즐거운 영화세상

2010년 4월 11일 일요일

동의고전 정선 임상응용방제-耳門,鼻門,치통,후비,치질

耳門




♣雞膏 1합,자석(벌겋게 달여 식초에 담그기를 7회하여 가루낸 것) 반량.자석말을 계고에 반죽하여 대조만큼을 솜에 싸서 귀안에 넣어 준다.

♣[성제총록] 자석주

이롱과 귀에서 늘 바람소리나 물소리 같은 것이 나는 증상을 치료한다.

자석(부스려 뜨려 솜에 싼다) 반량,목통 석창포(米泔浸一兩晒切焙) 각 반근을 잘게 썰어 비단주머니에 넣어 술 1두에 담가 두되 추울 때에는 7일,더울 때에는 3일 동안 두었다가 매회 3홉씩 1일 2회 마신다.

♣[거가필용] 자석저신갱

노인이 오랫동안 이롱을 앓아 잘 알아듯지 못하는 증상을 치료하는데 腎을 보하고 뼈를 튼튼히 한다.

자석(부스려뜨려 벌건 물을 씻어 버리고 솜에 싼다) 1근,猪腎(去脂膜細切) 1대.자석을 물 5승에 넣고 2승이 되게 달인 다음 건져내고 거기에 腎과 葱,두시,생강,椒 등을 넣고 국을 끓여서 공복에 복용한다.죽을 쑤거나 술에 넣어 복용해도 된다.

♣자석양신환(磁石羊腎丸)

모든 귀머거리를 치료하는데 허한 것을 보하고 구멍을 열어 주며 울체된 것을 풀고 풍사를 헤치며 습(濕)을 없앤다.

자석 120g(달구었다가 파밑(총백), 으름덩굴(목통) 각각 120g을 썬 것과 함께 물에 2시간 정도 달인 다음 자석만 꺼내서 갈아 수비하여 80g을 쓴다), 궁궁이(천궁), 흰삽주(백출), 조피열매(천초), 대추살(조육), 방풍, 흰솔풍령(백복령), 족두리풀(세신), 마(서여), 원지, 오두, 목향, 당귀, 녹용, 새삼씨(토사자), 황기 각각 40g, 육계 26g, 찐지황(숙지황) 80g, 석창포 60g.

위의 약들을 가루를 낸다. 그리고 양의 콩팥 2쌍을 술에 뭉크러지게 삶는다. 여기에 약가루를 잘 섞어서 술에 쑨 풀에 반죽하여 벽오동씨만하게 알약을 만든다. 한번에 50알씩 데운 술이나 소금 끓인 물로 빈속에 먹는다[입문].

♣익신산(益腎散)

신(腎)이 허(虛)하여 귀가 먹은 것을 치료한다.

자석(달구어 물에 담갔던 것), 파극천, 조피열매(천초) 각각 40g, 석창포, 침향 각각 20g.

위의 약들을 가루를 내어 돼지콩팥(猪腎) 1개를 잘게 썬 데 파, 소금과 함께 넣고 고루 섞어서 젖은종이로 10겹 싼 다음 잿불에 묻어 구워 익혀 빈속에 잘 씹어 술로 넘긴다[직지].

♣소신산(燒腎散)

신(腎)이 허(虛)하여 귀가 먹은 것을 치료한다.

자석(불에 달구어 식초에 담그기를 일곱번 한 것), 부자(싸서 구운 것), 조피열매(천초, 닦은 것), 파극천 각각 40g.

위의 약들을 가루를 내어 4g을 돼지콩팥(猪腎) 1개를 잘게 썬 데 파밑(총백), 부추흰밑( 白) 각각 4g, 소금 1숟가락과 함께 넣고 고루 섞어서 젖은 종이로 싼 다음 잿불에 묻어 구워 익혀 빈속에 잘 씹어 데운 술로 넘긴다. 10일 동안 쓰면 효과가 난다[보명].

♣지황탕(地黃湯)

신경(腎經)에 열이 있어서 오른쪽 귀가 잘 들리지 않는데 마음에 맞지 않는 일이 있으면 더 들리지 않으면서 허명(虛鳴)이 나고 아픈 것을 치료한다.

자석(달구어 물에 담갔다가 꺼내어 가루를 낸 것) 80g, 생건지황(술에 씻은 것) 60g, 지각, 강호리(강활), 뽕나무뿌리껍질(상백피), 방풍, 속썩은풀(황금), 으름덩굴(목통) 각각 40g, 감초 20g.

위의 약들을 거칠게 가루를 내어 한번에 16g씩 하루 두번 물에 달여 먹는다[초본].

♣서각음자(犀角飮子)

풍열(風熱)로 귀가 먹은 것과 붓고 아프며 고름이 나오는 것을 치료한다.

서각(가루를 낸 것), 으름덩굴(목통), 석창포, 현삼, 함박꽃뿌리(작약), 붉은팥(적소두), 단국화(감국) 각각 4g, 감초 2g.

위의 약들을 썰어서 1첩으로 하여 생강 5쪽과 함께 물에 달여 먹는다[제생].

♣투철관법(透鐵關法)

귀가 먹은 것을 치료한다.

좋은 자석 2덩어리를 대추씨(棗核)만하게 부스러뜨려서 그 자석 끝에 사향을 조금 묻혀 양쪽 귀를 다 막은 다음 무쇠덩어리 1개를 입에 물고 2시간쯤 있는다. 그러면 양쪽 귀에 기운이 통하면서 바람소리 같은 것이 들리는데 세번에서 다섯번 하면 낫는다[의감].

♣자석(磁石, 지남석)

귀가 먹은 지 오래된 것을 치료한다. 굳은 지남석 콩알만큼을 천산갑(태워서 가루를 낸 것) 1g과 함께 햇솜에 싸서 귓구멍을 꼭 막은 다음 자그마한 무쇠덩어리를 입에 물고 있으면 귀에서 바람소리나 빗소리 같은 소리가 나는 것이 느껴지면서 곧 낫는다[강목].

○ 또한 지남석을 보드랍게 갈아 솜에 싸서 들리지 않는 귀 안에 넣은 다음 침사가루[鍼砂末]를 들리는 귀 안에 넣으면 저절로 귀가 열리면서 들린다[직지].

♣[신농본초경]

3利九窺,4耳聾

3 공청,증청,백청,흑지[通구규],세신,만형실,공공얼,석종류[通百節이구규],자삼,통초[痛利究竅血脈關節],자초,비맹,조협,4 공청,백청,자지,단웅계肪,자석,왕과[愈聾],열옹[久聾]




비문




♡코가 막히고 눈이 잘 보이지 않으며 머리가 아프고 가슴이 답답한 증상을 치료한다.

자계(엉겅퀴) 2握을 물 1잔(대)에 달여 절반이 되면 찌꺼기를 짜 버리고 돈복한다.

♡[성혜방] 코가 막혀서 숨을 제대로 쉬지 못하는 증상을 치료하는 처방이다.

과체 반량,세신 1푼을 곱게 가루내어 솜에 땅콩만하게 싸서 코 안에 넣어주면 잠깐 사이에 트인다.

♡[성혜방] 궁궁고 코가 막히고 몹시 아픈 증상을 치료한다.

궁궁 오수유 세신 천초 건강포제 조협 각 3전을 잘게 썰어 식초에 하룻밤 담가 두었다가 저지 6량과 함께 은남비에 넣고 5~7번 끓어 오르게 달인 다음 찌꺼기를 걸러 버리고 사기 그릇에 담아 두고 매회 대추만큼씩 솜에 싸서 코 안에 넣는다.

♡[경험양방]궁궁원 역한 냄새가 나는 콧물이 계속 나오는 증상을 치료한다.

초오거용거피첨 1량 반,창출생 1량,궁궁생용 2량을 곱게 가루내어 밀가루 풀에 반죽하여 오자크기로 환을 지어 매회 5환씩 식후에 차로 복용하고 2시간 동안 더운 음식을 금한다.

♡여택통기탕(麗澤通氣湯)

폐경(肺經)에 풍열(風熱)이 있어서 코로 냄새를 맡지 못하는 것을 치료한다.

황기 4g, 삽주(창출), 강호리(강활), 따두릅(독활), 방풍, 승마, 칡뿌리(갈근) 각각 2.8g, 감초(닦은 것) 2g, 마황, 조피열매(천초), 구릿대(백지) 각각 1.2g.

위의 약들을 썰어서 1첩으로 하여 생강 3쪽,대추 2알,파밑(총백) 3치와 함께 물에 달여 먹는다[하간].

♡궁궁산(芎藭散)

코가 몹시 멘 것을 치료한다.

궁궁이(천궁), 빈랑, 마황, 육계, 방기, 으름덩굴(목통), 족두리풀(세신), 구릿대(백지), 석창포 각각 2.8g, 목향, 조피열매(천초), 감초 각각 1.4g.

위의 약들을 썰어서 1첩으로 하여 생강 3쪽, 차조기잎(자소엽) 5잎과 함께 물에 달여 먹는다[직지].

♡황금탕(黃芩湯)

폐(肺)에 화(火)가 성하여 콧구멍이 마르거나 헌데가 생겨 부으면서 아픈 것을 치료한다.

속썩은풀(황금, 술에 축여 볶은 것), 산치자(껍질째로 술에 축여 볶은 것), 도라지(길경), 함박꽃뿌리(작약), 뽕나무뿌리껍질(상백피), 맥문동, 형개수, 박하, 연교 각각 4g, 감초 1.2g.

위의 약들을 썰어서 1첩으로 하여 물에 달여 끼니 뒤에 먹는다[회춘].

♡치자인환(梔子仁丸)

술을 마셔 코 끝이 붉어지는 것을 치료한다.

산치자(가루를 낸 것), 황랍 각각 같은 양.

위의 약에서 황랍을 녹인 다음 약가루를 넣고 반죽하여 달걀 노른자위만하게 알약을 만들어 찻물로 먹는다. 열이 생기게 하는 음식은 15일 동안 먹지 말아야 한다,. 그래야 효과가 있다[득효].

♡능소화산(凌霄花散)

술을 마셔 코 끝이 붉어진 것을 치료하는데 세번을 바르지 않아서 다 낫는다.

능소화, 산치자 각각 같은 양.

위의 약들을 가루를 내어 한번에 8g씩 찻물에 타서 끼니 뒤에 먹는다[득효].

♡[신농본초경]

利九窺

공청,증청,백청,흑지[通구규],세신,만형실,공공얼,석종류[通百節이구규],자삼,통초[痛利究竅血脈關節],자초,비맹,조협

通血脈

공청,수근[保혈맥],안방[氣不痛],비맹,장석,통초[通利九竅血脈關節]

肺氣

백지,사삼[益肺氣]

衄血

대계,택란(御覽)

止血

천명정,포황,왕불류행,단웅계,건강,수근




치통




♥치아가 삭아 아픈 증상을 치료한다.

천선자(낭탕자,사리풀씨) 적당한 양을 태우면서 연기를 대롱으로 빨아들여 아픈 치아에 쬐면 낫는데 다시는 재발하지 않는다.

♥낭탕자를 충치 속에 넣고 황납으로 막아 놓으면 낫는다.또한 낭탕자를 태우면서 연기를 쐬기도 한다.

♥치우(이가 너리먹는 증상)로 잇몸이 썩은 증상을 치료하는 처방

욱리근(이스라지뿌리) 1악을 썰어 물 1잔(대)에 6분쯤 되게 달여 찌꺼기를 짜 버리고 뜨거운 것을 물고 있으면 반드시 길이가 6~7푼 되고 머리가 검은 벌레 같은 것이 나온다.

♥ 낭탕자 3홉을 단지에 담고 청동전 7문을 벌겋게 달궈 그 속에 넣고 낭탕자를 태우는데 튀는 소리가 나면서 연기가 나오면 붓 대롱으로 연기를 빨아 벌레 먹는 곳에 쐬 주면 통증이 멎는다.

♥[성혜방] 풍열로 치근이 드러나면서 치아가 솟는 증상을 치료한다.

욱리근백피 숙건지황 각 2량,방풍거노두 독활 청상자 각 1량을 가루내어 연밀에 반죽하여 오자 크기로 환을 지어 매회 30환씩 식후에 미음으로 복용한다.

♥풍열,독기로 잇몸이 드러나면서 치아가 솟는 증상을 치료한다.

만형자 상기생 생지황 방풍거노 각 2량,욱리근백피 독활 청상자 당귀 각 1량을 거칠게 가루내어 매회 반량을 물 2잔(대)에 소금 1전과 함께 넣고 1잔이 되게 달인 다음 찌꺼기를 짜버리고 뜨거운 것을 머금고 있다가 식으면 뱉아 버리는데 1일 2회씩 한다.

♥[성제총록] 욱리인탕 풍으로 치아가 솟으면서 아픈 증상을 치료한다.

욱리근좌 궁궁 세신 생건지황절 각 1량을 거칠게 가루내어 매회 5전씩을 물 3잔에 소금 1전을 함께 넣고 10여번 끓어오르게 달인 다음 찌꺼기를 짜 버리고 뜨거운 것으로 양치하다가 식으면 뱉아 버린다.

♥욱리산 치은이 붓고 아프며 치은이 드러나는 증상을 치료한다.

욱리근 1량,천초 1전,유지좌 괴지좌 장미근좌 각 2량,낭탕자 반량을 가루내어 매회 4전씩을 물 1잔(대)에 7분쯤 되게 달여 찌꺼기를 짜 버리고 뜨거운 것을 머금고 있다가 식으면 뱉아 버린다.

♥[득효방] 소소산 치아가 드러나면서 피가 나오는 증상을 치료한다.

백초상 소계 향부자炒去毛 포황 각 5전을 가루내어 치아에 문지르면 곧 멎는다.

♥천선자(天仙子, 사리풀씨)

즉 낭탕자(莨菪子)이다. 이빨이 아픈 것을 치료하는데 벌레를 나오게 한다[본초].

○ 벌레가 먹은 이빨이 아플 때 이 약을 구멍에 대고 물고 있으면 벌레가 나온다[본초].

○ 벌레가 먹은 이빨이 아플 때 사리풀씨를 태우면서 연기를 참대대롱으로 빨아서 쏘이면 벌레가 죽고 완전히 낫는다[강목].

♥욱리근(郁李根, 이스라치나무뿌리)

이빨이 아픈 것을 치료하는데 이빨을 든든하게 한다[본초].

○ 이빨에 벌레가 먹어서 잇몸이 붓고 아픈 데는 이스라치뿌리속껍질(욱리근백피)을 쓰는데 썰어서

물에 진하게 달여 그 물로 양치하다가 식으면 뱉아 버린다. 그러면 벌레가 나오고 낫는다[본초].

♥[신농본초경]

1堅骨齒,2齲齒,3生齒,4齒齗腫,5齒痛

1반석,포황[견치],만형실[견치],진초[견치],상상기생[견발치],2 촉양천,욱이근,3 녹용[생치불노],4 욱이근,5 낭탕자[치통出蟲]

위열,대장열,풍열,풍기

여실[위중열기],뇌환[위중열],벽목[五藏腸胃中結氣熱],치자[위중열기],좁쌀[去비위중열],묶은 좁쌀[위열],관중[복중사열기],조휴[열기재복중],하마[(先預)服之不患熱病],암려자[臚張滿留熱],낙석[풍열],소지[풍기]

邪氣,腹中邪氣,惡氣

경천[사악기],시호[한열사기],파극천[大風사기],인진[풍습한열사기],목향,향포[오장심하사기],굴초[사기장간한열],운실[사악결기],고활[대풍사기],서장경[역질사악기],진초[風사기],유피,현실[諸邪],웅황[사기],자황,공공얼[邪結氣],진이[한열사기], 작약[사기복통],지모,적전[蠱毒악기],경천[사악기],서장경[역질사악기],사향[악기],석위[勞熱사기],관동화[한열사기],모란[경간사기],방기[諸邪],백미[狂惑사기],백합,백마현제[辟악기],녹각[사악기],노봉방[한열사기],수소[辟악기],여석[복중견사기],대자[복중毒사기],노감[사기],촉초[사기해역],요화[한열사기],귀구[逐邪,辟악기不祥],여청[축사악기],천웅[사기금창],사간[복중邪逆],연미[고독사기],촉칠[사기고독귀주],낭아[사기열기],백급[위중사기],사함[경간한열사기],뇌환[逐毒氣],수소,약실근,석장생[鬼氣不祥],돈란[사기攣縮],연시[不祥사기],하마,열옹[독기],피자[복중사기],도핵인,부비[사기설리]




후비




☼[광제방] 인후가 막히고 코안이 헌 증상과 헛 구역이나고 머리가 아프면서 먹은 음식물이 소화되지 않는 증상을 치료하는 처방이다.

생계란 1개를 한쪽만 깨고 노른자위를 빼낸 다음 미초에 넣고 잿불에 올려놓아 부글부글 끓어오르면 곧 내려놓아 가라 앉힌다.이것을 다시 불에 올려 놓아 부글부글 끓어오르면 곧 내려놓아 가라앉힌다.이것을 다시 불에 올려놓아 끓이기를 3회 거듭하여 뜨거운 것을 마신다.이렇게 1~2회 하면 낫는다.

☼후비를 치료하는 처방

행인을 볶은 다음 잘 짓찧어 계란 노른자위 크기로 환을 지어 입에 물고 있으면서 빨아 먹는다.곱게 가루 내어 솜에 싸서 물고 있어도 된다.

☼[의림방] 纆喉風묵후풍을 치료하는 처방이다.

백반말 반전,烏雞子淸을 섞어 목구멍에 넣으면 낫는다.

☼[고금녹험] 후비를 치료하는 처방

계란 1매에 구멍을 내고 속의 흰자위와 노른 자위를 다 빼 낸 다음 센 식초를 조금 덜 차게 넣고 반하가루를 방촌시로 하나 섞고 잘 저어서 적쇠 위에 올려놓고 숯불에서 달인다.뜨거운 잔을 좀 식혀서 삼킨다.

☼황금탕

폐경에 침범한 풍열이 후비로 치밀어서 숨이 막히고 목구멍이 붓고 아프며 말소리가 나오지 않는 증상을 치료한다.

황금去黑心 지실去瓤麩炒 각 1량,승마 목통 작약 시호去苗 행인湯浸去皮尖雙仁炒 영양각鎊 각 1량,석고碎 2량을 거칠게 가루내어 매회 3전씩을 물 1잔에 달여 절반이 되면 찌꺼기를 짜 버리고 온복한다.열독이 몹시 심하면 대황 1량을 더 넣어 쓴다.

☼계란 한 개를 깨어 껍질을 버리고 노른자위와 흰자위를 고루 저어서 먹는다.[날계란과 새우젓을 섞어서 밥에 비벼 먹거나 계란찜을 해서 먹는다]

☼고주탕 목안이 헐어 말소리가 나오지 않는 증상을 치료한다.

반하(끓는 물에 7회 씻어 미끄러운 기운을 없앤 다음 썰어 약한 불에 말린 것) 5매,계자(깨어서 노른 자위를 버린다) 1개.반하를 쓴 술과 함께 계란 속에 넣고 불 위에 올려 놓아 3~5번 끓어오르게 달인 다음 따뜻할 때 반하를 건져 버리고 2회에 나누어 마시면 낫는다.

☼[계자법] 拘咽을 치료한다.

반하(가루내어 생강즙에 반죽하여 떡처럼 만들어 약한 불에 말려 곱게 가루낸 것) 1전,계란 1개.먼저 계란을 한쪽 끝만 깨고 노른 자위를 제거한 다음 식초를 절반 정도 넣고 반하가루를 고루 섞은 계란을 잿불에 올려놓고 천천히 끓여 익힌다.이것을 좀 식은 껍데기는 버리고 3회에 나누어 온복한다.

☼반하계감탕(半夏桂甘湯)

신상한(腎傷寒)으로 목구멍이 아픈 것을 치료한다.

끼무릇(반하, 생강즙에 법제한 것), 계지, 감초 각각 8g.

위의 약들을 썰어서 1첩으로 하여 생강 5쪽과 함께 물에 달인 다음 식혀서 천천히 먹는다[활인].

☼계자(雞子, 달걀)

목구멍이 막힌 것을 열어 주므로 막힌 것을 치료한다. 생달걀 1알을 노른자위는 버리고 흰자위만 쌀초에 넣고 겻불에 뜨겁게 되도록 끓여서 식초까지 먹는데 한두번 먹으면 곧 낫는다[강목].

☼[신농본초경]

1喉痺,2胸膈間久寒

1 모계,질려자,패모[辛平],관동화,원화[해역상기,喉鳴喘, 咽腫短氣],사간[苦平,해역상기,후痺인통불득소식],반하[辛平,인후종통],행핵인[雷鳴후비],2 백석영

膿血

적소두,유실,밀납

利九窺

공청,증청,백청,흑지[通구규],세신,만형실,공공얼,석종류[通百節이구규],자삼,통초[痛利究竅血脈關節],자초,비맹,조협

1留癖,2淡癖,3胸中痰結,4留飮

1박초[逐6부적취,결고유벽],요화[下12수,파적취,대견,징가,탕척장위중유벽음식,이수도]2 파두[유음담벽],3 항산,4 대황[留飮宿食,通利水穀,調中化食,蕩滌腸胃,推陳致新],감수[유음숙식,파징견적취,이수곡도],파두[유음담벽,대복수창,탕련5장6부,개통폐색,이수곡도]




치질




♣[성혜방] 귀갑산 5가지 치질로 인하여 딴딴하게 뭉쳐서 달아 오르며 통증이 멎지 않는 증상을 치료한다.

귀갑(酥를 발라 누렇게 구운 것) 2량,사태피燒灰 노봉방微灸 반량,사향硏 1푼,猪後懸蹄甲(微燋) 1량을 가루내어 매회 1전씩 식후에 따뜻한 미음에 타서 복용한다.

♣사태피 2량을 눋도록 구워 곱게 가루내어 매회 2전씩 식전에 미음으로 복용하면 좋다.

♣위피 1매를 잘게 썰어 항아리에 넣고 잘게 썰어 항아리에 넣고 태우면서 그 연기를 치질 부위에 쐬면 낫는다.『본초』에는 태워 가루내어 날기름에 개워 바르면 맥치로 항문이 벌레 먹은 것처럼 된 증상이 치료된다고 하였다.『백일선방』에는 술에 타서 복용해도 좋다고 했다.

♣괴자환 쥐젖같이 치질이 생겨 항문 둘레에 번열이 나며 아픈 증상을 치료한다.

괴자인미초 1량,황금 1량을 곱게 가루내어 물에 불린 증병으로 반죽하여 오자크기로 환을 지어 매회 20환씩 식전에 桑耳湯으로 복용한다.

♣별갑산 치질로 항문에 창이 생겨 붓고 하혈하면서 배가 아픈 증상을 치료한다.

별갑(식초에 발라 누렇게 구워 겉껍질을 버린 것) 1량,황기좌 1량,지각(밀기울과 함께 약간 누렇게 볶아 속을 버린 것) 1량 반,당귀剉微炒 길경거노 3전,적작약 3전,괴자미초 2량,상목이미초 1량,생강屑焙乾 반량을 곱게 가루내어 매회 2전씩 식전에 미음에 타서 복용한다.

♣노봉방산 치질과 풍열독기가 항문에 몰려 창이 생겨 붓고 아픈 증상을 치료한다.

노봉방미초 괴화미초 황기좌 각 2량을 곱게 가루내어 매회 1전씩 식전에 미음에 타서 복용한다.

♣[삼인방] 오회산

5가지 치질에 속에 있거나 겉에 있는 것처럼,암치질이나 숫치질,한,온으로 생긴 것과 허로,습으로 생긴 것 등을 모두 치료한다.

별갑(숫치질을 치료한다) 위피(암치질을 치료한다) 저좌현제갑(장치를 치료한다) 노봉방(맥치를 치료한다) 사태(기치를 치료한다) 각 등분을 약성이 남게 태워(증상에 따라 해당한 약을 1전씩 더 넣는다) 가루 내어 2전씩 깨끗한 우물물에 타서 공복과 잠잘 무렵에 1회씩 복용한다.

♣치질을 치료하는 처방

음력 7월초에 딴 괴자를 잘 짓찧어 즙을 내어 구리 그릇에 담은 다음 두꺼운 천으로 단단히 덮어서 20일이상 햇볕에서 굳어지도록 말린다.이것을 鼠糞만큼씩 뜯어 항문에 1일 3회 넣어 준다.누공이 생긴 모든 창에 다 쓴다.

♣[성혜방] 대장이 허냥하여 탈항된 증상을 치료하다.

건와우자(약간 볶아 가루 낸다) 100개,자석(짓찧어 물에 일어 벌건 빛을 없앤 것) 2량.물 1잔(대)에 자석 5전을 넣고 절반쯤 되게 달인 다음 찌꺼기를 짜버린다.여기에 와우 분말 1전을 섞어서 1일 3회 복용한다.

♣와우자 1량을 가루 내어 돼지기름을 개어 바르면 들어 간다.

♣오치산(五痔散)

5가지 치질을 비롯한 모든 치질을 다 치료한다.

돼지의 왼쪽 발목 위에 달린 발굽(장치를 치료한다), 자라등딱지(별갑, 수치질을 치료한다), 고슴도치가죽(자위피, 암치질을 치료한다), 노봉방(맥치를 치료한다), 뱀허물(사퇴, 기치를 치료한다).

위의 약들을 각각 약성이 남게 태워 가루내서 고루 섞는다. 한번에 8g씩 쓰는데 사향을 조금 섞어서 빈속에 물에 타 먹는다[삼인].

○ 일명 오회산(五灰散)이라고도 한다. 5가지 약의 양은 각각 같다[단심].

♣향각환(香殼丸)

음식을 지나치게 먹은 탓으로 생긴 장벽과 여러 가지 치루(痔瘻)를 치료한다.

황련 40g, 지각, 후박 각각 20g, 당귀 16g, 형개수, 목향, 황백 각각 12g, 고슴도치가죽(자위피, 에 태워 가루낸다) 1개.

위의 약들을 가루내어 밀가루풀에 반죽해서 벽오동씨만하게 알약을 만든다. 한번에 50-70알씩 하루 두번 더운물로 먹는다[선명].

○ 일명 가미연각환(加味連殼丸)이라고도 한다[입문].

♣치약고자(痔藥膏子)

외치(外痔)와 반화치(反花痔), 탈항(脫肛)으로 붓고 아프면서 고름이 계속 나오는 것을 치료한다.

나무 태운 재로 잿물 2사발을 받아서 절반이 되게 달인다. 다음 여기에 바꽃(초오), 대황 각각 8g씩 넣고 약한 불에 절반이 되게 달인다. 다음 감초 4g을 또 넣고 여러 번 끓어오르게 달인다. 그 다음 여기에 깨끗한 석회가루 반 숟가락을 넣고 다시 세번에서 다섯번 끓어오르게 달여서 비단천 2겹에 걸러 다시 고약같이 되게 졸여 식힌다. 여기에 담반을 보드랍게 가루내서 2g을 넣고 고루 섞어 사기그릇에 담아 두고 쓴다. 쓸 때에는 용뇌가루를 조금씩 넣고 고루 섞어서 쓰는데 은빗치개에 묻혀 하루 한번씩 바른다. 병이 중하면 세번에서 다섯번 바르는데 먼저 약물로 씻고 말린 다음 발라야 잘 낫는다[강목].

♣[신농본초경]

1痔,2脫肛

1괴실,황기[五痔],웅황,황기[5치서루],문합[5치],귀갑[5치음식],벽목[腸痔],위피[오치음식],노봉방[장치],별갑[음식치악육]석회[치충],동(음)피[오치,살삼충],낭아,사함[저치서루],저제[5치],사태[한열腸痔]2 활유

치충 : 석회

댓글 없음:

댓글 쓰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