동의고전 정선 임상응용방제
옹저
☼육배산 옹저를 치료하는데 托裏탁리작용을 한다.
황기(세좌,농이 많으면 배로 늘려 쓴다)1량 1푼,적소두(구건하면 배로 늘린다) 3전,궁궁(새살이 나지 않으면 배로 늘린다) 반량,백렴(창구가 아물지 않으면 배로 늘린다) 3푼,과루(거피,소변이 잘 나오지 않으면 배로 늘린다) 3푼,당귀(썰어서 약한 불에 말린 것으로 통증이 있으면 배로 늘린다) 3푼,당귀(썰어서 약한 불에 말린 것으로 통증이 있으면 배로 늘린다) 1량을 곱게 가루내어 매회 방촌시(사방 1촌되는 숟가락)로 하나씩 낮에 3회,밤에 2회 온주로 복용한다.대개 옹저가 몹시 딴딴한 것은 곪지 않은 것이고 좀 딴딴한 것은 절반 쯤 곪은 것이고 상피가 얇아진 것은 다 곪은 것이므로 곧 터트려야 한다.터트릴 때에는 아래에서 위로 올라가게 터트려야 농이 잘 빠진다.깊이 곪겨서 보이지 않고 살가죽이 두꺼우면 화침을 놓는 것이 좋다.만일 겉으로 보아 곪은 것을 알 수 없을 때에는 눌러 보는데 이때 속으로 은은하게 아프면서 가운데가 딴딴한 것은 곪지 않은 것이고 더 아픈 것은 곪은 것이다.
[주] 탁리작용:주로 기혈을 보하고 정기를 도와 주는 약을 복용해서 독을 밖으로 내몰게 하는 작용,내탁이라고도 한다.
☼구맥산 여러 가지 옹이 곪아 터졌거나 터지지 않았거나,창중에 농혈이 계속 나오면서 동통이 심한 증상을 치료한다.
구맥 백지 황기 당귀 세신 작약 궁궁 의이인 적소두 각 1량을 먼저 청주에 팥을 담았다가 구리그릇에 담가 말리기를 5회 거듭한 다음 다른 약들과 함께 곱게 가루내어 방촌시로 하나씩 1일 5회 온주에 타서 복용한다.3일 뒤에는 아픈 곳에 기육이 살아난다.『일방』에는 식초에 팥을 담갔다가 볶아 쓰되 몹시 아프면 구맥을 ,터지지 않았으면 백지를,농이 많이 나오면 황기,의이인,백작약을 각각 배로 늘려 쓴다고 하였다.
☼[천금방] 황혼탕 해수가 나고 미열이 있으며 가슴이 번만하고 가슴의 피부가 비늘처럼 거칠어지는 폐옹을 치료한다.
황기 손바닥만한것 1편을 잘게 썰어 물 3승에 달여 1승이 되면 2회에 분복한다.
☼발배 초기에 독이 성해서 붓고 열이 나며 벌겋게 헤어지는 증상을 치료하는 처방이다.
부평을 짓찧어 계란 흰자위에 개어 붙이면 낫는다.
☼ 독종을 속으로 삭게 하는 처방
백렴 백급 백지 각 2량을 곱게 가루내어 생강즙에 개어 바르되 마르면 다시 바른다.
☼갑자기 생긴 풍독종을 치료하는 처방
자리공을 짓찧어 붙이면 좋다.
☼[신농본초경]
1癰,2疽,3瘇,4癰傷,5惡瘡
1망초[옹종유옹],편청,송지,낙석[癰傷,癰腫不消],영실,상상기생[옹종],황기[옹저,구패창,배농지통],구맥[쾌옹종],토봉자[옹종],백극[癰腫潰膿止痛],미함[옹종],적설초[악창옹저],해조[옹종],녹각[옹종],생대두[옹종],적소두[排옹종농혈],모란[癰瘡],원화[옹종],상륙위熨[옹종],유실[潰옹,逐농혈]],택란[옹종창농혈],연교[나력옹종],녹곽[腸癰癩癧瘍氣],백렴[옹종저창],백급[옹종악창패창],조휴[옹창음식],미지[옹종악창],저제[장옹내식],천서시[面옹종],하마[옹종음창],누고[악창,옹종],2 망초[저창],송지,누로,오가피[저창음식],영실,황기[옹저,구패창,배농지통],구맥[쾌옹종],웅황,석류황,처락[疽瘍痂瘡],황금[疽蝕],고삼[옹종],패장,적설초[악창옹종]석회[저瘍개소]동회[저蝕개소],백렴[옹종저창],사함[저痔]반모[서루악창저蝕]3 감초,4 낙석,속단,청랑간5 반석,송지,사상자,누로,영실[악창,敗瘡熱氣],웅황,자황,공공얼[악창疽痔瘻],부청,철락[풍열악창],당귀[악창瘍],황금,죽엽[溢筋惡瘍],비해[악창불요],적설초[악창옹종],촉양천,녹각,문합[악창식,오치],薤해[創敗],석회[열기악창],연교[악창영류],낭아[악瘍창痔],여로[두양개소악창],여여[蝕악육패창],양도[惡瘍],우편[身皮瘡熱氣],백급[옹종악창패창],사함,초호[개소가양악창],석장생[한열악창대열],미지[옹종악창],마륙,누고[악창,옹종],반모[서루악창저식],지담
단독
♣화단을 치료하는 처방이다.
황금을 가루내어 물에 개어 붙인다.
♣[신농본초경]
東根[대추나무 뿌리,소아赤丹],패장[赤氣],양도[熛熱身暴赤色],적설초[浸淫赤熛피부적]
나력
♣치자인을 짓찧어 물에 개어 붙인다.
♣[진주방] 나력창이 목덜미에 생겨 터지지 않는 증상을 치료한다.
하고초 적당한 양을 솥에서 푹 무르게 달인 다음 찌꺼기를 짜버리고 즙을 다시 졸여 고약을 만들어 붙이면 좋다.
♣보중승독병(補中勝毒餠)
나력과 마도창을 치료한다.
단너삼(황기) 6g, 연교 4g, 방풍, 승마, 시호, 감초 각각 2g, 당귀, 생지황, 찐지황(숙지황), 집함박꽃뿌리(백작약), 귤껍질(陳皮), 인삼 각각 1.2g.
위의 약들을 가루내어 끓인 물에 불린 증병(蒸餠)에 반죽한 다음 떡 2개를 만들어 햇볕에 말린다. 한번에 1개씩 가루내어 끓인 물에 타서 먹는다[입문].
♣하고초산(夏姑草散)
나력을 잘 치료하는데 몰린 기운을 헤쳐지게 하고 궐음경(厥陰經)의 혈을 보하는 작용이 있다.
꿀풀(하고초, 가루낸 것) 24g, 감초(가루낸 것) 4g.
위의 약들을 고루 섞어서 한번에 8g씩 찻물에 타서 먹는다.
○ 또는 이 약 40g을 물에 달여서 먹어도 된다. 허약하면 많이 먹는 것이 좋다. 겸하여 십전대보탕(十全大補湯, 처방은 허로문에 있다)에 향부자, 원지, 패모를 넣어서 먹으면 나력과 마도창으로 추웠다 열이 나는 것이 낫는다. 그러니 좋은 약이다[입문].
♣선열단(宣熱丹)
나력 때 풍열독을 풀어서 저절로 오줌으로 나가게 한다.
박하, 주염열매(조각), 연교, 은조롱(하수오), 순비기열매(만형자), 삼릉, 형개 각각 40g.
위의 약들을 가루낸다. 그리고 따끈한 식초에 약전국 100g을 불렸다가 잘 짓찧는다. 여기에 약가루를 반죽하여 벽오동씨만하게 알약을 만든다. 한번에 30알씩 끓인 물로 하루 한번 먹는다[입문].
♣소서각환(小犀角丸)
여러 가지 나력을 치료하는 데 효과가 좋다. 늘 먹으면 병의 근이 빠진다. 나팔꽃검은씨(절반은 생것, 절반은 닦은 것으로 맏물가루를 낸 것), 서각, 선귤껍질(청피), 귤껍질(陳皮) 각각 40g, 연교 20g.
위의 약들을 가루낸다. 그리고 주염열매(조각) 2꼬투리를 껍질과 줄기, 씨를 버리고 끓는 물에 담갔다가 주물러 짜서 즙 1사발을 받는다. 여기에 햇박하 1.2kg으로 받은 즙을 넣고 섞어서 고약처럼 되게 달인다. 여기에 약가루를 반죽하여 벽오동씨만하게 알약을 만든다. 한번에 30알씩 끼니 뒤에 연교와 박하를 달인 물로 먹는다[강목].
♣산종궤견탕(散腫潰堅湯)
나력과 마도창이 뜬뜬해지면서 터지지 않는 것이나 터져서 고름이 나오는 것도 다 치료한다.
속썩은풀(황금, 술에 씻은 것으로 절반은 생것, 절반은 볶은 것) 4g, 용담초(술에 씻은 것) 2.4g, 하늘타리뿌리(과루근, 술에 씻은 것), 황백(술에 축여 볶은 것), 지모(술에 축여 볶은 것), 도라지(길경), 다시마(곤포), 해조 각각 2.8g, 시호 2.4g , 감초(닦은 것), 삼릉(술에 씻은 것), 봉출(술에 축여 볶은 것), 연교 각각 2g, 칡뿌리(갈근), 집함박꽃뿌리(백작약), 당귀(잔뿌리) 각각 1.6g, 황련(술에 씻은 것), 승마 각각 1.2g.
위의 약들을 썰어서 1첩으로 하여 한나절 동안 물에 담갔다가 달여서 끼니 뒤에 베개를 베지 않고 머리를 낮추고 누워서 한 모금씩 10여 번 천천히 넘긴다. 그리고 또 따로 1첩 양을 보드랍게 가루내어 꿀에 반죽한 다음 녹두알만하게 알약을 만들어 한번에 1백알씩 이 약을 달인 물로 먹어야 한다[동원].
♣연교산견탕(連翹散堅湯)
마도창이나 나력이 여기저기에 생기면서 온몸에 멍울이 생겨 허는 것을 치료한다.
시호 6g, 용담초(술에 축여 볶기를 네번 한 것), 토과근(술에 축여 볶은 것) 각각 4.8g, 속썩은풀(황금, 술에 축여 볶기를 세번 한 것) 4g, 당귀(잔뿌리), 속썩은풀(황금, 생것), 봉출(술에 축여 볶은 것), 삼릉(술에 축여 볶은 것), 연교, 집함박꽃뿌리(백작약, 술에 축여 볶은 것) 각각 2.8g, 감초(닦은 것) 2g, 황련(술에 축여 볶은 것), 삽주(창출) 각각 1.6g.
위의 약들을 썰어서 1첩으로 하여 물에 한나절 동안 담갔다가 달여서 베개를 베지 않고 반듯하게 누워 천천히 한 모금씩 열번 넘긴 다음 마지막에는 한 모금을 머금고 있다가 아래의 알약을 넘긴다. 그리고 따로 1첩을 보드랍게 가루내어 꿀에 반죽한 다음 녹두알만하게 알약을 만들어 한번에 1백 알씩 머금고 있다가 이 약을 달인 물로 넘긴다. 그 다음 용천산을 발라야 한다[정의].
♣소종탕(消腫湯)
마도창을 치료한다.
연교 8g, 속썩은풀(황금, 생것), 시호 각각 4.8g, 하늘타리뿌리(과루근), 단너삼(황기) 각각 4g, 당귀(잔뿌리), 감초 각각 2.8g, 우엉씨(대력자), 황련 각각 2g, 잇꽃(홍화) 0.8g.
위의 약들을 썰어서 1첩으로 하여 물에 달여 먹는다[정전].
♣시호통경탕(柴胡通經湯)
소양경맥이 지나간 부위인 옆목에 멍울이 생겨서 뜬뜬해지면서 터지지 않는 것을 마도창이라고 하는데 이것을 치료한다.
도라지(길경) 8g, 시호, 연교, 당귀(잔뿌리), 속썩은풀(황금, 술에 축여 볶은 것), 황련(술에 축여 볶은 것), 우엉씨(대력자), 삼릉, 감초(생것) 각각 4g, 잇꽃(홍화) 0.4g.
위의 약들을 썰어서 1첩으로 하여 물에 달여 먹는다[회춘].
♣[신농본초경]
1鼠瘻,2癭瘤,3瘰癧
1 모려,황기,웅황,은얼,미함,여석,연교,가소,하소초,낭독,사함[저치서루],반묘[서루악창疽蝕],지담[서루악창],1.2.3연교[한열서루,나력옹종,악창영류],하고초[한열나력,서루두창,癭結氣].1.3가소[서루나력生瘡],2.3 해조[영류기,頸下核],2 해조,연교,가소,하고초,백두옹[영기],3 해조[영류기,頸下核],서리[한열나력창],연교[한열서루,나력옹종,악창영류],하고초[한열나력,서루두창,癭結氣],녹곽[장옹나력瘍氣]
옴
♥여러 가지 창,개,선이 오랫동안 낫지 않는 증상을 치료한다.
特牛尿 양제근 각 5승.양제근을 황우뇨에 담갔다가 햇볕에 말리기를 황우뇨가 다 없어질 때까지 한 다음 가루 내어 창에 붙인다.『천금익방』에는 돼지기름에 개어 바른다고 하였다.
♥[두문방] 개창을 치료하는 처방이다.
여로를 곱게 가루 내어 生油에 개어 바른다.
♥[신농본초경]
수은,송지,자황[악창두독가개],자황[가개],철락[疥氣在皮膚中],패장,촉양천[열기개소],타갑[瘡疥死肌],청랑간,동회,편축[浸淫개소疽痔]연실[疥瘍,],유엽[馬疥,痂瘡],낭아[개소惡瘍瘡痔],여로[두양개소악창],양제,초호[개소가양악창],신초[가개]
악창
♡일체의 악창과 沙蝨,水弩,甲疽를 다 치료하는 처방이다.
여로(노두를 버리고 태워 가루낸 것) 1량,虎頭骨燒灰 1량을 함께 가루내어 섣달에 잡은 돼지의 기름에 개어 바른다.
♡악창이 붓고 아픈 증상을 치료한다.
백급 달인 즙에 창을 씻은 다음 동쪽으로 뻗은 뽕나무잎을 가루 내어 섣달에 잡은 돼지의 기름에 개어 바른다.
♡악창을 치료하는 처방
반석 송지 난발 蠟 각 2전,송지 4량.먼저 돼지기름에 난발을 넣고 달인다.난발이 녹으면 반석 송지 납 순서로 넣으면서 계속 달인 다음 찌꺼기를 짜 버리고 그릇에 담아 두고 1일 2~3회 창처를 깨끗이 씻은 후에 붙인다.구창은 곧바로 낫고 신창은 더디게 치유된다.와창과 개,가려운 창은 곧바로 낫는다.백독창에도 바르면 나으면서 머리카락이 나온다.
♡[경험비방] 궤농산
악창을 치료하는데 곪은 것을 터트리고 피를 잘 돌게하며 궂은 살(악육)을 없앤다.
백반 鹽 각 등분을 남비에 넣고 약한 불에서 볶아 말려 가루 내어 악창에 바른다.
♡ 여로부방 반화창을 치료한다.
여로말 저지 각 2량을 고루 섞어 풀처럼 만들어 1일 3~5회 바른다.
♡정강이 안쪽이나 바깥쪽에 생긴 염창을 치료하는 처방이다.
여러 해 동안 물속에 잠겨 있던 배에 붙어 있는 석회를 가루 내어 뿌려 주면 곧 바로 낫는다.
♡소아의 나두창에 송지 1량,현룡미 황단 각 3전,백지 5전,송수피 수은 웅황 백반 각 2전을 작말하여 향유에 난발을 넣어 煎爛한 것과 調勻조균하여 붙인다.
♡사황산
대황 황금 황련 황백 백급 각 등분을 작말하여 新水에 調해서 바른다(단심)
♡연교음 악창이 편신하고 통양한 증과 혈풍창을 다스린다.
연교 적작약 당귀 형개 방풍 악실 천궁 치자 황금 구맥 목통 생건지황 과루근 맥문종 감초 각 7푼을 좌작1貼하고 등심 1괴를 넣어 수전복한다(득효).
♡[신농본초경]
반석,송지,사상자,누로,영실[악창,敗瘡熱氣],웅황,자황,공공얼[악창疽痔瘻],부청,철락[풍열악창],당귀[악창瘍],황금,죽엽[溢筋惡瘍],비해[악창불요],적설초[악창옹종],촉양천,녹각,문합[악창식,오치],薤해[創敗],석회[열기악창],연교[악창영류],낭아[악瘍창痔],여로[두양개소악창],여여[蝕악육패창],양도[惡瘍],우편[身皮瘡熱氣],백급[옹종악창패창],사함,초호[개소가양악창],석장생[한열악창대열],미지[옹종악창],마륙,누고[악창,옹종],반모[서루악창저식],지담
칠창
☼[성혜방] 칠창을 치료하는 처방
게장을 바르면 곧바로 낫는다.
투정창,음식창
☸[성혜방] 음식창이 심하여 몹시 아픈 병증을 치료하는 처방
蝦蟆(청개구리)소회 1개,원분 1량을 함께 곱게 가루내어 조금씩 1일 3~4회 환부에 바른다.
☸음부 언저리에 생긴 부스럼이나 축축하면서 가려운 증상을 치료하는 처방이다.
황벽좌 황금 각 1량을 물에 달인 다음 그 물로 씻는다.
☸[천금방] 음경 끝에 옹이 생겨 잘 낫지 않는 증상을 치료하는 처방
별갑 1매를 태워 가루내어 계란 흰자위에 개어 바르면 남는다.
☸[약성론] 남자가 음위증이 있으면서 음경에서 닭과 오리간 같은 혈이 나오는 증상과 음경이 헐은 증상을 치료하는 처방
黃蘗을 가루내어 붙인다.
☸[어약원방] 건하산
음낭의 종통,습윤,소양 증상 및 음위를 치료하는 처방
모려소 사상자 건하엽 부평초 각 등분을 거칠게 가루내어 매회 2 숟가락씩을 물 1椀완(큰사발)에 넣고 3~5번 끓어 오르게 달인 다음 찌꺼기를 짜 버리고 음부를 씻되 풍한을 피해서 씻는다.
☸세탑탕(洗溻湯)
부인의 음식창(陰蝕瘡)을 치료한다.
남생이배딱지(귀갑) 200g, 속썩은풀(황금), 마른지황(건지황), 당귀, 집함박꽃뿌리(백작약) 각각 80g,마른옻(건칠), 감초 각각 40g.
위의 약들을 썰어서 물 7되에 넣고 절반이 되게 달인다. 다음 찌꺼기를 버리고 무명천에 약물을 적셔서 헌데를 축축하게 해준다. 하루 두번씩 축축하게 한 다음 물기를 닦아 내고 감습산을 뿌려야 한다[득효].
☸감습산(疳濕散)
위와 같은 증상을 치료한다.
단오날에 잡은 두꺼비(오월오일 蝦 ), 목향, 유황, 철정 각각 같은 양.
위의 약들을 가루내어 사향을 조금 섞어서 아픈 곳에 뿌린다[득효].
☸[신농본초경]
1女子陰蝕痛,2女子陰中寒熱痛,3女子陰中腫痛,4除莖中寒熱痛,5陰蝕,6陰腫痛引腰背,7男子陰瘍病,
8小腹陰中相引痛,9莖中痛
1석담,2 권백,3 사상자,황련[부인음중종통],고본[음중寒종통],송라[여자음한종통],백지[혈폐음종],백선,오적어골[음식종통],백악,백렴,4 육종용,5 영실[음식不療],석류황[여자음식],벽목[陰陽蝕瘡],위피,귀갑[五痔음식],별갑[음식痔악육],오적어골[음식종통],동엽[惡蝕瘡著陰],오가피[저창음식],양제[여자음식],조휴[옹창음식],하마[음창],6 위피,7 백강잠,8 타갑,9 음양곽
1陰下痒濕,,2身痒
1두중,사상자[남자음위습양],목란,2 자황,청랑간,청상[風瘙신양]
瘻
♣풍루와 서루를 치료하는 처방
적소두 백렴 황기 모려 각 등분을 가루내어 1일 3회 매회 방촌시로 하나씩 술에 타서 복용한다.
영류
♣인삼화영단(人蔘化癭丹)
영류를 치료한다.
미역(해대), 듬북(해조), 조가비가루(합분), 다시마(곤포, 이상 4가지 약은 다 약한 불기운에 말린 것), 택사(닦은 것), 연교 각각 40g, 돼지고환(猪外腎), 양의 고환(羊外腎) 각각 10개(쪽지게 썰어서 약한 불기운에 말린다).
위의 약들을 가루내어 꿀에 반죽한 다음 가시연밥만하게 알약을 만든다. 한번에 1알씩 하루 세번 끼니 뒤에 머금고 녹여서 먹는다[강목].
○ 영류를 치료하는 데는 다시마, 듬북, 미역을 많이 쓰는데 그것은 짠맛이 딴딴한 것을 만문해지게[軟堅] 하기 때문이다[의감].
두창백독,두창
♥양제근(외대 짜리로 바람이나 햇볕을 받지 않은 것)을 3년 묵은 식초에 되직하게 갈아서 바르되 생배 수건으로 창을 벌겋게 되도록 문지른 다음에 바른다.
♥[신농본초경]
1白禿,2頭瘡
1 수은,송지,웅지,자황[두독],석유황[두독],촉양천[두독],양제[두독],신초[가개백독瘍氣],마륙[식육악창백독],2 웅지,여로[두양],하고초
검은 사마귀,무사마귀,기미,주근깨
♡[성혜방] 몸이나 얼굴에 검은 사마귀가 난 증상을 치료한다.
여회(명아주재) 5량을 물 1완(대)에 넣고 잿물을 받아 구리 그릇에 담은 다음 중탕으로 달여 검은 고약으로 만든다.먼저 침으로 사마귀를 약간 터트리고 고약을 붙인다.큰 것도 3회 붙이기 전에 낫는다.
♡찹쌀 50립을 젖은 석회 속에 넣어 쌀이 삭아질 정도로 땅에 묻어 두었다가 꺼내어 사마귀에 붙이되 침으로 사마귀를 터드리고 붙이면 하룻밤 사이에 떨어진다.
♡[손진인식기]검은 사마귀를 없애는 처방.
석회를 숫불에 볶으면서 뜨거워졌을 때 찹쌀을 그 위에 놓아 꺼멓게 타도록 한다.이것을 꺼내어 사마귀에 붙인다.
♡노회고(爐灰膏)
검은 사마귀에 바르면 잘 빠진다.
향당로 속의 재 1되 5홉, 풍화된 석회(벌겋게 달군 것) 1되.
위의 약들을 참대광주리에 담아 끓는 물 3사발을 천천히 부어 잿물 1사발을 받는다. 이것을 가마에 넣고 약한 불로 졸여서 묽은 풀처럼 되면 먼저 파두가루 8g을 넣은 다음 두꺼비진(섬소) 8g, 백정향가루 2g, 석회가루(닦은 것) 4g을 넣고 고루 저으면서 다시 졸이되 된 밀가루풀처럼 되면 식혀서 사기그릇에 담아 약 기운이 새 나가지 않게 보관한다. 약을 쓸 때마다 젓가락 끝으로 조금 떼어서 입김을 쏘이면서 풀지게 비빈 다음 바늘로 사마귀를 조금 뒤적거리고 약을 바르면 빠진다[입문].
♡사마귀를 빼는 약떡[取痣餠藥]
찹쌀(糯米) 100알, 석회(엄지손가락만한 것), 파두(껍질을 버리고 간다) 3알.
위의 약들을 가루를 내어 떡을 만들어 사기그릇에 담아 움에 3일간 두었다가 꺼내어 참대꼬챙이로 좁쌀만큼 떼어 사마귀에 바르면 저절로 떨어진다[강목].
♡기미를 없애는 방법[去黑靨子方]
석회를 물 1잔에 넣고 묽은 풀처럼 되게 갠다. 여기에 온전한 찹쌀을 꽂아 놓되 찹쌀이 석회 속으로 절반 정도 들어가게 해서 하룻밤 두면 찹쌀은 마치 수정같이 변한다. 먼저 바늘로 기미를 약간 들치고 그 위에 쌀을 조금 놓는다. 반나절쯤 지나서 기미에서 진물이 나오면 약을 떼버리고 물을 치지 않으면 2-3일에 없어진다[강목].
♡[두문방] 얼굴에 난 기미를 없애고 얼굴빛을 곱게 하는 처방.
백강잠 견우자 세신 각 등분을 가루내어 조두처럼 쓴다.
※澡豆조두:팥이나 녹두 따위를 갈아서 만든 비누.
♡ 얼굴에 난 여드름이나 기미,검거나 흰 반점을 없애는 처방
토사자를 짓찧어 즙을 내어 바른다.
주독코
♥[백일선방] 주사비를 치료하는 처방이다.
凝霄花응소화 산치자 각 등분을 곱게 가루내어 매회 2전씩 1일 2회 차에 타서 식후에 복용한다.
♥[득효방]치자인원
폐열로 코가 벌거면서 우툴두툴해 진 것도 주사비인데 이것을 치료한다.
산치자인(잘 익은 것으로 가루낸 것) 황납(녹인 것) 각 등분을 함께 반죽하여 계란 노른자위 크기로 환을 지어 공복에 차물로 씹어 복용한다.술과 구운 것,지진 것 등을 보름 동안 먹지 않으면 효과가 있다.
♥치자인환(梔子仁丸)
술을 마셔 코 끝이 붉어지는 것을 치료한다.
산치자(가루를 낸 것), 황랍 각각 같은 양.
위의 약에서 황랍을 녹인 다음 약가루를 넣고 반죽하여 달걀 노른자위만하게 알약을 만들어 찻물로 먹는다. 열이 생기게 하는 음식은 15일 동안 먹지 말아야 한다,. 그래야 효과가 있다[득효].
♥능소화산(凌霄花散)
술을 마셔 코 끝이 붉어진 것을 치료하는데 세번을 바르지 않아서 다 낫는다.
능소화, 산치자 각각 같은 양.
위의 약들을 가루를 내어 한번에 8g씩 찻물에 타서 끼니 뒤에 먹는다[득효].
♥[신농본초경]
酒皶 : 목란,치자
얼굴을 윤기나게 하면서 희게 하는 처방
☼[성혜방] 얼굴과 수족이 꺼멓게 된 것을 윤기나면서 희게 하는 처방.
백양피좌 2량,도화 3량,백과자인미초 2량을 곱게 가루내어 1일 3회 매회 1전씩 온주로 복용한다.
☼허손증에서 첫째가 폐를 상하여 피부가 주름지고 털이 빠지는 것이다. 이런 데는 사군자탕(四君子湯, 처방은 기문(氣門)에 있다)을 쓰고 심폐(心肺)가 모두 허하면 팔물탕(八物湯, 처방은 허로문(虛勞門)에 있다)을 쓴다[강목].
※[신농본초경]
1死肌,2面黑皯,3面赤皰,4酒皶,5靑黑誌
1운모,웅황,후박,백선,시이실[惡肉邪肌],지유[악육],별갑[息肉,惡肉],타갑[瘡疥사기],청랑간,여석,석회[癩疾死肌,식육],동회[식육],촉초[골절피부사기],조협[풍비사기],여로,여여,백급,파두,미지,마륙[식육],반모,마도,2 여위,토사자汁,목란[면간],웅지[면간포],유화,백강잠,3 목란[面熱赤포],웅지[면간포],치자[面赤酒皰皶鼻]4 목란,치자,5 매실,석회[흑자],동회[肬흑자]
1好顔色,2潤澤
1자지,과자,고본,저계[好色],백강잠[面好色],교근[人面悅好],도화[호색],2 여위,과자[悅澤],백지[長肌膚潤澤]
面熱黑 : 유화
[토사티비]
답글삭제[크로스/동일경기승언오바]
[달팽이/양방가능]
[개경주/가상축구/사다리/다리다리/파워볼/달팽이/로하이/알라딘/MGM홀짝]
[사다리 90초/다리다리 90초][마틴.루틴 찍먹 가능]
[첫충 10% 매충 5% / 출석이벤트 / 룰렛이벤트(꽝없음)]
[주소:cobi-k2.com]
[코드:kknd]
[문의:scv7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