즐거운 영화세상

2010년 4월 11일 일요일

동의고전 정선 임상응용방제-코피,두통,모발,눈병

코피




☼[천금방]소계로 즙을 짜서 복용한다.

☼[광리방] 코피 나는 것을 멈추게 하는 처방

건강을 끝이 뾰족하게 깍아 잿불에 묻어 약간 구워 콧구멍에 막아 준다.

☼[향약구급방] 코피 나는 것을 멈추게 하는 처방

포황가루를 콧구멍 안에 불어 넣으면 낫는다.

☼[성혜방] 자금산 잘 멎지 않는 코피를 멈추게 한다.

자금 1량,포황 복룡간 청죽여 각 3전을 가루내어 매회 3전씩 물 1잔(中)에 6분쯤 되게 달여 찌꺼기를 짜 버리고 生藕汁(생연 뿌리즙) 1홉을 타서 고루 섞어 온복한다.

☼[성혜방]코피가 멎지 않고 나오면서 심번하여 숨이 끊어질 듯한 증상을 치료하는 처방이다.

자계즙 3合,생지황즙 1合,생강즙 半合을 고루 타서 천천히 마신 다음 그 찌꺼기로 콧구멍을 막아 준다.

☼[간요제중방] 9규로 혈이 나오는 증상을 치료하는 처방

자소엽[개구리밥,부평초,수평] 자계 생지황 황기(蜜灸) 황금 각 1량,당귀 적작약 각 반량,아교 복룡간 각 2량을 거칠게 가루내어 매회 4전씩을 죽여 계란 노른자위만큼과 생강 3편과 함께 물에 넣고 달여 복용한다.

☼[성혜방]토혈과 코피가 멎지 않는 증상을 치료하는 처방이다.

자계의 자계을 근엽을 짓찧어서 짠 즙 1잔(중)을 2회에 나누어 마신다.

☼[성혜방] 포황 반량을 따뜻한 물에 타서 복용한다.낫지 않으면 다시 복용한다.

☼[성혜방] 천근산 계속 토혈하고 가슴에 번열이 나는 증상을 치료한다.

천근(剉) 소계근 각 2량,백작약 맥문동去心 각 3량,자소엽 청죽여 각 4량을 가루내어 매회 3전씩 물 1잔(중)에 달여 절반이 되면 찌꺼기를 짜 버리고 지황즙 1合을 고루 타서 수시로 온복한다.

☼[성혜방]영양각산 토혈이 머지 않는 증상을 치료한다.

영양각屑 대계근 각 3전,복룡간 5량,熟艾 계소엽 각 1량,지유剉 우슬去苗 목단 생건지황 백엽 각 2량,백작약 각 4량,제조切破滿火灸黃 5개를 함께 가루내어 매회 3전씩을 물 1잔(중)에 생강 반전과 함께 넣고 6분쯤 되게 달인 다음 찌꺼기를 짜 버리고 온복한다.

☼[발췌방] 계소산 허손으로 기가 치밀면서 토혈이 멎지 않는 증상을 치료한다.

계소엽 자계 생지황 황기蜜灸 황금 각 1량,당귀 적작약 각 반량,아교 복룡간 각 2량을 거칠게 가루내어 매회 4전씩을 죽여 계란 노른자위만큼과 생강 3편과 함께 물에 넣고 달여 복용하다.

☼[화제]필승산

남자나 부인의 토혈하는 증상,육혈이 나오는 증상,구역이 나오다가 혈이 나오는 증상,객혈 등 혈이 정상적으로 순환하지 못하는 증상을 치료한다.

숙지황 소계幷根用 인삼去蘆 포황微炒 당귀去蘆 궁궁 오매去核 각 1량을 거칠게 가루내어 매회 5전씩을 물 1잔 반에 7분쯤 되게 달여 찌꺼기를 짜버리고 수시로 온복한다.

☼[성혜방]심에 열이 있어서 토혈하면서 입이 마르는 증상을 치료하는 처방이다.

자계(엉겅퀴)의 근엽을 짓찧어 즙을 짜서 매회 1잔(小)씩 단숨에 마시면 멎는다.

☼[정전]계소산

육혈이 그치지 않는 증은 肺金이 상화의 제어를 받아서 그러한 것이다.

계소엽 황기 생지황 아교 백모근 각 1전, 맥문동 길경 포황炒 패모炒 상백피 감초灸 각 5푼,강 3편을 좌작 1첩하여 수전복하고 겸하여 황단을 비공에 불어 넣는다.

☼[담심] 대계음자

신열물을 과식하여 폐와 위를 상하고 피를 구토하는 것을 폐저라 한다.

대계근 상백피 서각 승마 포황炒 행인 길경 감초 각 1전을 剉作1첩하여 수전복한다.

[신농본초경]

衄血

대계,택란(御覽)

止血

천명정,포황,왕불류행,단웅계,건강,수근




두통


♣편두통과 정두풍을 치료하는 처방이다.

궁궁 창이자 각 1량,백지 세신근 석고 각 5전을 곱게 가루 내어 코안에 불어 넣되 먼저 입에 찬물을 머금고 있게 하여 약이 목구멍으로 들어가지않게 해야 한다.낫지 않으면 淸茶에 藥末을 조복한다.

♣풍열로 머리와 눈이 아픈 증상을 치료한다.

국화를 많이 따서 베게를 만들어 벤다.

♣[일화자] 두풍증을 치료하며 눈을 밝게 하는 처방이다.

결명자로 베게를 만드러 벤다.흑두보다 더 좋다.

♣[식의심경]두풍증으로 목현하고 가슴이 흉흉하며 눈물이 나오는 증상과 풍비로 인한 골육통을 치료하는 처방이다.

감국(국화 두상 화뢰)으로 국을 끓이거나 죽을 쑤어 복용한다.생것으로 복용해도 좋다.

♣[위생보감] 석고산

두통을 치료한다.

궁궁 석고 백지 각 등분.이상을 곱게 가루내어 매회 4전씩 뜨거운 차에 타서 복용한다.

♣[위생보감] 천궁산

편두통을 치료하며 효과가 좋다.

백강잠生 6전,감국화 석고 천궁 각 3전을 가루내어 매회 3전씩 차에 타서 식후에 복용한다.약을 복용할 때 돼지고기,메밀국수 등을 금한다.『진주방』에는 백강잠이 없다.

♣[두문방] 편두통

궁궁을 잘게 썰어서 술에 담가 두어 우러난 다음 그 술을 마시면 좋다.

♣[향약혜민방] 정두통,편두통

백지 궁궁 각 등분.이상을 거칠게 가루내어 매회 5전씩 물 1종발 반에 달여 1종본이 되면 찌꺼기를 짜 버리고 온복한다.

♣천궁다조산(川芎茶調散)

편두통, 정두통과 두풍증으로 코가 메고 목소리가 무겁고 탁한 것을 치료한다.

박하 80g, 궁궁이(천궁), 형개수 각각 40g, 강호리(강활), 구릿대(백지), 감초 각각 20g, 방풍, 족두리풀(세신) 각각 10g.

위의 약들을 가루를 내어 한번에 8g씩 끼니 뒤에 찻물에 타서 먹거나 썰어서 28g을 1첩으로 하여 차 조금과 함께 달여 먹어도 좋다.

○ 편두통 때에는 보드랍게 가루를 내어 파즙(葱涎)에 개서 양쪽 태양혈(太陽穴)에 붙이면 특별한 효과가 있다[득효].

♣궁신탕(芎辛湯)

풍사(風邪)나 한사(寒邪)나 습사(濕邪)가 뇌에 들어가서 머리가 아프고 어지러우며 토하는 것을 치료한다.

궁궁이(천궁) 12g, 족두리풀(세신), 흰삽주(백출) 각각 6g, 감초 4g.

위의 약들을 썰어서 1첩으로 하여 생강 5쪽, 작설차 조금과 함께 물에 달여 먹는다[제생].

♣궁신도담탕(芎辛導痰湯)

담궐두통을 치료한다.

끼무릇(반하, 법제한 것) 8g, 궁궁이(천궁), 족두리풀(세신), 천남성(싸서 구운 것), 귤껍질(陳皮), 벌건솔풍령(적복령) 각각 4g, 지각, 감초 각각 2g.

위의 약들을 썰어서 1첩으로 하여 생강 7쪽과 함께 물에 달여 먹는다[득효].

♣청상사화탕(淸上瀉火湯)

열궐두통(熱厥頭痛)을 치료한다.

시호 4g, 강호리(강활) 3.2g, 속썩은풀(황금, 술에 법제한 것), 지모(술에 법제한 것) 각각 2.8g, 황백(술에 법제한 것), 감초(닦은 것), 황기 각각 2g, 생지황, 황련(술에 법제한 것), 고본 각각 1.6g, 승마, 방풍 각각 1.4g, 순비기열매(만형자), 당귀, 삽주(창출), 족두리풀(세신) 각각 1.2g, 형개수, 궁궁이(천궁), 감초(생것) 각각 0.8g, 잇꽃(홍화, 술에 법제한 것) 0.4g.

위의 약들을 썰어서 1첩으로 하여 물에 달여 먹는다[동원].

♣방풍산(防風散)

적열(積熱)㈜이 치밀어 올라와서 머리가 몹시 뜨겁고 아픈 것을 치료한다.

강호리(강활), 방풍, 당귀, 대황, 궁궁이(천궁), 산치자, 박하 각각 4g, 매미허물(선각), 감초 각각 2g.

위의 약들을 썰어서 1첩으로 하여 골풀속살(등심초) 20오리, 고죽엽 10잎과 함께 물에 달여 먹는다[득효].

[註] 적열(積熱) : 열기가 속에 쌓여 있는 것.

♣궁출제현탕(芎朮除眩湯)

한습(寒濕)을 받아서 어지럽고 머리가 몹시 아픈 것을 치료한다.

궁궁이(천궁) 8g, 흰삽주(백출), 부자(생것) 각각 4g, 계피, 감초 각각 2g.

위의 약들을 썰어서 1첩으로 하여 생강 7쪽, 대추 2알과 함께 물에 달여 먹는다[입문].

♣또 한 가지 처방은 구릿대(백지), 영릉향으로 되어 있는데 가루를 내어 머리에 뿌렸다가 3-5일 지나서 빗으로 두세번 흰 비듬을 빗어 내리면 효과가 있다[강목].

[신농본초경]

6頭風,7頭眩腫痛

6 백선,궁궁,시이실[풍두寒痛],莽草망초,세신[해역,두통뇌동],후박[중풍,상한두통],백지[풍두침목누출],창이자[풍두한통],방풍[대풍두현통],고본[풍두통],조협[사기풍두누출],麋脂미지,부비[酒두통],7 국화,방풍,반하[두현흉창]




모발


☼[성제총록] 수염과 머리카락이 흰 것을 검게 하는 처방이다.

인삼 5량,숙건지황焙 천문동去心焙 배복령去黑皮 각 반량,호마인湯浸去皮炒 5승을 가루내어 연밀에 반죽하여 오자크기로 환을 지어 매회 10환씩 아침 식후에 온주로 복용한다.

☼건칠환 수염과 머리카락이 흰 것을 검게 한다.

건칠(연기가 나지 않을 때까지 볶은 것) 백자인 미초 생건지황 배 숙건지황 배 각 1량을 곱게 가루 내어 찹쌀밥에 반죽하여 300~500번 찟찧은 다음 酥소를 버무려 오자크기로 환을 지어 매회 20환씩 공복에 온주로 복용한다.

☼[천금방] 머리카락이 빠지는 증상을 치료하는 처방이다.

석회 3승을 물에 버무려 축축해지면 몹시 눋도록 볶아 식혀서 비단주머니에 넣어 호주 3승에 담군 다음 단단히 봉하여 겨울에는 14일,가을과 봄은 7일 동안 둔다.이 술을 1홉씩 복용하되 늘 주기가 있도록 마시면 더 빠지지 않는다.100일 동안 복용하면 종신토록 빠지지 않으면서 빠졌던 머리카락이 나온다.『천금방』에도 이와 같이 쓰여 있다.

☼칠선단(七仙丹)

심(心)과 신(腎)을 보하고 얼굴을 늙지 않게 하며 수염과 머리털을 거멓게 되게 하는 좋은 약이다.

은조롱(하수오, 아홉번 쪄서 아홉번 햇볕에 말린 것) 160g, 인삼, 생건지황(술에 씻은 것), 찐지황(숙지황), 맥문동, 천문동, 흰솔풍령(백복령), 회향(닦은 것) 각각 80g.

위의 약들을 가루내어 꿀에 반죽해서 달걀 노른자위만하게 알약을 만든다. 한번에 1알씩 잘 씹어 술이나 소금 끓인 물로 먹는다. 벽오동씨만하게 알약을 만들어 한번에 50-70알씩 빈속에 술로 먹어도 된다. 무, 마늘, 파를 먹지 말고 성생활을 하지 말아야 한다[단심].

☼연년익수불로단(延年益壽不老丹)

적하수오 160g, 백하수오 160g(위의 두 가지 약을 쌀 씻은 물에 담가서 만문하게《軟》 되면 참대칼로 껍질을 벗겨버리고 썰어서 검정콩을 달인 물에 담갔다가 물이 잦아들면 그늘에서 말린다. 그 다음 다시 감초즙에 버무려 햇볕에 말려 짓찧어서 가루내는데 찌지는 말아야 한다), 지골피(술에 씻어서 햇볕에 말린 것), 흰솔풍령(백복령, 술에 씻어서 햇볕에 말린 것) 각각 200g, 생건지황(술에 하룻밤 담갔다가 햇볕에 말린 것), 찐지황(숙지황, 술에 씻어서 햇볕에 말린 것), 천문동(술에 3시간 담갔다가 심을 버리고 햇볕에 말린 것), 맥문동(술에 3시간 담갔다가 심을 버리고 햇볕에 말린 것), 인삼(노두를 버린 것) 각각 120g.

위의 약들을 보드랍게 가루내어 졸인 꿀(煉蜜)로 반죽한 다음 벽오동씨만하게 알약을 만든다. 한번에 30-50알씩 데운 술로 먹는다. 이 약은 천 가지 백 가지로 몸을 좋게 하고 보한다. 이 약을 10일 혹은 한달 동안 먹으면 좋아져서 몰라보게 달라졌다는 것을 알 수 있다. 늘 먹으면 그 효과를 다 말할 수 없다. 여조(呂祖)가 신선 공부를 할 때에 이 약을 쓴 데로부터 알려졌다[필용방].

☼오수주(烏鬚酒)

백발을 변하여 검게 한다.

황미(밥을 짓는다) 3말, 맥문동320g, 생지황, 은조롱(하수오) 각각 160g, 천문동, 찐지황(숙지황) , 구기자, 쇠무릎(우슬), 당귀 각각 80g, 인삼 40g.

위의 약들을 가루내어 좋은 누룩과 함께 찰기장쌀밥에 섞어 보통 술을 빚는 것처럼 넣어 두었다가 술이 된 후에 청주만 떠서 매일 1-2잔씩 조금 취할 정도로 이른 새벽에 마신다. 소주, 무, 파, 마늘, 쇠고기를 먹지 말아야 한다. 황미는, 즉 찰기장쌀이며 빛이 누른 것을 말한다[회춘].

[신농본초경]

1長毛髮,2黑髮,3長鬚眉,4堅髮,5墮眉

1.2백호,수평[흑발,長順髮],3.4상상기생,4 진초,5 석회



眼門


♣[성제총록] 고본탕

풍독으로 여러 해 동안 눈에 핏발이 서고 아프며 뜨거운 눈물이 많이 나오는 증상을 치료한다.

고본去苗 석결명剉細搗如粉 작약 천마 세신 방풍去叉 각 1량 백지 차전차 각 반량을 거칠게 가루내어 매회 1전씩을 물 1종발 반에 달여 1종발이 되면 찌꺼기를 짜버리고 식후에 온복하고 잠잘 무렵에 또 한번 복용한다.

♣인삼탕

심과 폐에 풍열이 있어 눈이 깔깔하고 충혈되면서 아픈 증상을 치료한다.

인삼 충위자 세신去苗 길경炒 방풍(두 가닥 진 것을 버린 것) 황금 대황剉炒 각 1량,적복령 1량을 거칠게 가루내어 매회 5전씩을 물 1종발 반에 달여 1종발이 되면 찌꺼기를 짜버리고 식후와 잠잘 무렵에 온복한다.

♣[성혜방] 선령비환(음양곽환)

선령비 2량,감국화 황금 차전차 석고細硏水飛過 현삼 결명자 각 1량,사태피燒灰 1전,영양각屑 1량을 곱게 가루 내어 연밀에 반죽하여 200~300번 짓찧은 다음 오자 크기로 환을 지어 매회 20환씩 식후에 따뜻한 물로 복용한다.

♣눈에 갑자기 핏발이 서고 열이 나면서 붓고 깔깔하면서 아픈 증상을 치료하는 처방이다.

이어담 10매의 담즙에 이분을 고루 섞어 사기 그릇에 담아 두고 조금씩 눈에 넣는다.

♣[성혜방] 눈에 노육이 생겨서 눈동자에 그득 차게 된 증상과 珠管(섬)이 선 증상을 치료한다.

패치(패자,燒) 황단 각 1전을 함께 가루 내어 노육이 돋아난 곳에 1일 3~4회 조금씩 넣는다.

♣[오장론] 승마환

간에 병이 있어 눈에 핏발이 서고 군살이 돋아나며 무너진 예막이 생기고 사물이 똑똑히 보이지 않는 증상을 치료한다.

승마 8분,산치자 7분,결명자 10푼,차전자 10분,황금 8푼,고호 7푼,용담 5푼,충위자 5푼,건강 10푼,지부자 10푼을 가루내어 매회 3푼씩 미음에 타서 공복에 복용한다.

♣[간요제중방] 독활산

간실증으로 눈에 핏발이 서고 깔깔하면서 잘 보이지 않고 뜨거운 눈물이 계속 나오며 근맥이 구급하고 등과 어깨가 나른하고 머리가 흐리멍텅해지고 목이 뻣뻣해지면서 아픈 증상을 치료한다.

독활 감국화 만형자 궁궁 각 1량을 가루내어 매회 2전씩을 물 1잔(중)에 산조인과 鼠粘子(우엉의 종자) 각 50립씩 갈아 같이 넣고 7푼쯤 되게 달여 찌꺼기째 수시로 복용한다.

♣[최원량해상방]눈에 열이 나면서 아프고 눈물이 계속 나오는 증상을 치료하는 처방이다.

석명자를 가루 내어 잠잘 무렵에 구리 젓가락에 묻혀 눈에 넣으면 반드시 더운 눈물과 악물이 나오고 낫는다.노육(군살)이 돋아 났을 때에는 30~40일밤 넣으면 없어진다.

♣[성혜방] 현삼산

심과 간에 풍열이 옹체되어 눈이 깔깔하고 아프며 앞머리와 옆머리까지 다 아픈 증상을 치료한다.

현삼 반량,방풍去蘆頭 1량 반,영양각屑 子芩 각 1량,감국화 만형자 적작약 마아초(망초) 각 3전을 가루내어 매회 3전씩을 물 1잔(중)에 6분쯤 되게 달여 찌꺼기를 짜 버리고 식후에 온복하고 잠잘 무렵에 또 한번 복용한다.

♣어뇌점안방 청맹을 치료한다.

이어뇌 이어담 각 1매를 고루 섞어서 1일 3~4회 눈에 넣는다.

♣세신 지부자 결명자 송지 각 2량을 곱게 가루 내어 매회 1전씩 죽엽탕에 타서 식후에 복용한다.

♣[주후방] 작목증(밤눈이 어두운 증상)을 치료하는 처방이다.

이어의 담과 뇌를 눈에 바르면 조이면서 아프다가 눈이 밝아진다.

♣ 눈에 화예가 생겨 눈이 깔깔하면서 아픈 증상을 치료하는 처방이다.

패치(패자) 1량을 태워 분처럼 가루낸 것을 매번 조금씩 예막 위에 넣는다.

♣[삼화자방] 안흑청이 광채가 적고 눈구석에 창이나 예막이 생긴 증상을 치료하는 처방이다.

진피 1량,치자 14매,담죽엽 1악을 각각 썰어 무명 수건에 싸서 구리 그릇에 담고 물 1승을 넣어 3~5번 끓어 오르게 달인 다음 찌꺼기를 짜버린다.그 물에 눈을 씻는다.

♣ 방풍산 간풍으로 눈동자가 바로 향하지 않고 사물을 볼 때 한곳으로 치우치는 증상을 치료한다.

방풍去叉 2량,감국화 4량,질려자炒去刺,악실炒 각 1량을 곱게 가루내어 매회 3전씩 끓인 물에 타서 식후에 복용한다.

♣[성혜방]감국화산

풍독으로 동인(눈동자)이 아래로 처지고 목계가 긴급해져서 똑똑하게 보지 못하는 증상을 치료한다.

감국화 영양각屑 각 1량,생건지황 해동피 진교 거묘 백부자炮製 결명자 궁궁 각 반량,선복화 방풍 거노두 만형자 각 3전을 거칠게 가루내어 매회 3전씩을 물 1잔(중)에 6분쯤 달여 찌꺼기를 짜 버리고 식후에 온복하고 잠잘 무렵에 또 한번 복용한다.

♣[성제총록] 작약탕

열독이 눈에 몰려 눈구석이 부어 오르면서 농즙이 나오는 증상을 치료한다.

적작약 1량 반,영양각(줄로 쓸어 가루낸다) 현삼 방풍去叉 황금去黑心 각 1량,만형자실 감국화 각 3전을 거칠게 가루내어 매회 5전씩을 물 1잔 반에 7분쯤 되게 달여 찌꺼기를 짜 버리고 마아초 1전을 섞어 식후와 잠잘 무렵에 온복한다.

♣[성혜방] 결명자환

간,신의 풍허가 위로 치밀어서 눈앞에 검은 꽃 같은 것이 보이면서 없어지지 않는 증상을 치료한다.

결명자 1량,감국화 1량,차전차 방풍去蘆頭 만형자 궁궁 치자인 세신 백복령 현삼 거예 각 반량,생건지황 3전을 가루내어 연밀에 반죽하여 200~300번 짓찧어 오자 크기로 환을 지어 매회 20환씩 식후에 桑枝湯으로 복용한다.

♣[성혜방] 결명자환 간을 치료하여 눈을 밝게 하고 풍사를 없앤다.

결명자 괴자 복분자 청상자 지부자 차전자 각 1량을 가루내어 연밀에 반죽하여 200~300회 짓찧어 오자 크기로 환을 지어 매회 20환씩 공복에 온주로 복용하고 저녁 식후에 또 한번 복용한다.

♣만청자환 눈이 어두워서 멀리 있는 것을 잘 보지 못하는 증상을 치료한다.

만청자 오미자 지부자 청상자 결명자 저실 거도거부자미초 충위자 토사자(술에 3일 동안 담갔다가 햇볕에 말려 따로 가루낸 것) 구기자 각 1량을 가루내어 연밀에 반죽하여 200~300회 짓찧어 오자 크기로 환을 지어 매회 20환씩 공복에 온주로 복용하고 저녁 식후에 또 한번 복용한다.

♣차전자환 눈이 어두워서 잘 보지 못하는 증상을 치료한다.

차전자 영양각屑 방풍去蘆頭 토사자(술에 3일 동안 담갔다가 햇볕에 말려 따로 가루낸 것) 1량 반을 가루내어 연밀에 반죽하여 200~300회 짓찧어 오자 크기로 환을 지어 매회 20환씩 공복에 온주로 복용하고 잠잘 무렵에 또 한번 복용한다.

♣간기가 상항 어두워진 눈을 밝게 하는 처방

형화충 14매,白犬膽 1매.형화충을 그늘에 말려 곱게 가루내어 매회 기장쌀 크기만큼씩 눈에 넣는다.

♣형화충 14매,백견담 2매.형화충을 이어담 속에 넣어 그늘에서 100일 동안 말린 다음 가루내어 매회 조금씩 눈에 넣으면 좋다.

♣토간환

허로와 간,신의 풍허로 눈앞이 아물아물하면서 잘 보이지 않거나 오래 보지 못하는 증상을 치료한다.

토간 미구황 2량,방풍거노두 영양각설 인삼거노두 결명자 지골피 감국화 각 3전,현삼 백복령 차전자 황기좌 숙건지황 각 1량,지각(밀기울과 함께 누렇게 볶아 속을 버린 것) 반량,맥문동거심배 1량 반을 가루내어 300~3500회 짓찧어 오자 크기로 환을 지어 매회 30환씩 식전에 따뜻한 미음으로 복용한다.

♣황기산 허로를 치료하며 간을 보하고 눈을 밝게 한다.

황기 백복령 원지거심 세신 각 1량,석종류분 운모분 각 1량 반.위의 4가지 야을 곱게 찧어 만든 산에 종류분과 운모분을 고루 섞은 다음 매회 2전씩 1일 2~3회 따뜻한 술에 타서 복용한다.

♣보간산 실명한지 30년 된 눈을 치료한다.

종류분 운모분(各 鍊成者) 세신 원지 복령 오미자 각 등분을 가루내어 매회 5푼씩 1일 3회 술로 복용하는데 양을 늘여 1전까지 복용하고 상복하면 눈이 밝아지게 된다.

♣[선명론] 인삼산

전궐증을 치료하는데 전궐증이란 양기가 번로하다가 여름이 되어서 쌓여 있던 것이 열궐로 되어 눈으로 몰려 눈으로 잘 보지 못하고 귀가 들리지 않는 병증을 치료한다.또 전궐증으로 기가 치밀어 올라 머리와 눈이 昏憒혼궤하여 구기 들리지 않고 눈이 보이지 않으며 7기로 잘 노하는 증상을 치료한다.

인삼 원지거심 적복령거피 방풍거노 각 2량,작약 맥문동거심 진피거백 백출 각 1량을 가루내어 매회 3전씩을 물 1잔 반에 8분쯤 되게 달여 찌꺼기를 짜 버리고 수시로 따뜻한 것을 복용한다.

♣간이 허하고 혈이 부족하여 풍사와 독기가 침범하여 눈정기가 혼탁하고 흑청과 백청과의 경계가 분명하지 못한 목훈을 치료하는 처방

산약 방풍거차 세신거묘엽 각 1량,산수유 만형실거백피 각 3전,작약 승마 각 반량을 곱게 가루내어 매회 3전씩을 온주에 타서 복용한다.

♣[성제총록] 택사환

장부에 있는 열이 눈에 치밀어 올라 진액을 엉키게 해서 눈꼽이 끼는 증상을 치료한다.

택사 충위자 토사자酒浸別搗 석곡거근 지부자 오미자 생건지황焙 각 1량,산우(마) 1량,세신거묘엽 반량을 가루 내어 연밀에 반죽하여 오자 크기로 환을 지어 매회 20환씩 공복에 따뜻한 물로 복용하고 잠잘 무렵에 또 한번 복용한다.

♣양간환(養肝丸)

간기가 부족하여 눈 앞이 아찔하거나 꽃무늬 같은 것이 어른거리면서 혹 눈꼽이 끼거나 눈물이 나는 것과 부인이 혈(血)이 허하여 생긴 눈병을 치료한다.

당귀, 궁궁이(천궁), 집함박꽃뿌리(백작약), 찐지황 각각 40g, 방풍, 닥나무열매(저실자, 닦은 것), 길짱구씨(차전자, 술에 축여 볶은 것), 유인(끓는 물에 담갔다가 껍질을 버린 것) 각각 20g.

위의 약들을 가루를 내어 꿀에 반죽해서 벽오동씨만하게 알약을 만든다. 한번에 70알씩 끼니 사이에 끓인 물로 먹는다[의감].

♣생숙지황환(生熟地黃丸)

혈이 허하여 눈이 잘 보이지 않는 것을 치료한다.

생건지황, 찐지황, 현삼, 석고 각각 40g.

위의 약들을 가루를 내어 꿀에 반죽해서 벽오동씨만하게 알약을 만든다. 한번에 50-70알씩 빈속에 찻물로 먹는다[입문].

♣밀몽화산(密蒙花散)

16가지 내장과 여러 해 동안 눈이 잘 보이지 않는 것을 치료한다.

밀몽화 80g, 영양각, 굼벵이(제조, 뽕나무 속에 있던 굼벵이를 쓴다), 인삼, 복분자, 댑싸리씨(지부자), 구기자, 감초 각각 40g, 익모초씨, 석명자, 단국화(감국), 홰나무꽃(괴화) 각각 20g.

위의 약들을 가루를 내어 한번에 8g씩 미음에 타 먹는다[득효].

♣서각산(犀角散)

눈알이 아래로 쏠려 보지 못하는 것을 치료한다.

길짱구씨(차전자), 구기자 각각 40g, 홰나무열매(괴실), 오미자, 개맨드라미씨(청상자), 우엉씨(대력자, 닦은 것), 익모초씨(충위자), 호황련 각각 30g, 서각(가루낸 것), 영양각(가루낸 것) 각각 20g, 토끼간(토간, 약간 굽는다) 1보.

위의 약들을 가루를 내어 한번에 8g씩 홰나무열매(괴실)를 달인 물에 타서 끼니 뒤에 먹는다[유취].

♣사물오자원(四物五子元)

눈이 잘 보이지 않는 것을 치료한다.

당귀, 궁궁이(천궁), 찐지황(숙지황), 집함박꽃뿌리(백작약), 구기자, 복분자, 댑싸리씨(지부자), 새삼씨(토사자), 길짱구씨(차전자) 각각 같은 양.

위의 약들을 가루를 내어 꿀에 반죽해서 벽오동씨만하게 알약을 만든다. 한번에 50-70알씩 소금 끓인 물로 빈속에 먹는다.

♣만청자환(蔓菁子丸)

눈이 잘 보이지 않는 것을 치료한다.

위의 약들을 가루를 내어 꿀에 반죽해서 벽오동씨(梧子)만하게 알약을 만든다. 한번에 50-70알씩 빈속에 술로 먹는다[집성].

♣야광육신환(夜光育神丸)

늙은이의 눈이 잘 보이지 않는 것을 치료한다.

찐지황(숙지황), 생건지황, 원지, 쇠무릎(우슬), 새삼씨(토사자), 구기자, 단국화(감국), 지각, 지골피, 당귀 각각 같은 양.

위의 약들을 가루를 내어 꿀에 반죽해서 벽오동씨만하게 알약을 만든다. 한번에 50-70알씩 술로 빈속에 먹는다[양로].

♣명안지황환(明眼地黃丸)

늙은이가 찬 눈물을 흘리며 눈이 잘 보이지 않고 꽃무늬 같은 것이 나타나는 것을 치료한다.

찐지황(숙지황), 생건지황 각각 160g, 석곡, 단국화(감국), 방풍, 지각 각각 40g, 쇠무릎 30g, 살구씨(행인) 20g.

위의 약들을 가루를 내어 꿀에 반죽해서 벽오동씨만하게 알약을 만든다. 한번에 50-70알씩 데운 술이나 소금 끓인 물로 빈속에 먹는다[득효].

♣보간산(保肝散)

풍사(風邪)가 뇌에 들어가 하나가 둘로 보이고 내장이 되려는 것을 치료한다.

궁궁이(천궁), 당귀, 지골피, 삽주(창출), 흰삽주(백출), 밀몽화, 강호리(강활), 천마, 박하, 시호, 고본, 석고, 속새(목적), 연교, 족두리풀(세신), 도라지(길경), 방풍, 형개, 감초 각각 2g, 산치자, 구릿대(백지) 각각 1.2g.

위의 약들을 썰어서 1첩으로 하여 물에 달여 끼니 뒤에 먹는다[회춘].

♣눈에 군살이 나오고 예막이 생긴 데 넣는 약[點眼生肉瞖藥]

눈에 군살이 생겨서 눈동자까지 씌운 것과 예막이 생긴 것을 치료한다.

패치(貝齒, 태워서 가루낸다) 7개, 진주 각각 같은 양.

위의 약들을 분같이 보드랍게 갈아 예막이나 군살이 생긴 데 다섯번 넣으면 낫는다[천금].

♣진피산(秦皮散)

양쪽 눈이 피지고 부어 아프면서 눈물이 나오고 퍼렇거나 흰 예막이 생긴 것을 치료한다.

물푸레나무껍질(진피), 황련, 곱돌(활석) 각각 4g

위의 약들을 거칠게 가루를 내어 달인 물을 따뜻하게 해서 하루 세번 씻는다[국방].

♣[신농본초경]

1明目,2木盲無所見,3久服益精光

1주사[명목,益氣],공청,백청,편청,석담,운모,창포[明耳目],세신,인삼,만형자,석명자,충위자,향포,진초,상상기실,유핵,이어담,현실,석종유,이석,철정,황련,고삼,구맥[명목거예],두약,교근,영양각[명목,益氣],고양각,구담,복익[目瞑,명목,夜視有精光],요실,융염,초호,형화,2 현삼,방풍, 3결명자

1靑盲,2目淫膚赤白膜,3去瞖

1공청,진피[目中靑瞖白膜],이어담,현실,고양각,2 결명자,진피,제조[목중음부],3 구맥[명목거예],장석[거예眇],제조[청예백막],패자[목예]

1目痛,2目熱赤痛,3利九窺

1증청,편청,석담,석명자,유핵,황련[目痛眥傷泣出],난화[목통泣出傷眥],2 이어담,결명자[眼赤痛淚出],융염[명목목통익기],백렴[目中赤],3 공청,증청,백청,흑지[通구규],세신,만형실,공공얼,석종류[通百節이구규],자삼,통초[痛利究竅血脈關節],자초,비맹,조협

1通血脈,2胃絡脈絶

1공청,수근[保혈맥],안방[氣不痛],비맹,장석,통초[通利九竅血脈關節],2 맥문동

1止淚出,2目欲脫,7多涕

1증청,국화,석명자,유핵[目痛赤傷누출],결명자[안적통누출],황련[目痛眥償泣出],고삼,백지[頭風侵目누출],두약[多涕누출]조협[사기풍두누출],2 국화,7 두약

풍사기

파극천[大風사기],인진[풍습한열사기],고활[대풍사기],진초[風사기]

補1肝氣,2心氣,3脾氣,4肺氣,5腎氣,6胃氣

1청지,2 적지,영양각[安心氣],매실[안심],3 황지,대조[養脾]4 백지,사삼[益肺氣],5 흑지,현삼,좁쌀[養腎氣,去脾胃中熱,益氣],석남초,6 대조[平위기],이석[利胃]

익정기

자지[保神,益精氣],두중[익정기],지부자[익정기],석명자[益精光],충위자[익정],봉류[익정기],이석[익정],저계[익정],상표초[익정],교근[益陰精]

膿血

적소두,유실,밀납

댓글 없음:

댓글 쓰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