즐거운 영화세상

2010년 4월 11일 일요일

동의고전 정선 임상응용방제-상한,감기,부종

상한,감기




☼[화제방] 대시호탕

상한이 10여 일 되었는 데도 사기가 속에 몰려서 한열이 왕래하고 대변이 굳고 배가 그득하면서 불러 오르고 아픈 증상,헛소리를 하고 가슴속이 트릿하면서 딴딴하고 음식물이 내려가지 않거나,대변을 보지 못한 지 5~6일이 되어 배꼽노리가 찌르는 것같이 아프고 때때로 번조증이 나는 증상,땀을 낸 다음 학질같이 해질 무렵에 열이 나면서 장부가 실하고 맥에 힘이 있는 증상을 치료하는 처방.

지실(去瓤炒) 반량,시호(去蘆) 반근,반하(湯洗七次切焙) 2량 반, 적작약 황금 각 3량,대황 2량을 거칠게 가루내어 반하를 섞은 다음 매회 3잔(대)씩을 물 1종발 반에 생강 5편.대조 1매와 같이 넣고 1종발이 되게 달여 찌꺼기를 짜 버리고 식후나 잠잘 무렵에 온복한다.이 약은 상한때 속에 있는 열이 있는 이실증에 쓰는데 만일 표증이 채 풀리지 않아 몸이 아플 때는 복용해서는 안된다.

☼[성제총록] 소승기탕

양명병에 섬어(헛소리)를 하면서 조열이 나고 맥이 滑하면서 疾한 증상을 치료한다.

대황(酒洗剉炒) 4량,후박(去麤皮薑汁製) 2량,지실(麩炒) 1량.

이상을 잔 콩알만큼 썰어서 잘 섞은 다음 매회 4전씩을 물 1잔 반에 8분쯤 되게 달여 찌꺼기를 짜 버리고 따뜻하게 해서 복용한다.처음 복용하면 설사한다.만일 설사하지 않으면 다시 복용한다.

☼상한 양명병에 땀이 많이 나서 진액이 겉으로 나와 뱃속의 대변이 굳어져 보기 힘들면서 헛소리를 할 때에는 소승기탕을 복용하는 것이 좋고,만일 한번 복용하고 헛소리가 멎으면 더 복용하지 말아야 한다.

대황 4량,후박(겉껍질을 긁어 버리고 생강즙으로 법제한 것) 2량,지실(큰 것으로 밀기울과 함께 볶은 것) 3매.

이상을 잔 콩알만큼 썰어서 잘 섞은 다음 매회 4전씩을 물 1잔 반에 8분쯤 되게 달여 찌꺼기를 짜 버리고 따뜻하게 해서 복용한다.

☼[주후방] 대시호탕

실열이 있어서 땀을 내도 풀리지 않고 배가 그득하면서 아프면 번조증이 나고 허튼 소리를 하려는 증상을 치료한다.

시호 반근,대황 작약 각 1량,황금 3량,지실 10매,반하(洗) 생강 각 5량,대조 11매를 약간 썰어서 물 1되에 달여 4승이 되면 찌꺼기를 짜 버리고 4회에 분복한다.복용한 후 반드시 약간의 설사를 한다.『위생보감』에는 위 처방에서 생강 대조를 뺀 나머지 6가지를 썰어서 매회 5전씩을 물 1잔반에 생강 5편,대조 1매를 같이 넣고 8분쯤 되게 달여 찌꺼기를 짜 버리고 수시로 복용한다고 하였고,『화제방』에는 매회 3전씩 복용하다고 하였다.

☼[성혜방] 인삼산

상한에 머리가 아프고 담독으로 장열이 나며 가슴이 막힌 것처럼 답답한 증상을 치료한다.

인삼(거노) 적복령 선복화 세신 백지 각 1량,건강(炮製剉) 반량,적작약 1량,반하(湯洗七次去滑) 반량,전호(去蘆) 1량을 가루 내어 매회 3전씩을 물 1잔(중)에 생강 반푼을 같이 넣고 6분쯤 되게 달여 찌꺼기를 짜 버리고 수시로 온복한다.

☼대반하탕

상한 담증에 외증으로 오한이 나면서 장열이 나고 악풍,자한,가슴이 그득하며 기가 목구멍으로 치밀어서 숨을 제대로 쉬지 못하지만 머리는 아프지 않고 또 목도 뻣뻣하지 않은 증상을 치료하는데 담연이 많아서 머리가 은은히 아프고 촌 구맥이 浮하거나 伏한 증상도 치료한다.

반하 백복령 생강 각 1전을 물 2잔에 달여 1잔이 되면 찌꺼기를 짜 버리고 잠 잘 무렵에 복용한다.

☼[성혜방] 시호산

상한으로 열이 나면서 땀을 냈는 데도 풀리지 않고 명치 밑이 더부룩하고 딴딴하면서 담이 계속 치밀어 올라오는 증상을 치료한다.

시호(거묘) 1량 반,지실(부초미황) 황금 각 반량,적작약 반하(끌는 물에 7번 씻어 진을 뺀 것) 각 3전을 가루 내어 찌꺼기를 짜 버리고 수시로 온복한다.

☼[상한론] 소승기탕

상한 6~7일에 대변을 보지 못하고 배가 창만한 증상과 양명병에 표증이 없는데 땀을 낸 뒤 오한은 없으나 조열이 나면서 허튼 소리를 하고 숨이 찬 증상을 치료하는 증상을 치료한다.

대황 4량,후박(구거피) 2량,지실(대자구) 3매를 물 4승에 달여 1승 2홉이 되면 찌꺼기를 짜 버리고 2회에 나누어 더운 것을 마신다.처음 약을 복용하면 대변이 나오며 만일 나오지 않으면 더 복용하고 나오면 더 복용하지 말아야 한다.

☼박하죽 時氣病을 앓은 후에 勞復이 생겨 사지번동한 증상을 치료한다.

박하 1악,아교(부스려뜨려서 누렇게 마르도록 볶은 것) 1량,승마 1량,두심 1홉을 잘게 썰어서 고루 섞은 다음 물 2椀(사발)에 달여 1완이 되면 찌꺼기를 짜 버리고 갱미(멥쌀)를 넣고서 죽을 쑤어 먹은 다음 두껍게 덮고 땀을 내면 차도가 있다.

☼[성혜방] 시심산

시기병(돌림병)이 나은 후에 음식물을 지나치게 먹고 맥이 실,삭하면서 다시 시기병 초기와 같은 증상이 나타나는 것을 치료한다.

두심(약전국 속) 2홉,웅서분 14매,백출 1량,대황(썰어서 약간 볶은 것) 2량,치자인 목통(썬 것) 각 1량을 거칠게 가루내어 매회 3전씩을 물 1잔(중)에 생강 반푼을 같이 넣고 달여 6분이 되면 찌꺼기를 짜 버리고 수시로 온복한다.

☼[성제총록] 상한을 앓은 후에 여열이 있어 땀이 나며서 학질처럼 해질 무렵에 열이 나며 맥이 실한 증상은 대시호탕을 복용해서 설사시키는 것이 좋다.

시호(거묘) 8량,황금(거흑심) 3량,반하(생강즙에 포제하여 약한 불에 말린 것) 2량,지실(속을 버리고 밀기울과 함께 볶은 것) 4매,대황 2량을 잘게 썰어서 매회 5전씩을 물 1종발 반에 생강 반푼을 넣고 1종발이 되면 찌꺼기를 짜 버리고 온복하며,설사가 나며 열이 내릴 때까지 복용한다.

☼갈근인삼탕

상한에 땀을 냈고 토하게도 하고 설사를 시켰는데 여열이 없어지지 않고 두통이 나며 가슴이 그득하고 답답하며 입이 마르는 증상을 치료한다.

갈근 인삼 각 1량,맥문동(거배심) 반량,황금(거흑심) 반량,황기 1량,지골피 석고(쇄) 각 반량을 거칠게 가루내어 매회 5전씩을 물 1종발 반에 달여 1종발이 되면 찌꺼기를 짜 버리고 온복한다.

☼상한을 앓은 후에 허하고 여위여서 도한이 계속 나는 증상을 치료한다.

백출을 곱게 가루내어 1일 3~4회 매회 2전씩 새로 길어온 물에 타서 복용한다.『성제총록』에는 석창포 달인 물에 타서 수시로 복용한다고 하였다.또한 황기(좌) 모려분 백출(좌) 각 1량을 물 3잔(대)을 넣고 달여 2잔이 되면 찌꺼기를 짜 버리고 식후에 1잔씩 온복한다.

☼[성제총록] 황기산

상한을 앓은 후에 여열이 나면서 음식물을 먹을 생각이 없으며 땀이 계속 나는 증상을 치료한다.

황기(좌) 백복령(거흑피) 인삼 백출 각 1량,모려(燒) 1량반,맥문동(거흑심) 진귤피(거백절초) 각 반량을 곱게 가루 내어 매회 2전씩을 미음에 타서 수시로 복용한다.

☼백출황기탕

상한을 앓은 후 위기가 몹시 허해져서 음식 먹을 생각이 없으며,날이 갈수록 점점 더 여위는 증상을 치료한다.

백출 황기(좌) 각 1량,산수유 인삼 복신(거목) 오미자 각 3전,반량(탕세칠차초) 전호(거노) 산우 길경(초) 각 반량을 거칠게 가루 내어 매회 5전씩을 물 1종발 반에 대추만한 생강을 부스려뜨려 갈아 넣고 달여 1종발이 되면 찌꺼기를 짜 버리고 공복에 온복한다.

☼복신산

상한을 앓은 후 몸이 허하고 여위며 심기가 몹시 약해서 경계증과 건망증이 있는 증상을 치료한다.

복신 1량,백작약 반량,황기 1량,인삼(거노) 반량,원지(거심) 3전,석창포 1량을 가루 내어 매회 3전씩을 물 1잔에 대조 3매를 같이 넣고 6분쯤 되게 달여 찌꺼기를 짜 버리고 수시로 온복한다.

☼궁궁산

상한에 이미 땀을 냈는 데도 열이 계속 있으면서 심하(명치 밑)가 두근거리고 두통이 나며 눈이 어지럽고 가슴이 답답하면서 숨이 찬 증상을 치료한다.

궁궁 길경(거노) 석고 인삼(거노) 백복령 맥문동(거심) 각 1량,지각(속을 버리고 밀기울과 함께 약간 누렇게 볶은 것) 선복화 각 반량,전호(거노) 1량을 가루 내어 매회 4전씩을 물 1잔(중)에 생강 반푼,대조 3개를 같이 넣고 6푼쯤 되게 달여 찌꺼기를 짜 버리고 수시로 온복한다.

☼상한을 앓은 후 몸이 허하고 가슴이 답답하여 누워서 자지 못하고 사지에 힘이 없는 증상을 치료한다.

반하(탕세칠차거활)3전,백복령 1량 반,황금 1량을 가루 내어 매회 5전을 물 1잔(대)에 생강 반푼과 갱미 50립을 같이 넣고 달여 절반이 되면 찌꺼기를 짜 버리고 온복한다.

☼산조인탕

상한을 앓은 후 몸이 허하고 기력이 없으며 근맥이 땅기고 사지가 아프면서 잠을 못 자는 증상을 치료한다.

산조인(미초) 1량,맥문동(거심) 방풍(거노) 궁궁 각 반량,당귀(剉微炒) 백복령 영양각(설) 인삼(거노) 황기(좌) 각 3전을 가루내어 매회 4전씩을 물 1잔(중)에 생강 반푼과 대조 3개를 같이 넣고 6분쯤 되게 달여 찌꺼기를 짜 버리고 온복한다.

☼마황계지탕(麻黃桂枝湯)

태양병에 걸린 지 8-9일이 지나서도 학질( 疾)과 같이 열이 났다 오한이 났다 하는 것을 치료한다.

계지, 집함박꽃뿌리(작약) 각각 8g, 마황 4.8g, 감초 4g, 살구씨(행인) 3.2g.

위의 약들을 썰어서 1첩으로 하여 생강 5쪽, 대추 2알과 함께 물에 달여 먹는다[입문].

☼소시호탕(小柴胡湯)

소양병의 반표반리증으로 추웠다 열이 났다 하는 것을 치료하는데 잘 화해시킨다. 그리고 속의 열을 내리고 겉에 있는 사기[外邪]를 풀어 주므로 상한을 치료하는 처방들 가운데서는 첫째 가는 것이다.

시호 12g, 속썩은풀(황금) 8g, 인삼, 끼무릇(반하) 각각 4g, 감초 2g.

위의 약들을 썰어서 1첩으로 하여 생강 3쪽, 대추 2알과 함께 물에 달여 먹는다[입문].

○ 일명 삼금탕(三禁湯)이라고도 하는데 이 이름은 땀을 내거나 오줌이 잘 나가게 하거나 설사를 시키지 말아야 한다는 의미에서 지은 이름이다. 이 약은 화해시키는 약제이다[입문].

○ 소양병 반표반리증과 땀을 내고 설사시켜도 풀리지 않고 나을 때가 지났어도 낫지 않는 것, 돌림온역[瘟疫], 혈실(血室)에 열사(熱邪)가 들어간 증상들을 주로 치료한다. 그 중에서도 아래의 5가지 증상에 더 적당하다. 그 첫째는 상한(傷寒)에 걸린 지 5-6일이 되어 속이 답답하고 자주 구역질하는 것이고 둘째는 추웠다 열이 났다 하는 것이며 셋째는 귀가 먹고 가슴이 더부룩한 것[ 滿]이고 넷째는 조열(潮熱)이 나는 것이며 다섯째는 나은 다음에도 열이 나는 것이다[입문].

○ 일명 인삼탕(人蔘湯)이라고도 한다[득효].

☼후박반하탕(厚朴半夏湯)

상한 때 땀을 낸 다음 배가 불러 오르고 그득하게 된 것을 치료한다.

후박 12g, 인삼, 끼무릇(반하) 각각 6g, 감초 3g.

위의 약들을 썰어서 1첩으로 하여 생강 7쪽과 함께 물에 달여 먹는다[중경].

☼오적산(五積散)

풍한(風寒)에 상하여 머리와 몸이 아프고 팔다리가 싸늘하며 가슴과 배가 아프고 토하며 설사하는 것과 속으로는 날것과 찬 음식에 상하고 겉으로는 풍랭(風冷)에 상한 것도 다 치료한다.

삽주(창출) 8g, 마황, 귤껍질(陳皮) 각각 4g, 후박, 도라지(길경), 지각, 당귀, 건강, 집함박꽃뿌리(백작약), 흰솔풍령(백복령) 각각 3.2g, 구릿대(백지), 궁궁이(천궁), 끼무릇(반하), 계피 각각 2.8g, 감초 2.4g.

위의 약들을 썰어서 1첩으로 하여 생강 3쪽, 파밑(총백) 3대와 함께 물에 달여 먹는다[입문].

○ 어떤 처방에는 육계와 구릿대(백지)를 내놓은 나머지 약재를 약한 불에 빛이 좀 변할 때까지 닦아 식힌 다음 육계와 구릿대(백지)를 섞어서 쓰게 되어 있다. 이것을 일명 숙료오적산(熟料五積散)이라고 한다. 약을 닦지 않고 쓰는 것은 일명 생료오적산(生料五積散)이라고 한다[해장].

☼정양산(正陽散)

상한음증을 치료한다.

마황 6g, 귤껍질(陳皮), 대황, 건강, 육계, 집함박꽃뿌리(작약), 부자(싸서 구운 것), 끼무릇(반하, 법제한 것), 감초(닦은 것) 각각 2.8g, 오수유 2g.

위의 약들을 썰어서 1첩으로 하여 생강 3쪽, 대추 2알과 함께 물에 달여서 먹은 다음 땀을 낸다[본사].

☼마황행인음(麻黃杏仁飮)

상한태양경병(傷寒太陽經病)으로 열이 나고 오한이 나며 머리가 아프고 땀이 나지 않으면서 맥이 부긴(浮緊)한 것을 치료한다.

마황, 도라지(길경), 전호, 속썩은풀(황금), 귤껍질(陳皮), 끼무릇(반하, 법제한 것) 각각 4g, 살구씨(행인), 족두리풀(세신) 각각 3.2g, 방풍 2.8g, 감초 1.6g.

위의 약들을 썰어서 1첩으로 하여 생강 3쪽과 함께 물에 달여 먹는다[입문].

☼총백산(葱白散)

사철 상한(傷寒)이나 상풍(傷風)으로 머리가 아프고 몸이 열이 나며 번갈(煩渴)이 나는 것을 치료한다.

마황 8g, 삽주(창출), 흰삽주(백출), 궁궁이(천궁) 각각 6g, 석고, 칡뿌리(갈근), 감초 각각 3g.

위의 약들을 썰어서 1첩으로 하여 생강 3쪽, 파밑(총백) 2대와 함께 물에 달여 먹는다[국방].

☼소청룡탕(小靑龍湯)

상한표증(傷寒表證)이 풀리지 않고 명치 밑에 수기(水氣)가 있어서 헛구역이 나며 기가 치밀고 열이 나며 기침이 나고 숨이 찬 것을 치료한다.

마황, 집함박꽃뿌리(작약), 오미자, 끼무릇(반하, 법제한 것) 각각 6g, 족두리풀(세신), 건강, 계지, 감초(닦은 것) 각각 4g.

위의 약들을 썰어서 1첩으로 하여 물에 달여 먹는다. 이 약을 먹은 다음 갈증이 나는 것은 속이 더워져서 수기가 흩어지려는 것이다[정전].

☼죽엽석고탕(竹葉石膏湯)

상한병이 나은 뒤에 남은 열과 양명증, 저절로 나는 땀과 번갈 또는 병이 나은 다음의 허번증 등을 치료한다.

석고 16g, 인삼 8g, 맥문동 6g, 끼무릇(반하) 4g, 감초 2.8g.

위의 약들을 썰어서 1첩으로 하여 참대잎(죽엽) 7잎, 흰쌀 100알 과 함께 물에 넣고 달인 다음 2숟가락의 생강즙을 넣어 먹는다[입문].

☼소함흉탕(小陷胸湯)

소결흉을 치료한다.

끼무릇(반하, 법제한 것) 20g, 황련 10g, 하늘타리열매(과루, 큰 것이면 4분의 1).

위의 약들을 썰어서 1첩으로 한다. 먼저 물 2잔에 하늘타리열매(과루)를 넣고 달여 1잔이 된 다음 끼무릇(반하)과 황련을 넣어 반잔이 되면 찌꺼기를 버리고 따뜻하게 하여 먹는다. 설사하지 않으면 다시 먹게 한다. 누른 거품을 설사하면 곧 낫는다[중경].

○ 어떤 처방에는 지실, 속썩은풀(황금), 도라지(길경)를 더 넣어 쓰면 더욱 좋다고 하였다[입문].

○ 하늘타리열매(과루)는 껍질만 썰고 씨는 썰지 않는다. 씨를 써는 것은 잘못된 것이다[단심].

☼삼물백산(三物白散)

한실결흉(寒實結胸)을 치료한다.

도라지(길경), 패모 각각 12g, 파두(껍질과 심을 버리고 닦아서 걸게 간 것) 4g.

위의 약들을 가루를 내어 고루 섞은 다음 한번에 2g씩 끓인 물에 타 먹는다. 약한 사람은 그 절반 양을 줄여 쓰는데 혹 토하거나 설사할 수 있다. 만일 설사하지 않으면 따끈한 죽 1사발을 먹고 설사가 멎지 않으면 식은죽 1사발을 먹는다[입문].

☼[신농본초경]

1咳逆上氣,2下氣,3傷寒

1자석영[心腹欬逆邪氣],복령[한열번만해역],백석영[해역,흉격간구한],태일여랑,우여랑[해역한열번만],백지,모계[상기해역],창포,원지[해역傷中],세신[해역],방규[해역],미무[해역],해합,회목[久해상기],석종유,건강,마황,죽엽,관동화,촉초[사기해역],원화[해역상기,喉鳴喘,咽腫短氣],구문,낭독,오두,부자[풍한해역상기],사간[해역상기,후痺인통不得消息],촉칠[학 및 해역한열],반하[해역장명],황환[해역한열],여로[두양],신초[구해상기],열옹[해역독기],부비[虐역한열]2 석곡,귤유,오수유,죽근作湯,매실,수소,연단,촉초,선복화,반하,행핵인,3 속단,단웅계뇨백[상한번열],패모[상한한열],모려[상한한열],마황[상한두통,발표출한,해역상기],후박[중풍상한두통],파두[상한온학한열],연실[溫疾상한],항산[상한한열],반하[상한한열]

1喉痺,2胸膈間久寒

1 모계,질려자,패모[辛平],관동화,원화[해역상기,喉鳴喘, 咽腫短氣],사간[苦平,해역상기,후痺인통불득소식],반하[辛平,인후종통],행핵인[雷鳴후비],2 백석영

1不能息,2驚喘,3喘逆久寒,4 短氣

1.2석고,1 용치[불능천식],해합[해역상기,천식번만],3 신초,관동화[해역상기,善喘],원화[해역상기,喉鳴喘,咽腫短氣],4 맥문동,육영[단기부족],원화

☀복령[口焦舌乾],석고[口乾舌焦不能息]

煩滿

복령[한열번만해역],우여랑,석룡예,경천[身熱번],방풍,해합,의수석[피부如火燒번만],이석[利胃解煩],패모[상한번열],괄루근[소갈,번만],단삼,산장,매실,로감[대열소갈광번],연실[대열광번]









부종




♣[성혜방] 수기로 온몸이 붓고 가슴속이 땅기면서 딴딴한 기가 그득하며 숨이 차고 대소변이 나오지 않는 증상을 치료하는 처방.

상백피(좌) 3량,적소두(물 5승에 삶아서 2승이 되게 한다) 1승,욱이인(끓는 물에 담갔다가 껍질을 버리고 약간 볶은 것) 2량,진피(거백) 3량,자소엽 3량,백모근(좌) 3량을 가루 내어 매회 5전씩을 팥쌂은 물 1잔(대)에 달여 절반이 되면 찌꺼기를 짜 버리고 온복하되 1일 3회 복용한다.

♣수기로 배까지 부어 팽팽해지고 음식물을 먹으려고 하지 않는 증상을 치료하는 처방이다.

대극(좌쇄미초) 1량,조협(灸黃燋去皮子) 1량,烏扇오선 1량을 가루 내어 연밀에 반죽하여 오자 크기로 환을 지어 매회 5환씩 공복에 더운 물로 복용하면 반드시 1~2회 설사한다.다음날 다시 복용한다.

♣수기로 다리와 무릎이 붓고 명치 밑으로 치밀어 올라 더부룩하면서 숨이 차고 소변이 잘 안나오는 증상을 치료하는 처방.

상륙 1량,적소두 1홉,목통(좌) 택사 적복령 진귤피(湯浸去白瓤焙) 각 반량,총백 3경,생강 1전을 잘게 썰어 물 3잔(대)에 달여 1잔 반이 되면 찌꺼기를 짜 버리고 식전에 3회 나누어 온복한다.

♣대극산

수기로 몸이 붓고 배가 창만하며 대소변이 나오지 않는 증상을 치료한다.

대극(剉碎微炒) 진피(끓는 물에 담갔다가 흰 속을 버리고 약한 불에 말린 것) 상륙 목통(좌) 구맥 각 1량을 거칠게 가루내어 매회 3전씩을 물 1잔(중)에 6분쯤 되게 달여 찌꺼기를 짜 버리고 공복에 온복한다.만일 대소변이 나오지 않으면 한참 있다가 또 복용한다.

♣수기를 치료하는데 소변이 잘 나오게 하고 부종을 내리게 하는 처방

鯉魚이어(잉어) 1근되는 것 한 마리를 보통 해 먹을 때처럼 손질하여 끓인 다음 동과와 총백을 같이 넣고 국을 끓여 복용한다.낫지 않으면 다시 만들어 복용한다.

♣예어죽 수종을 치료하고 소변을 잘 보게한다.

예어(1근이 되는 것을 내장을 버리고 씻는다) 1미,상륙(좌) 2량,적소두 3홉,좌소경엽 2량을 물 5잔(대)에 넣고 가물치가 풀어 지도록 달여 공복에 고기를 먹고 국물에는 총백(파밑)과 생강 귤피 식초를 조금 넣어서 국을 끓여 먹는다.이팥도 먹으면 효과가 좋다.

♣수기로 얼굴과 사지가 부석부석 붓고(허종),대변이 나오지 않는 증상을 치료한다.

잉어 1미(1근이 되는 것을 내장과 비늘을 버리고 깨끗이 씻는다),동마자(물에 갈아 즙을 1승을 받는다) 반승,적소두(깨끗이 일어 씻는다) 반승.먼자 물 4잔(대)에 잉어와 적소두를 넣고 끓인다.거의 익어갈 무렵에 마자즙을 넣고 10여 번 끓어오르게 달여 고기를 건져서 공복에 먹고 팥과 국물도 다 먹는다.

♣[성제총록] 대극산

온몸이 붓고 배가 창만하며 숨이 차고 소변이 잘 나오지 않는 증상을 치료한다.

대극(去皮細切微炒) 2량,건강(炮製) 반량을 가루 내어 매회 3전씩을 생강탕에 타서 복용한 다음 한참 있다가 찹쌀죽을 대소변이 잘 나올 때까지 복용한다.

♣욱리인탕

수기로 몸과 얼굴이 붓고 배가 창만하며 숨이 차고 기침을 하며 소변이 붉으면서 잘 나오지 않는 증상을 치료한다.

욱리인(끓는 물에 담갔다가 껍질을 버리고 볶아 말린 것) 1량,상백피(灸令黃剉) 반량,택칠경엽(微炒切) 반량,정력(炒令紫色) 2량,행인(湯浸去皮尖雙仁炒熟) 100매,적복령(거흑피) 1량 반을 거칠게 가루내어 매회 3전씩을 물 1종발 반에 대추만한 생강을 쪼개 넣고 달여 1종발이 되면 찌꺼기를 짜 버리고 온복한다.소변이 잘 나오면서 낫는다.

♣부은 증상이 배로 들어가서 배가 팽팽하게 불러 오르고 음식물을 먹지 못하는 증상을 치료하는 처방.

조협을 누렇게 구워 썬 것 3승을 술 1되에 담갔다가 그릇에 넣고 끓여서 매회 1승씩 1일 3회 복용한다.다 복용하면 다시 만들어 복용한다.

♣[외대비요] 수종병으로 부은 증상을 치료하는 처방.

아주 큰 잉어 한 마리를 대가리와 꼬리,뼈 등을 버리고 살만 발라 물 2되에 적소두 1승(대)과 같이 달여 2승이 되면 수건으로 찌꺼기를 짜 버리고 돈복한다.돈복하지 못하면 2회에 분복한다.복용 후에는 반드시 설사하고 낫는다.

♣머리와 얼굴,온 몸이 붓고 배가 창만한 증상을 치료하는 처방.

고호백양(표주박 흰속) 잘 여문 것을 대두만하게 떼어 밀가루 반죽에 싸서 삶아 익혀 공복에 7매를 복용하면 한 낮에 가서 물을 3~5승 정도 설사하고 3~4일 동안 무리 계속 저절로 빠지면서 낫는다.3일 동안 음식물을 삼가해야 한다.표주박은 반드시 검버섯같은 것이 덮이지 않는 것을 써야 한다.그렇지 않은 것은 유독하기 때문에 쓰지 못한다.

♣수기를 치료하는 처방.

상륙근 흰 것을 껍질을 버리고 팥알만하게 썬 것 1종발을 물 3승에 달여 1승 정도되면 좁쌀 1종발을 넣고 죽을 쑤어 공복에 온복한다.1일 2회 복용하면 몹시 설사할 수 있기 때문에 1일 1회씩 복용해서 조금씩 설사하게 한다.생 것,찬 것,여러 가지 잡스런 음식물을 먹지 말아야 한다.

♣[신농본초경]

1面目浮腫,2身面四肢浮腫,3脚腫

1이어담,여어,해[와벽면종],요실,총경作浴湯[중풍면목腫],욱이인[대복수종,면목사지부종],감수,택칠[대복수기,사지면목부종],2 과체,지모[지체부종],택란[대복수종,신면사지부종,골절중수],욱이인[면목수종,대복사지부종],택칠[대복수기,사지면목부종],고호[大水면목사지부종],3 육영,하고초[각종습비],

1消水,2水腫,3臚脹

1택사,진이[下水],황금[逐水],충위자[水氣],여어[습비,면목부종,하대수],과체[대수면목부종,하수],진이[하수],황금[축수],지모[하수],고삼[축수],茅苗[하수],수평[하수기],요실[하수],적소두[하수],대극[12수],요화[12수],선복화[제수],낭독[한열수기],연미[거수],조협[하수],유화[풍수],고호,2 시실,과체[大수종],택란[대복수종,신면사지부종,골절중수],욱이인[대복수종,사지면목부종],파두[대복水脹],구문,상륙[수창,산가痺],3 암려자,강랑[腹脹한열]

댓글 없음:

댓글 쓰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