란 꽃이 된다. 꽃을 따서 햇볕에 말린다. 곳곳에 있다.
○ 쪄서 햇볕에 말린다.
○ 달이는 약[煎藥]에 넣으면 천으로 걸러서 찌꺼기는 버리고 쓴다[본초].
13.여로藜蘆,백합과 박새-참여로-黑흑여로 VERATRUM NIGRUM 의 뿌리이다.毛穗모수여로VERATRUM MAACKII REG,毛葉모엽여로V.PUBERULUM LOES F,興安흥안여로V.DAHURICUM,天目천목여로V.SCHINDLERI LOES F.,蒜산여로V.GRANDIFLORUM(MAXIM)LOES F.,小소여로V.MENGTZEANUM LOES.F.도 약용한다.맛은 맵고 성질은 차다.주로 고독,기침,설사,이질,머리헌데,옴,악창을 치료하고 여러가지 벌레를 죽이고 독을 풀고 굳은 살을 제거한다.황련을 사약으로 한다.세신,작약,5삼(인삼,사삼,단삼,자삼,고삼)과 반하며 대황을 꺼린다.내복시 1-2푼을 갈아서 산제,환제로 복용한다.외용시 갈아서 가루로 코에 불어 넣거나 개어서 바른다.허약한자와 임산부는 복용해서는 안된다.혈압강하
하83.여로(藜蘆, 박새뿌리)
성질은 차고[寒] 맛은 맵고 쓰며[辛苦] 독이 많다. 머리에 난 부스럼, 옴으로 가려운 것, 악창과 버짐을 낫게 한다. 궂은 살[死肌]을 없애며 여러 가지 벌레를 죽이고 가름막 위의 풍담(風痰)을 토하게 한다.
○ 산에서 자라는데 뿌리는 파와 비슷하고 털이 많다. 뿌리는 또 용담초(膽膽)와 비슷하다. 음력 2월, 3월, 8월에 뿌리를 캐 그늘에서 말린다. 일명 녹총(鹿葱)이라고도 한다[본초].
○ 찹쌀(糯米) 씻은 물에 달여서 볕에 말려 약간 볶아[微炒] 쓴다[본초].
14.구문鉤吻,마전나무과 호만등GELSEMIUM ELEGANS BENTH의 전초이다.맛은 맵고 성질은 따뜻하다.주로 쇠붙이에 다친 것,젖알이,심한 중풍,기침과 기가 치미는 것,부종,귀주,고독을 치료한다.외용시 짓찧어 바르거나 가루내어 개어서 바른다.또는 달인 물로 씻거나 그 연기를 쐰다.본품은 극독이 있으므로 내복을 금하고 외용만 한다..혈압강하
15.사간射干.鳶尾-붓꼿과 범부채 BELAMCANDA CHINENSIS 의 뿌리와 줄기이다.맛은 쓰고 성질은 평하다.주로 기침과 기가 치미는 것,후비,목안이 아프고 숨을 제대로 쉬지 못하는 것,기가 몰린 것,뱃속에 사기가 치미는 것,음식에 체하여 몹시 열이 나는 것을 치료한다. 내복시 0.8-1.5돈을 달이거나 산제로 복용한다.또는 신선한 것을 즙을 내어 복용한다.외용시 가루를 내어 목에 불어 넣거나 개어서 도포한다.실화가 없는 사람 및 비장이 허하여 설사하는 사람에게는 적합하지 않다.임신부는 금기이다.혈압강하
하84.사간(射干, 범부채)
성질은 평(平)하고 맛은 쓰며[苦] 조금 독이 있다. 후비(喉痺)와 목 안이 아파 물이나 죽물을 넘기지 못하는 것을 낫게 한다. 오랜 어혈이 심비(心脾)에 있어서 기침하거나 침을 뱉거나 말을 할 때 냄새가 나는 것을 낫게 하고 뭉친 담을 없애고 멍울이 진 것을 삭게 한다.
○ 곳곳에 있는데 잎은 좁고 길며 옆으로 퍼져 새의 날개를 펴 놓은 모양과 같기 때문에 일명 오선(烏扇)이라고도 한다. 뿌리에 잔털이 많고 껍질은 검누른색이며 살은 노라발간빛[黃赤]이다. 음력 3월, 9월에 뿌리를 캐 햇볕에 말린 다음 쌀 씻은 물에 담갔다가 쓴다[본초].
16.사합蛇合-사함蛇含,장미과 사함-가락지 나물-뱀혀POTENTILLA KLEINIANA WIGHT ET.ARN의 전초 또는 뿌리가 달린 전초이다.맛은 쓰고 성질은 서늘하다.주로 경간,한열,사기의 열을 제거하고 쇠붙이에 다친 것,저,치질,서루,악창,두창을 치료한다.내복시 1.5-3돈(신선한 것은 1-2냥)을 달여서 복용한다.외용시 달인 물로 씻거나 짓찧어 바르거나 달인 물로 입안을 가신다.
하85.사함(蛇含, 사함초)
성질은 약간 차고[微寒] 맛은 쓰며[苦] 독이 없다. 쇠붙이에 다친 데[金瘡], 옹저, 치질, 서루(鼠瘻), 악창(惡瘡)과 머리에 난 부스럼을 낫게 한다. 뱀,벌, 독사에게 물린 독을 없애고 풍진(風疹)과 옹종(癰腫)을 낫게 한다.
○ 곳곳에서 자라는데 잎이 가늘고 꽃이 누른 것이 좋다. 음력 8월에 잎을 따서 햇볕에 말리되 불을 가까이 하지 말아야 한다[본초].
○ 옛사람이 보니 뱀이 상처를 입었는데 다른 뱀이 이 풀을 물어다가 상처에 붙여 준 후 상하였던 뱀이 이어 기어갔다고 한다. 그래서 이것을 상처에 써보았더니 효과가 있었다고 한다. 그리하여 사함초라 하였다[입문].
17.항산恆山-상산常山,범의귀과 黃상산-조팝나무DICHROA FEBRIFUGA LOUR의 뿌리이다.맛은 쓰고 성질은 차다.주로 상한,한열로 열이 나는 것,온학,귀독,가슴속의 담결-목구멍에 가래가 엉겨 붙어 뱉을 수도 삼킬 수도 없는 상태로 인한 토역을 치료한다.옥설을 두려워한다.내복시 1-3돈을 달여 복용하거나 환제,산제로 복용한다.정기가 허약한자 및 지병으로 체약한자는 금한다.혈압을 내린다.혈압강하
하86.상산(常山)
성질은 차고[寒] 맛은 쓰며 맵고[苦辛] 독이 있다. 여러 가지 학질을 낫게 하고 담연을 토하게 하며 추웠다 열이 났다 하는 것을 낫게 한다.
○ 곳곳에 있는데 즉 촉칠의 뿌리(蜀漆根)다. 음력 8월에 뿌리를 캐 그늘에서 말리는데 가늘고 단단하다. 누른 것을 계골상산( 骨常山)이라고 하는데 이것이 가장 좋다[본초].
○ 성질은 사납고 날래어서[暴悍] 몰아내기는 잘하나 진기(眞氣)를 상할 수 있으므로 많이 쓰지 말아야 한다. 많이 쓰면 몹시 토한다[단심].
○ 생것을 쓰면 몹시 토하게 하므로 술에 하룻밤 담갔다가 찌거나 혹은 볶거나 식초에 담갔다가 달여서 쓰면 트직한 것이 없어지면서 토하지 않는다[입문].
18.촉칠蜀漆,범귀의과 황상산의 어린가지와 잎이다.맛은 맵고 성질은 평하다.주로 학질과 기침,한열을 치료하고뱃속의 징,음식이 체한것,적취사기를 치료한다.괄루근을 사약으로 하고 관중을 꺼린다.내복시 1-2돈을 달이거나 가루로 만들어 복용한다.정기가 허약하고 지병으로 신체가 약한 증상에는 복용에 주의한다.
촉칠(蜀漆)
즉 상산의 싹(常山苗)이다. 음력 5월에 잎을 뜯어 햇볕에 말린다. 장학, 귀학[鬼瘧]을 낫게 하며 토하게 한다. 감초물에 두번 쪄서 햇볕에 말려 쓴다[입문].
19.감수甘遂,대극과 감수Euphorbia kansui Liou의 뿌리이다.맛은 쓰고 성질은 차다.주로대복,산가,腹滿뱃속이 그득한것,눈과 얼굴이 붓는 것,留飮-갈증이 나고 사지관절이 쑤시고 등부위가 찬 느낌이 있고 숨이 차고 맥상이 가라앉음-,먹은 것이 하루가 지나도 소화되지 않는 것을 소화시키고 징(가)을 부수며 견고한 적취를 부순다.창자와 수도를 좋게한다.내복시 1.85-3.7그램을 달이거나 환제,산제로 복용한다.외용시 가루내어 개어서 바른다.과체를 사약으로 한다.원지를 꺼리며 감초에 반한다.기가 허하고,陰傷음상,비위가 쇠약한자 및 임산부는 금한다.혈압을 내린다.
하87.감수(甘遂)
성질은 차고[寒] 맛은 쓰고 달며[苦甘] 독이 있다. 12가지 수종을 내리고 얼굴이 부은 것과 명치 밑과 배가 창만한 것을 낫게 하며 대소변을 잘 나가게 한다.
○ 껍질은 붉고 살은 희며 구슬을 쭉 꿴 것 같고 단단하면서 무거운 것이 좋다. 음력 2월에 뿌리를 캐 그늘에서 말린다. 이 약은 주로 물을 몰아내는 작용만 하므로 잘 보아서 써야 한다[본초].
○ 이 약 기운은 물을 몰아내는데 물이 몰린 곳으로 바로 들어간다. 밀기울( 麩)과 같이 볶아[炒] 쓴다[입문].
20.백렴白斂,포도과 백렴-가회톱 AMPELOPSIS JAPONICA 의 뿌리이다.맛은 쓰고 성질은 평하다.옹종,저창을 치료하고 기가 몰린 것을 흩어지게 하며 통증을 그치게한다.열기와 눈에 핏발이 선 증상도 낫게한다.소아의 경간,온학,여자의 음부가 붓고 아픈 것을 치료한다.대자석을 사약으로 한다.오두와 반한다.내복시 1-3돈을 달여서 복용한다.외용시 가루내어 산포하거나 조합하여 바른다.
하88.백렴(白斂, 가위톱)
성질은 평(平)하고(서늘하다[微寒]고도 한다) 맛은 쓰고 달며[苦甘] 독이 없다. 옹저, 창종(瘡腫), 등창[發背], 나력(瘰癧), 장풍(腸風), 치루(痔瘻)와 얼굴이 부르터서 허는 것, 다쳐서 상한 것, 칼이나 화살에 상한 것 등을 낫게 한다. 새살이 살아나게 하고 통증을 멎게 하며 종독과 끓는 물이나 불에 덴 데 바른다.
○ 덩굴로 뻗어 나가며 가지 끝에 5개의 잎이 달리고 뿌리는 천문동과 비슷한데 한 그루 밑에 10여 개의 뿌리가 있으며 껍질은 검붉은색이고 살은 희다. 음력 2월, 8월에 뿌리를 캐 햇볕에 말린다[본초].
적렴(赤斂)
약의 효능과 모양은 가위톱과 같은데 다만 겉과 속이 다 붉을 뿐이다[입문].
21.청상자靑葙子,비름과 개맨드라미-들맨드라미 CELOSIA ARGENTEA 의 종자이다.맛은 쓰고 성질은 서늘하다.주로 사기를 없애고 피부속의 열과 풍사로 가려운 것을 치료하며 3충을 죽인다.입술이 파랗게 되는 것을 치료한다.내복시 3-5돈을 달여 복용한다.
하95.청상자(靑箱子, 맨드라미씨)
성질은 약간 차고[微寒] 맛은 쓰며[苦] 독이 없다. 간의 열독(熱毒)이 눈으로 치밀어 눈에 피가 지고 예장이 생겼거나 청맹(靑盲)이 되거나 예막이 생기고 부은 것을 낫게 한다. 풍으로 몸이 가려운 것을 낫게 하고 3충을 죽이고 악창과 음부의 익창(䘌瘡)을 낫게 한다. 귀와 눈을 밝게 하고 간기를 진정시킨다.
○ 즉 지금의 계관화의 씨(冠花子)이다. 음력 6월, 8월에 씨를 받아 약간 볶아 짓찧어 부스러뜨려 쓴다[본초].
계관화(鷄冠花, 맨드라미꽃)
성질은 서늘하고[凉] 독이 없다. 장풍(腸風)으로 피를 쏟는 것과 적백이질, 부인의 붕루, 대하를 멎게 한다.
○ 꽃이 닭의 볏과 비슷하기 때문에 계관화라고 한 것이다. 약에 넣을 때는 닦아[炒] 쓴다[본초].
22.관균雚菌,蘆葦노위속으로 균담과 관균-推菌추균-왕골버섯의 자실체이다.흰학버섯-白鞘苞似鵝膏백초포사아고-흰우산버섯-양두균羊肚菌 AMANITOPSIS VAGINATA VAR ALBA GILL 인 것 같다.맛은 짜고 성질은 평하다,심장통증을 치료하고 속을 따뜻하게 하고 장충長蟲,백선,요충,뱀에 물린 독,징가,여러가지 벌레를 없앤다.술과 배합하면 좋고 달걀을 두려워 한다.
23.백급白及,난초과 자란초-대암풀 BLETILLA STRIATA 의 괴근-덩이뿌리이다.맛은 쓰고 성질은 평하다.주로 옹종,악창,헤어진 저창,음부가 상한 것,궂은 살을 치료한다.위속의 사기,적풍,귀격鬼擊-귀타-갑자기 가슴이나 배가 아파 손을 대지 못하게 하면서 혹 피를 토하거나 대변에 피가 나오는 병증을 없애고 마비되어 몸을 가누지 못하는 것을 치료한다.내복시 1-3돈을 달여 복용하거나 산제,환제로 복용한다.외용시 가루내어 살포하거나 개어서 바른다.자석영을 사약으로 한다.이석,이핵인李核仁-추리씨,행인-살구씨을 꺼린다.外感咳血외감해혈,초기의 폐옹 및 폐와 위에 실열이 있는 환자는 금한다.혈압상승
하89.백급(白芨)
성질은 평(平)하고(약간 차다[微寒]고도 한다) 맛은 쓰고 매우며[苦辛] 독이 없다. 옹종, 악창, 패저(敗疽), 등창, 나력, 장풍, 치루와 칼이나 화살에 상한 것, 다쳐서 상한 것, 끓는 물이나 불에 덴 것 등을 낫게 한다.
○ 뿌리는 마름열매(菱米)와 비슷하고 3모가 졌으며 희다. 음력 2월, 8월, 9월에 뿌리를 캐 햇볕에 말린다[본초].
○ 가위톱(백렴)과 백급을 옛날이나 지금의 보약처방에는 쓴 데가 적고 헌데를 아물게 하는 처방에 많이 썼는데 대개 2가지를 서로 배합해서 썼다[입문].
24.대극大戟,대극과 대극-柳漆-버들옻 EUPHORBIA PEKINENSIS 또는 紅芽대극KNOXIA VALERIANOIDES THOREL이다. 맛은 쓰고 성질은 차다.주로 고독,12가지 수종,배가 그듯하면서 갑자기 아픈 것,적취,중풍,피부가 아픈 것,토하고 구역하는 것을 치료한다.내복시 1.85-3.7그램을 달이거나 환제,산제로 복용한다.
하90.대극(大戟, 버들옻)
성질은 차고[寒] 맛은 쓰며 달고[苦甘] 조금 독이 있다. 고독(蠱毒)과 12가지 수종, 창만을 낫게 하고 대소장을 잘 통하게 한다. 약독을 내려 보내고 돌임황달[天行黃疸]과 온학(溫瘧)을 낫게 하며 징결(癥結)을 헤치고 유산시킨다.
○ 택칠의 뿌리(澤漆根)이다. 가을과 겨울에 뿌리를 캐 그늘에서 말린다[본초].
○ 봄에 붉은 싹이 나오기 때문에 흔히 홍아대극(紅芽大戟)이라고 부른다. 감수와 같이 쓰면 물을 내모는 약[泄水之藥]이 된다. 가늘게 썰어서 찌든가 약간 닦는다[입문].
25.택칠澤漆,대극과 택칠-등대풀 EUPHABIA HELIOSCPIA 의 전초이다.맛은 쓰고 성질은 서늘하다.피부의 열,뱃속의 물,팔다리와 얼굴이 부은 것,남자의 음기부족증을 치료한다.적소두를 사약으로 하고 서여-마를 꺼린다.내복시 1-3돈을 달이거나 졸여서 고제로 만들거나 환제,산제로 보용한다.외용시 달인 물로 씻거나 끓여서 고제를 만들어 바르거나 가루내어 개어서 바른다.
하90.택칠(澤漆)
부종을 낫게 하며 대소장을 잘 통하게 하고 학질을 낫게 한다. 이는 대극의 싹이다. 음력 4-5월에 뜯는다[본초].
26.인우茵芋,운향과 인우-黃山桂황산계Skimmia reevesiana Fortune의 줄기와 잎이다.맛은 쓰며 성질은 따뜻하다.주로 5장의 사기,흉복부가 한열로 마르고 말라리아와 같이 발작하는 증상,관절에 풍습비통이 있는 증상을 치려한다.내복시 술에 담그거나 환약을 지어 복용한다.생약의 1일의 양은 3-6푼이다.
27.관중貫衆,綿麻과 면마-희초미 -祖莖鱗毛蕨DRYOPTERIS CRASSIRHIZOMA 의 뿌리와 줄기이다.蛾眉蕨아미궐,莢果蕨협과궐,자기紫萁,烏毛궐,蘇鐵蕨소철궐,狗脊蕨구척궐도 약용한다.쇠고비이다.맛은 쓰고 성질은 서늘하다.뱃속의 사열과 여러가지 독을 업애고 3충을 죽인다.관균-추균推菌을 사약으로 쓴다.내복시 5.55-11.1그램을 달이거나 환제,산제로 먹는다.외용시가루내어 개어서 바른다.음허내열 및 비위가 허약한자에게는 좋지 않으며 임산부는 복용에 주의해야 한다.
하91.관중(貫衆)
성질은 약간 차고[微寒] 맛은 쓰며[苦] 독이 있다. 모든 독을 풀리게 하며 3충을 죽이고 촌백충(寸白蟲)을 없애며 징가를 삭인다.
○ 곳곳에서 자라는데 뿌리의 모양, 빛깔, 털 할 것 없이 모두 늙은 수리개 대가리( 頭)와 비슷하기 때문에 초치두(草 頭)라고 부르며 일명 흑구척(黑狗脊)이라고도 한다. 음력 3월에 뿌리를 캐 햇볕에 말린다[본초].
28.요화蕘花,팥꽃나무과 요화-여귀꽃Swainsonia salsula Taub의 열매이다.맛은 쓰고 성질은 차다.주로 상한온학을 치료하고 12수를 사하한다.적취,굳은 징가를 부수고 위장속의 유벽,음식물,한열사기를 내려보내고 수도를 통하게 한다.내복시 0.8-1.5돈을 달이거나 환제로 복용한다.허약자,임산부는 복용하지 말아야 한다.
29.아자牙子-낭아초狼牙草,콩과 낭아초-짚신나물 INDIGOFERA PHEUDO-TINCTORIA 의 뿌리이다.맛은 쓰고 성질은 차다.사기,열기를 없애고 옴,악창,치질을 치료하고 촌백충을 몰아낸다.무이-참느릅을 사약으로 하며 대추와 지유를 꺼린다.
하92.낭아(狼牙, 집신나물)
성질은 차고[寒] 맛은 쓰며 시고[苦酸] 독이 있다. 옴으로 가려운 것과 악창, 치질을 낫게 하고 촌백충 및 뱃속의 모든 충을 죽인다.
○ 싹은 뱀딸기(蛇莓)와 비슷한데 두텁고 크며 진한 풀빛이고 뿌리는 검고 짐승의 어금니와 같기 때문에 낭아라 했다. 일명 아자(牙子)라고도 한다. 음력 2월, 8월에 뿌리를 캐 햇볕에 말린다. 누기가 차고 썩어서 곰팡이가 생긴 것은 사람을 죽인다[본초].
30.양척촉羊躑躅,철쭉 RHODODENDRON SCHIPPENBACHII MIX 의 꽃이다.맛은 맵고 성질은 따뜻하다.적풍이 피부에 있어 근질근질하면서 아픈 증상,온학,악독,여러가지 비증을 치료한다.
하93.양척촉(羊躑躅 , 철쭉꽃)
성질은 따뜻하고[溫] 맛은 매우며[辛] 독이 많다. 온학, 귀주(鬼疰), 고독을 낫게 한다.
○ 즉 지금의 철촉화(躑躅花)이다. 양(羊)이 철쭉을 잘못 먹으면 죽기 때문에 양척촉이라 한 것이다. 음력 3월, 4월에 따서 말린다[본초].
31.상륙商陸,상륙-자리공과 자리공 PHYTOLACCA ESCULENTA 의 뿌리이다.맛은 맵고 성질은 평하다.수창-수종병의 한가지 즉 먼저 배에 물이 차서 불러오므로 점차 팔,다리.얼굴 등 온 몸이 붓는 병,산가를 치료하고 비증에 찜질할 수 있다.귀정물을 없앤다.개고기와 같이 먹으면 안된다.내복시 1.2-3돈을 달여서 복용하거나 산제,환제로 복용한다.외용시 짓찧어 붙인다.脾虛水腫비허수종(운화기능이 약한 경우의 부종) 및 임산부는 금해야 한다.
하94.상륙(商陸, 자리공)
성질은 평(平)하고(서늘하다[冷]고도 한다) 맛은 맵고 시며[辛酸] 독이 많다. 10가지 수종과 후비로 목이 막힌 것을 낫게 하고 고독을 없애며 유산되게 하고 옹종을 낫게 한다. 헛것에 들린 것을 없애고 악창에 붙이며 대소변을 잘 통하게 한다.
○ 곳곳에 있으며 붉은 것, 흰 것 2가지가 있는데 흰 것은 약에 넣어 쓰고 붉은 것은 독이 많으므로 먹으면 미친다. 다만 외용으로 종기에 붙일 뿐이다. 만일 먹으면 사람을 상하여 피똥을 눌 뿐 아니라 죽는다.
○ 일명 장류근(章柳根) 또는 장륙(章陸)이라고도 한다. 꽃이 붉은 것은 뿌리도 붉고 흰 것은 뿌리도 희다. 음력 2월, 8월에 뿌리를 캐 햇볕에 말리는데 사람의 모양과 같은 것이 효과가 좋다[본초].
○ 구리칼로 껍질을 긁어 버리고 얇게 썰어서 물에 3일 동안 담갔다가 녹두를 섞어 한나절 동안 찐다. 그 다음 녹두를 버리고 햇볕에 말리거나 약한 불기운에 말린다[입문].
32.양제羊蹄,마디풀과 양제RUMEX JAPONICUS HOUTT,泥泊爾이박이양제R.NEPALENSIS SPR.-소라쟁이 RUMEX CRISPUS, 의 뿌리이다.맛은 쓰고 성질은 차다.주로 머리카락이 빠지는 것,옴으로 가려운 것을 치료하고 열을 내리며 여자의 음식창을 치료한다.내복시 3-5돈을 달이거나 찧어서 즙으로 만들거나 고제로 만들어 쓴다.외용시 찧어서 바르거나 갈아서 즙을 내어 바르거나 달인 물로 씻는다.
하101.양제근(羊蹄根, 소리쟁이 뿌리)
성질은 차고[寒] 맛은 쓰며 맵고[苦辛] 독이 없다(조금 독이 있다고도 한다). 머리털이 빠지는 것, 옴, 버짐, 옹저, 치질, 여자의 음식창(陰蝕瘡), 침음창(浸淫瘡)을 낫게 하고 여러 가지 충을 죽이며 고독을 낫게 하고 종독에 붙인다.
○ 곳곳에 있다[본초].
양제실(羊蹄實, 소리쟁이씨)
성질은 평(平)하며 맛은 쓰며 떫으며[苦澁] 독이 없다. 적리와 백리[赤白痢]를 낫게 한다[본초].
○ 일명 금교맥(金蕎麥)이라고도 한다[입문].
양제엽(羊蹄葉, 소리쟁이잎)
어린이의 감충(疳蟲)을 없앤다. 나물을 만들어 먹는다[본초].
33.편축扁蓄,마디풀과 마디풀 POLYGONUM AVICULARE 의 땅 윗부분의 전초이다.맛은 쓰고 성질은 평하다.침음창,옴으로 가려운 것,저,치질을 치료하고 3충을 죽인다.내복시 2-3돈을 달이거나 찧어서 즙을 복용한다.외용시 찧어서 도포하거나 달인 물로 씻는다.혈압강하,담즙분비
하103.편축(萹蓄, 마디풀)
성질은 평(平)하고 맛은 쓰며[苦](달다[甘]고도 한다) 독이 없다. 퍼진 옴, 가려운 증, 옹저, 치질을 낫게 하고 3충을 죽인다. 회충을 없애고 열림을 낫게 하며 오줌을 잘 나가게 한다.
○ 곳곳에 있는데 싹은 패랭이꽃(구맥)과 비슷하고 잎은 풀빛이고 대잎 비슷하며 가늘다. 마디짬에 꽃이 피는데 아주 잘다. 음력 5월에 뜯어 그늘에서 말린다[본초].
○ 대소변이 잘 나가지 않는 데 쓴다. 물가에서 자라며 자줏빛 꽃이 피는 것이 좋다. 짓찧어 즙을 내어 먹는다[경험].
34.낭독狼毒,팥꽃나무과 서향낭독STELLERA CHAMAEJASME L.,대극과 狼毒大戟낭독대극EUPHORBIAFISCHERIANASTEUD,月線월선대극E.EBRACTEOLATA HAYATA의 뿌리이다.맛은 맵고 성질은 평하다.주로 기침과 기가 치미는 것을 치료하고 적취를 부수고 먹고 마신 것을 소화시키고 한열,수기,악창,서루,저와 헌데,귀정물,고독을 치료한다.새와 짐승을 죽인다.대두를 사약으로 하며 맥구강을 꺼린다.내복시 1.11-2.96그램을 달이거나 환제,산제로 복용한다.외용시 갈은 즙을 바르거나 갈아서 가루내어 개어서 바른다.본품은 유독하며 내복시 주의하지 않으면 안된다.허약자 및 임산부는 금한다.
하104.낭독(狼毒, 오독도기)
성질은 평(平)하고 맛은 매우며[辛](쓰다[苦]고도 한다) 독이 많다. 적취(積聚), 징벽(癥癖), 담음을 삭이고 귀정(鬼精) 및 고독과 새와 짐승의 독을 없앤다.
○ 산골짜기에서 자라는데 잎은 자리공(상륙)이나 대황과 비슷하고 줄기와 잎에는 털이 있다. 음력 4월에 꽃이 피고 8월에 씨가 앉으며 뿌리의 껍질은 누르고 살은 희다. 음력 2월, 8월에 뿌리를 캐 그늘에서 말린다. 묵은 것으로서 물에 가라앉는 것이 좋다. 불에 싸서 구워 쓴다[본초].
35.백두옹白頭翁,毛莨모랑-미나리아제비과 할미꽃-조선백두옹 PULSATILLA KOREANA 의 뿌리이다.興安백두옹,細葉백두옹,蒙古백두옹도 약용한다.맛은 쓰고 성질은 따뜻하다.주로 온학,미쳐서 발광하는 것,오한이 나면서 열이 나는 것,징가,적취.영기등을 치료하고 어혈진 것을 없애며 통증을 그치고 쇠붙이에 다친 것을 치료한다.내복시 3-5돈(신선한 것은 0.5-1냥)을 달이거나 환제로 복용한다.외용시 짓찧어 바른다.陰虛血燥음허혈조로 寒濕한습이 없는 환자는 금한다.
하109.백두옹(白頭翁, 할미꽃뿌리)
성질은 차고[寒] 맛은 쓰며[苦] 조금 독이 있다. 적독리(赤毒痢)와 혈리(血痢)에 많이 쓰며 목에 생긴 영류, 나력을 낫게 하며 사마귀를 없애고 머리가 헌것을 낫게 한다.
○ 일명 호왕사자(胡王使者)라고도 하는데 곳곳에 있다. 그 싹은 바람이 불면 가만히 있고 바람이 불지 않으면 움직이는 것이 천마싹(赤箭)이나 따두릅(독활)과 같다.
○ 줄기 끝에 1치 남짓한 희고 가는 털이 있어 흩어져 드리운 것이 마치 할아버지의 흰 머리털과 비슷하기 때문에 백두옹이라 한 것이다. 음력 8월에 뿌리를 캐 햇볕에 말린다[본초].
36.귀구鬼臼,小蘗-매자나무과팔각연-큰두여미조자기PODOPHYLLUM VERSIPELLE 의 뿌리줄기이다.맛은 맵고 성질은 따뜻하다.주로 고독을 없애고 귀주,귀정물,상서롭지 못한 악기,사기를 몰아내고 모든 독을 해독한다.원의垣衣를 두려워 한다.내복시 3.7-11.1그램을 달여서 복용하거나 갈은 즙을 복용하거나 산제,환제로 복용한다.
하100.귀구(鬼臼)
전체가 천남성과 비슷하여 판단하기 어렵다. 다만 천남성의 뿌리는 작고 연약하며 살이 많고 결이 작아서 구우면 잘 터지고 귀구의 뿌리는 큰 것이 구별이 된다[본초].
○ 고독, 귀주를 죽이며 악기를 물리친다[본초].
37.양도羊桃-獼猴桃미후도,다래과 미후도ACTINIDIA CHINENSIS PLANCH의 열매이다.우리나라에서는다래나무A.CHINENSISPLANCH,쥐다래나무A.KOLOMIKTA를 약용한다.맛은 달고 성질은 차다.주로 심한 열로 신체가 심하게 붉은 색을 띠는 것,풍수,적취,악창을 치료하고 소아의 열을 제거한다.내복시 1-2냥을 달여서 복용한다.비위가 허하고 찬 사람은 복용에 주의해야 한다.
果28.미후도(獼猴桃, 다래)
성질은 차며[寒] 맛이 시고[酸] 달며[甘] 독이 없다. 심한 갈증과 번열을 멎게 하며 석림을 치료한다. 또 비위(脾胃)를 차게 하고 열기에 막힌 증과 반위(反胃)를 치료한다.
○ 어느 곳에나 다 있으며 깊은 산속에서 자라는데 나무를 감고 덩굴지어 뻗어 있다. 그 열매는 푸른 풀색이며 생김새가 좀 납작하면서 크다. 처음에는 몹시 쓰고 떫다가[甚苦澁] 서리를 맞은 다음에는 맛이 달고[甘] 좋아져서 먹을 만하다. 일명 등리(藤梨)라고도 한다[본초].
38.여청女靑-鷄屎藤계시등,꼭두서니과 계시등PAEDERIA SCANDENS(LOOR.)MERR의 전초 및 뿌리이다.맛은 맵고 성질은 평하다.고독을 치료하고 사기와 악기-육음과 역려지기를 구축하고귀학鬼虐을 죽이고 상서롭지 못한 것을 없앤다.내복시 11.1-18.5그램(대제량은 37-74그램)을 달여 먹거나 술에 담가 복용한다.외용시 짓찧어 바르거나 달인 물로 씻는다.
39.연교連翹,,물푸레나무과 연교-개나리FORSYTHIA KOREANA NAKAI,중국개나리F.SUSPENSA(THUNB)VAHL,의성개나리F.VIRIDISSIMA LINDL의 열매이다.맛은 쓰고 성질은 평하다.주로 한열,서루,나력-주로 목부위의 결핵성 임파선염,옹종,악창,영류-혹,기가 모이는 것,고독을 치료한다.내복시 3-5돈을 달이거나 환제,산제로 복용한다.외용시 달인 물로 씻는다.비위허약,기가 허해 발열하는 사람,옹저가 궤양이 된 사람,膿稀色淡농희색담한 사람은 복용해서는 안된다.혈압조절 내지 혈압강하
하115.연교(連翹)
성질은 평(平)하고 맛은 쓰며[苦] 독이 없다. 나력, 옹종, 악창, 영류(癭瘤)와 열이 뭉친 것, 고독을 낫게 하며 고름을 빨아내고[排] 창절(瘡癤)을 낫게 하며 통증을 멎게 한다. 5림과 오줌이 막힌 것을 낫게 하고 심에 열이 있는 것을 없앤다.
○ 잎은 계소(水蘇)와 같고 줄기는 붉으며 높이는 3-4자이고 꽃은 누르며 아주 귀엽게 생겼다. 가을에 깍지가 있는 열매가 달리는데 쪼개면 속이 벌어지고 조금만 마르면 곧 떨어져서 줄기에 붙어 있지 않는다. 곳곳에 있는데 나무가 늙어야 열매가 달리기 때문에 구하기 어렵다. 열매는 조각져서 서로 나란히 있어 깃과 같기 때문에 연교라 한 것이다[본초].
○ 수족소양경과 양명경의 약이며 소음경으로 들어간다. 속을 버리고 쓴다. 누창[瘻]과 옹종 때 없어서는 안 되는 약이다[입문].
40.난여蘭茹-閭茹여여,천남성과 海芋해우-천가天苛ALOCASIA ODORA(ROXB)C.KOCK의 뿌리줄기이다.맛은 맵고성질은 차다.주로 헌데,궂은 살,헌데,굳은 살을 치료하고 옴벌레를 죽이며 고름과 악혈을 배출시키고 대풍과 열기를 없애고 건망증과 즐겁지 아니한 것을 치료한다.감초를 사약으로 하며 맥문동을 꺼린다.내복시 1-3돈을 오래 달인다.신선한 것은 0.5-1냥을 썰어 대미와 함께 쌀이 눌을 때까지 볶은 다음 물에 넣고 쌀이 연해질 때까지 끓여 찌꺼기를 제거한다.외용시 구워서 붙인다.또는 쪄서 뜨겁게 하여 문지르거나 찧어서 바른다.생것은 복용하면 중독되어 혀가 붓고 심할 때는 질식한다.허약자는 복용을 금한다.
하117.여여(閭茹)
성질은 차고[寒] 맛은 매우며 시고[辛酸] 조금 독이 있다. 궂은 살[惡肉]을 없애며 옴벌레를 죽이고 고름을 빨아내며 궂은 피[惡血]를 없앤다.
○ 잎에서는 진이 나며 뿌리는 무와 비슷하다. 껍질은 누르고 속은 희다. 음력 5월에 뿌리를 캐 그늘에 말린다. 대가리가 검은 것이 좋다[본초].
41.오구烏韭-大葉金花草대엽금화초,鱗始蕨인시궐과烏蕨오궐Stenoloma chusanum(L.) Ching의 전초 또는 뿌리줄기이다.맛은 달고 성질은 차다.주로 피부왕래한열을 치료하고 소장,방광의 기를 좋게 한다.내복시 37-74그램을 달이거나 짓찧어 즙을 마신다.외용시 짓찧어 바르거나 또는 갈아서 가루내어 아픈 곳에 뿌린다.
42.녹곽鹿藿,콩과 녹곽-쥐눈이콩Rhynchosia volubilis Lour의 줄기와 잎이다.맛은 쓰고 성질은 평하다.주로 여자의 복통과요통으로 즐겁지 아니한 것,장옹-충수염,나력창,양기瘍氣를 치료한다.내복시 11.1-18.5그램을 달여서 복용한다.외용시 짓찧어 바른다.
43.조휴蚤休,백함과삿갓나물PARISVERTICIUATA,七葉칠엽일지화P.POLYPHYLLA SMITH,金線重樓금선중루P.CHINENSIS FRANCH.의 뿌리와 줄기이다..闊瓣활판조휴P.P.SMITN=H VAR PLATYPETALA FRANCH.,毛脈모맥조휴P.P.SMITH VAR PUBESCENS HAND-MAZZ,狹葉협엽조휴P.P.SMATH VAR STENOPHYLLA FRANCH,雲南운남중루P.P.SMITH VAR YUNNANENSIS(FRANCH)HAND-MAZZ도 약용한다.맛은 쓰고 성질은 서늘하다.주로 경간으로 머리를 흔들거나 혀가 입밖으로 나와 계속 움직이는 것,뱃속에 열기가 있는 것,전질,옹창,음식창을 치료하고 3충을 밀어내고 뱀독을 푼다.[맛은 쓰고 성질은 서늘하다.주로 경간,전간의 발작으로 혀를 깨무는 증상,열기가 뱃속에 있는 증상,전간,옹창-옹과 그 부스럼,음식을 치료하고 3충을 제거하고 뱀의 독을 제거한다.]내복시 1-3돈을 달이거나 갈거나 찧어서 즙으로 하거나 가루내어 복용한다.외용시 찧어서 바르거나 가루내어 개어서 바른다.허약하고 실화와 열독이 없는 사람,陰證外瘍음증외양 및 임산부는 복용해서는 안된다.
44.석장생石長生,석장생-單蓋鐵線蕨ADIARTUM MONOCHLAMYS EATUN의 줄기와 잎이다.맛은 짜고 성질은 서늘하다.주로 한열,악창,불의 열기에 상한 것을 치료하고 상서롭지 못한 사기를 제거한다.
45.육영陸英,인동과 식물 삭조SAMBUCUS JAVANICA REINW의 꽃이다.맛은 쓰며 성질은 차다.주로 뼈사이의 비증,사지의 경련과 동통,무릎이 차고 아픈 것,음위,短氣不足,다리가 붓는 것을 치료환다.내복시 3-5돈을 달여 복용한다.외용시 달인 물로 씻는다.
하99.삭조(蒴藋,말오줌 나무)
성질은 따뜻하고[溫](서늘하다[凉]고도 한다) 맛은 시며[酸] 독이 있다. 풍으로 가려운 것, 두드러기가 돋으면서 몸이 가려운 것, 와창, 문둥병, 풍비를 낫게 한다.
○ 일명 접골목(接骨木)이라고도 하며 곳곳에 있는데 봄과 여름에는 잎을 따고 가을과 겨울에는 줄기를 베며 뿌리를 캐 삶은 물에 목욕하는 것이 좋다[본초].
46.신초藎艸,벼과 신초-조개풀ARTHRAXON HISPIDUS (THUNB)MAK.의 전초이다.맛은 쓰고 성질은 평하다.주로 오래된 기침,기가 치밀면서 천식하는 것,오래된 한증,가슴이 두근거리는 것,헌데와 옴,백독창의 양기-종기나 헌데가 생기게하는 나쁜 기운-를 다스리고 피부의 작은 벌레를 죽인다.서부를 두려워 한다.내복시 2-4돈을 달여 복용한다.외용시 달인 물로 씻거나 짓찧어 바른다.
47.우편牛扁,미나리아제비과 우편ARCONTINUM OCHRANTHUM MEY의 줄기와 잎이다.맛은 쓰고 성질은 약간 차다.주로 피부의 창병-부스럼과 열기를 치료하고 욕탕제로 쓸 수 있다.소의 이와 작은 벌레 및 우병을 치료한다.
48.하고초夏枯艸,꿀풀과 꿀풀-가지대기 PRUNELLA VULGARIS 의 전초이다.맛은 쓰고 맵다.성질은 차다.오한이 나면서 열이 나는 것,나력,서루,머리의 헌데,징가,영류,기가 뭉친 것,다리가 부은 것,습비를 치료하고 몸을 가볍게 한다.토과를 사약으로 한다.내복시 2-5돈을 달이거나 졸여서 고제로 만들거나 환제,산제로 하여 쓴다.외용시 달인 물로 씻거나 찧어서 바른다.비위가 허약한 사람은 복용에 주의한다.혈압을 내린다.
하129.하고초(夏枯草, 꿀풀)
성질은 차고[寒] 맛은 쓰며 맵고[苦辛] 독이 없다. 추웠다 열이 났다 하는 나력(瘰癧), 서루(鼠瘻)와 머리에 헌데가 난 것을 낫게 하며 징가와 영류를 삭이고 기가 몰린 것[結]을 헤치고 눈 아픈 것[目疼]을 낫게 한다.
○ 곳곳에서 난다. 겨울에도 얼지 않는다. 봄에 흰 꽃이 피는데 음력 5월에 가면 마른다[枯]. 4월에 채취한다[본초].
○ 『예기』 월령(月令)에 미초(靡草) 죽은 것이 가을 기운을 받아서 살아나고 여름에 화(火)가 왕성한 시절에 가서 죽는다고 하였다. 음력 4월에 채취하여 그늘에서 말린다[입문].
○ 이 풀은 본래 순수 양의 기운[純陽之氣]을 받은 것이므로 음기(陰氣)를 만나면 말라든다. 궐음(厥陰)의 혈맥(血脈)을 보하는 효과가 있다. 그렇기 때문에 눈 아픈 것을 신기하게 고치는데 이것은 양으로 음병(陰病)을 낫게 하는 이치이다[강목].
49.원화芫華,팥꽃나무과 원화-팥꽃나무DAPHNE GENKWA SIEB ET ZUCC의 꽃봉오리-華蕾화뢰이다.맛은 맵고 성질은 따뜻하다.주로 기침과 기가 치미는 것,후두에서 소리가 나는 것,인후가 북는 것과 천식,고독,鬼疟학질,산가,부스럼을 치료하고 벌레와 어류를 죽인다.결명자를 사약으로 하고 감초와 반한다.내복시 0.5-1돈을 달여 복용하거나 환제,산제로 복용한다.외용시 갈아서 가루내어 개어서 바르거나 달인 물로 입을 가신다.허약자와 임산부는 복용을 금한다.
木81.원화(芫花)
성질은 따뜻하며[溫] 맛은 맵고[辛] 쓰며[苦] 독이 있다(독이 많다고도 한다). 배가 창만한 것, 수종, 한담(寒痰)으로 침뱉기를 좋아하는 것, 기침, 장학(瘴瘧), 고독, 옹종, 악창, 풍습증을 낫게 하며 벌레나 생선 물고기의 독을 푼다.
○ 음력 1-2월에 꽃이 피는데 붉고 푸른 빛이다. 잎이 돋기 전에 꽃을 따서 햇볕에 말린다.
○ 쓸 때는 식초에 축여 볶아 쓰는데 눈에 가까이 하지 말아야 한다[본초].
댓글 없음:
댓글 쓰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