동의고전 정선 임상응용방제
심통,심복통,흉협통
☼반하길경탕
비와 폐의 병으로 한열이 있고 허로로 기침을 하며 담이 성하고,구역과 딸꾹질을 하는 증상을 치료한다.심통을 치료한다.
반하(좁쌀죽 웃물에 넣고 4~5회 끓어오르게 달인 다음 썰어서 약한 불에 말린 것) 3전,길경炒 상근백피剉炒 천남성洗過 각 1량을 거칠게 가루내어 매회 2전씩을 생강 대추 크기만한 것을 잘게 썬 것과 함께 물 2鐘鉢에 달여 반종발이 되면 찌꺼기를 짜버리고 식후와 잠잘 무렵에 온복한다.
☼[발췌방] 소황환
열담으로 기침을 하고 맥이 홍하면서 얼굴색이 붉고,번열이 나고 가슴이 아프며 입술과 입안이 건조하고 잘 웃는 증상을 치료한다.
천남성湯洗 반하湯洗 황금 각 1량을 右爲末 薑汁浸蒸餠(생강즙에 쪄서 떡으로 반죽하여) 爲丸桐子大 每服五七十丸生薑湯下食後(매회 50~70환씩 생강탕으로 복용한다)
☼옥분환
기와 담으로 기침을 하고 맥이 삽하며 얼굴색이 희고,기가 치밀어 올라 숨이 喘促하며 오싹오싹 춥다가 열이 나며 늘 愁心에 쌓여 있으면서 기분이 좋지 못한 증상을 치료한다.심통을 치료한다.
천남성湯洗 반하湯洗 각 1량,귤피去白 2량을 곱게 가루내어 湯浸蒸餠(끓는 물에 쪄서 떡으로 반죽하여) 오자크기로 환을 지어 매회 30환씩 인삼생강탕으로 식후에 복용한다.
☼중악으로 생긴 심통이 참을 수 없이 심한 증상을 치료하는 처방
적작약 길경(去노두) 행인(湯浸去皮尖雙仁) 각 1량을 가루내어 매회 3잔(中)에 6분쯤 되게 달여 찌꺼기를 짜 버리고 수시로 온복한다.호장(천남성,使촉칠),관균(술과 같이 복용하면 좋다)을 가해야 한다.
☼[영류령]생지황고
열기가 침입하여 생기는 심통을 치료한다.
석창포 1량 반,전호 적복령 각 3푼을 가루내어 꿀과 생지황즙 각각 1잔에 섞어 갈아 고약처럼 만들어 매회 계란노른자만큼씩 식후에 자소탕으로 복용한다.호장(천남성,使촉칠),관균(술과 같이 복용하면 좋다)을 가해야 한다.
☼치심두동방(治心頭疼方)
노래에는 “오매 세 개 대추 세 개 알수를 같이 넣고, 살구씨는 일곱 개를 한데 넣고 짓찧어서, 쌀알만한 사향 두고 술에 달여 먹으면, 가슴앓이 영영 낫고 늙도록 편안하리”라고 하였다.
○ 오매 3개, 대추 3알(모두 씨를 버린다), 살구씨(행인, 물에 우려 꺼풀과 끝을 버린 것), 팥알만한 사향 1개 등을 함께 잘 짓찧어서 황주 한 종발에 넣고 두어 번 끓어오르게 달여 한창 아플 때 따뜻하게 하여 먹는다. 부인에게 더욱 잘 듣는다. 쓰는 즉시로 아픔이 멎는다[필용].
☼가슴앓이에 맥이 견실(堅實)하고 대변을 보지 못하는 것은 설사시켜야 하는데 대시호탕(大柴胡湯, 처방은 상한문(傷寒門)에 있다)을 쓴다. 위(胃)에 습(濕)이 있어서 아픈 데는 소위단(小胃丹, 처방은 담음문(痰飮門)에 있다)으로 설사시킨다[단심].
☼지실이중원(枳實理中元)
한실비만(寒實痞滿)을 치료한다.
지실(밀기울과 함께 닦은 것), 인삼, 흰삽주(백출), 흰솔풍령(백복령), 건강(싸서 구운 것), 감초(닦은 것) 각각 같은 양.
위의 약들을 가루를 내어 꿀로 반죽한 다음 40g으로 4알을 만들어 뜨거운 물에 풀어 먹는다[득효].
○ 상한(傷寒)에 결흉(結胸)으로 가슴이 더부룩하고 아파서 손을 가까이 댈 수 없으며 숨이 끊어지려는 데는 함흉탕이나 함흉환을 써서 다 효과가 없을 때 이 약을 쓰면 잘 낫는다[강목].
☯가미함흉탕(加味陷胸湯)
열비(熱痞)로 가슴이 그득하고 아픈 것을 치료한다.
도라지(길경),지각 각각 6g,끼무릇(반하),속썩은풀(황금),황련,하늘타리씨(과루인),맥문동 각각 4g.
위의 약들을 썰어서 1첩으로 하여 생강 5쪽과 함께 물에 넣고 달여 먹는다[의림].호장(천남성,심통,하품,使촉칠),관균[심통,하품,술과 같이 복용하면 좋다]을 가해야 한다. 별갑[痞,중품],촉칠[痞結적취,하품,使괄루]을 가해야 한다.
☼시경탕(柴梗湯)
가슴이 그득하고 답답하며 더부룩하면서 아픈 것을 치료한다.
시호 8g, 속썩은풀(황금), 끼무릇(반하), 지각, 도라지(길경) 각각 4g, 인삼 2.8g, 감초 2g.
위의 약들을 썰어서 1첩으로 하여 생강 5쪽, 대추 2알과 함께 물에 넣고 달여 먹는다[입문]. 호장(천남성,심통,하품,使촉칠),관균[심통,하품,술과 같이 복용하면 좋다]을 가해야 한다. 별갑[痞,중품],촉칠[痞結적취,하품,使괄루]을 가해야 한다.
☼시진탕(柴陳湯)
담열(痰熱)로 가슴이 더부룩하고 그득한 것을 치료한다.
시호 8g,속썩은풀(황금),끼무릇(반하),벌건솔풍령(적복령),귤껍질(陳皮) 각각 4g,인삼 2.8g,감초 2g.
위의 약들을 썰어서 1첩으로 하여 앞의 처방과 같은 방법으로 달여 먹는다[입문].별갑[痞,중품],촉칠[痞結적취,하품,使괄루]을 가하면 좋다.
[신농본초경]
1伏梁=心積,2賁豚=腎積,3痞=脾積,4心痛,5胸痛,6寒心
1호장[천남성,적취복양],猪蹄저제,석경비,저제,2 독활,돈란[한열분돈],행핵인[寒心분돈],3 별갑,촉칠[痞結적취], 4관균,호장,5 해합[흉통한열],굴초[흉협하통], 6행핵인
1心下邪氣,2心腹邪氣,3邪氣,腹中邪氣,惡氣4胸脇逆氣,5心下結痛,6結氣,7五內邪氣,8心腹張滿痛,9胸脇痛如刀刺
1백청,향포[오장심하사기],용치[심하결기],반하[심하堅],2 자석영[심복해역사기],황지[심복五邪],청문동[심복결기],석룡예,석룡추,시호[심복],산조[심복한열사결기]유핵[심복사결기],용골[심복鬼注],아교[내붕],서각[除邪]자삼[심복적취],3 경천[사악기],시호[한열사기],파극천[大風사기],인진[풍습한열사기],목향,향포[오장심하사기],굴초[사기장간한열],운실[사악결기],고활[대풍사기],서장경[역질사악기],진초[風사기],유피,현실[諸邪],웅황[사기],자황,공공얼[邪結氣],진이[한열사기], 작약[사기복통],지모,적전[蠱毒악기],경천[사악기],서장경[역질사악기],사향[악기],석위[勞熱사기],관동화[한열사기],모란[경간사기],방기[諸邪],백미[狂惑사기],백합,백마현제[辟악기],녹각[사악기],노봉방[한열사기],수소[辟악기],여석[복중견사기],대자[복중毒사기],노감[사기],촉초[사기해역],요화[한열사기],귀구[逐邪,辟악기不祥],여청[축사악기],천웅[사기금창],사간[복중邪逆],연미[고독사기],촉칠[사기고독귀주],낭아[사기열기],백급[위중사기],사함[경간한열사기],뇌환[逐毒氣],수소,약실근,석장생[鬼氣不祥],돈란[사기攣縮],연시[不祥사기],하마,열옹[독기],피자[복중사기],도핵인,부비[사기설리],4 복령,두약[흉협下역기],해[흉중사기], 5 복령,6 모계,시호[去腸胃中結氣],운실[사악결기],유핵[심복사결기],공공얼[사결기],은얼[징가결기],양기석[징가결기],자원[흉중한열결기],해조[破散결기]석룡자[邪결기]망초,선복화,사간,백렴,하고초[癭結氣]석잠[內解결기],작옹[한열결기],7 구기,황환[사기在腸中]8 대황봉자,백극[심복통]9 굴초[흉협下痛],길경
心氣
적지[익심기],영양각[安心氣],매실[안심]
1開心孔,2療心懸
1 창포[개심],인삼,2 백호
해수,천식
☀행인환
냉기로 기침을 하고 호흡기가 寒하며 찬 거품침을 토하면서 가슴속이 몹시 아픈 증상을 치료한다.
행인(외피,끝,쌍인을 제거하고 누렇게 볶은 것) 1승,생강(去皮切曝乾) 1근,진귤피湯浸去白焙 5량을 가루내어 밀환에 반죽하여 오자크기로 환을 지어 매회 20환씩 수시로 온주로 복용한다.
☀석화원 담수(담으로 기침이 나는 증상)를 치료한다.
반하 炮 활석火煆去火毒 각 1량을 생강에 넣고 쑨 풀에 반죽하여 오자크기로 환을 지어 매회 적당한 양을 白湯에 타서 복용한다.
☀지수산
반하湯洗7次 1량반,고백반 4량을 가루내어 생강즙에 넣고 쑨 밀가루풀에 반죽하여 오자크기로 환을 지어 매회 20~30환씩 공복에 온주로 복용한다.
☀옥액산
오래된 해수가 삼초로 전하여져서 배가 그득하고 음식 먹을 증상이 없는 증상과 위가 허하고 담이 있는 증상을 치료한다.
반하(끓는 물에 7번 담가 진을 뺀 다음 약한 불에 말린 것) 1량,생강去皮切焙,진속미揀淨 각 2량을 가루내어 매회 1전씩을 물 1잔에 6푼쯤 되게 달여 온복한다.
☀갑자기 나는 해수가 밤낮 멎지 않는 증상을 치료하는 처방이다.
행인(끓는 물에 담갔다가 껍질과 끝,쌍인을 버리고 밀기울과 함께 약간 누렇게 볶은 것) 5량,생강 거절피 2량을 연밀을 섞어서 잘 짓찧은 다음 오자크기로 환을 지어 매회 20환씩 1일 3~4회 미음으로 복용한다.
☀폐가 차서 갑자기 기침이 나는 증상을 치료한다.
세신末 행인(끓는 물에 담갔다가 껍질과 끝,쌍인을 버리고 밀기울과 함께 약간 누렇게 볶아 고약처럼 되도록 간 것) 각 반량을 먼저 蠟납 반량을 넣고 녹인 다음 酥 1합을 넣는다.여기에 세신과 행인을 넣고 반죽하여 대조크기로 환을 지어 수시로 1환씩 솜에 싸서 입에 물고 녹여서 그 津을 삼킨다.
☀[주후방] 갑자기 나는 기침을 치료하는 처방이다.
생강搗汁 3량,건강 설 3량,행인去皮熬 1승을 모두 같이 짓찧어 환을 지어 매회 3환씩 1일 5~6회 복용한다.
☀행인죽
폐기가 허하여 몸이 여위고,숨이 몹시 차면서 기침하는 증상을 치료한다.
행인(끓는 물에 담갔다가 껍질과 끝,쌍인을 버리고 갈아 누런 우유 3합을 넣고 주물러 짜서 즙을 낸다) 21매,대조去核 7매,갱미 7합,상근백피剉 2량,생강 절 1전을 먼저 물 3잔(큰 잔)에 상근백피 생강 대조 등을 넣고 달어 2잔쯤 되면 찌꺼기를 짜버린다.여기서 쌀을 넣고 죽을 쑤는데 거의 쑤어질 무렵에 행인즙을 넣고 다시 5~7번 끓어오르게 달여 수시로 복용한다.
☀관동화산(款冬花散)
한사(寒邪)나 막히는 것이 서로 어울려서 폐기(肺氣)가 순조롭지 못하여 기침이 나고 담(痰)이 성하는 것을 치료한다.
마황, 패모, 아교주 각각 8g, 살구씨(행인), 감초(닦은 것) 각각 4g, 지모, 뽕나무뿌리껍질(상백피), 끼무릇(반하), 관동화 각각 2g.
위의 약들을 썰어서 1첩으로 하여 생강 3쪽과 함께 물에 달여 먹는다[득효].
☀삼요탕(三拗湯)
풍한사에 감촉되어 기침이 나고 코가 메며 목소리가 탁하고 목이 쉰[失音] 것을 치료한다.
마황(뿌리와 마디를 버리지 않은 것) 살구씨(행인, 꺼풀과 끝을 버리지 않은 것) 감초(닦지도 않고 껍질도 버리지 않은 것) 각각 6g.
위의 약들을 썰어서 1첩으로 하여 생강 5쪽과 함께 물에 달여 먹는다[국방].
☀행자탕(杏子湯)
풍한사(風寒邪)에 감촉되어 담(痰)이 성하고 기침이 나는 것을 치료한다. 냉(冷)으로 생긴 기침에 더 좋다.
인삼, 끼무릇(반하), 벌건솔풍령(적복령), 집함박꽃뿌리(백작약), 족두리풀(세신), 건강, 계피, 살구씨(행인), 오미자 각각 4g, 감초 2g.
위의 약들을 썰어서 1첩으로 하여 생강 5쪽, 오매 1알과 함께 물에 달여 먹는다. 마황을 넣어 쓰면 더 좋다[이간].
☀귤소산(橘蘇散)
한사(寒邪)에 상하여 기침이 나고 몸에 열이 나며 땀이 나고 맥이 부삭(浮數)한 것을 치료하는데 행자탕(杏子湯)을 먹어도 낫지 않을 때 이 약을 쓴다.
귤홍, 차조기잎(자소엽), 살구씨(행인), 흰삽주(백출), 끼무릇(반하), 뽕나무뿌리껍질(상백피), 패모, 오미자 각각 4g, 감초 2g.
위의 약들을 썰어서 1첩으로 하여 생강 3쪽과 함께 물에 달여 먹는다[제생].
☀반하온폐탕(半夏溫肺湯)
허하고 차서 기침이 나고 중완(中腕)에 담수(痰水)와 냉기(冷氣)가 있어서 명치 밑에서 출렁출렁하는 소리가 나고 쓰리며 멀건 물을 많이 토하고 맥이 침현(沈弦)하면서 세지(細遲)한 것을 치료하는데 이것은 위(胃)가 허랭(虛冷)한 것이다.
끼무릇(반하), 족두리풀(세신), 계심, 선복화, 귤껍질(陳皮), 인삼, 도라지(길경), 집함박꽃뿌리(백작약), 감초 각각 4g, 벌건솔풍령(적복령) 2.4g.
위의 약들을 썰어서 1첩으로 하여 생강 5쪽과 함께 물에 달여 먹는다[입문].
☀행소탕(杏蘇湯)
풍한에 상하여 기침이 나고 담이 성하는 것을 치료한다.
살구씨(행인), 차조기잎(자소엽), 뽕나무뿌리껍질(상백피), 귤껍질(陳皮), 끼무릇(반하), 패모, 흰삽주(백출), 오미자 각각 4g, 감초 2g.
위의 약들을 썰어서 1첩으로 하여 생강 5쪽과 함께 물에 달여 먹는다[득효].
☀온폐탕(溫肺湯)
폐가 허한 데 한사가 침입하여 숨이 차고 기침이 나며 거품이 섞인 가래를 토하는 것을 치료한다.
건강, 계피, 끼무릇(반하), 귤껍질(陳皮), 오미자, 살구씨(행인), 감초 각각 4g, 족두리풀(세신), 아교주 각각 2g.
위의 약들을 썰어서 1첩으로 하여 생강 3쪽, 대추 2알과 함께 물에 달여 먹는다[직지].
☀가미이중탕(加味理中湯)
폐와 위가 다 차서[寒] 기침이 나는 것을 치료한다.
인삼, 흰삽주(백출), 건강, 감초, 벌건솔풍령(적복령), 끼무릇(반하), 귤껍질(陳皮), 족두리풀(세신), 오미자 각각 4g.
위의 약들을 썰어서 1첩으로 하여 생강 3쪽, 대추 2알과 함께 물에 달여 먹는다[단심].
☯세폐산(洗肺散)
기침이 나고 담이 성하며 열이 나고 폐기가 맑지 못한 것을 치료한다.
끼무릇(반하) 12g, 속썩은풀(황금) 8g, 천문동, 맥문동, 오미자 각각 6g, 살구씨(행인) 4g, 감초 2g.
위의 약들을 썰어서 1첩으로 하여 생강 5쪽과 함께 물에 달여 먹는다[단심].
☀패모산(貝母散)
화수(火嗽)와 구수(久嗽)를 치료한다.
살구씨(행인) 12g, 관동화 8g, 지모 6g, 패모, 뽕나무뿌리껍질(상백피), 오미자, 감초 각각 4g.
위의 약들을 썰어서 1첩으로 하여 생강 3쪽과 함께 물에 달여 먹는다[입문].
☀영수고(寧嗽膏)
음이 허하여 화가 동해서 기침이 나며 각혈하는 것을 치료한다.
천문동, 흰삽주(백출) 각각 300g, 백부, 살구씨(행인), 패모, 나리(百合) 각각 160g, 관동화 200g, 자원 120g.
위의 약들을 굵게 썰어서 강물 1말에 넣고 3되가 되게 달인 다음 찌꺼기를 건져서 다른 물에 넣고 다시 3되가 되게 달이는데 이렇게 세번 하여 받은 약물을 섞은 다음 여기에 엿(이당) 300g, 꿀(봉밀) 600g을 넣고 다시 달인다. 다음 갖풀(아교) 160g과 흰솔풍령(백복령, 보드랍게 가루낸 것) 160g을 넣고 고루 섞어서 고약을 만든다. 한번에 3-5숟가락씩 아무 때나 먹는다[의감].
☀이모영수탕(二母寧嗽湯)
음식에 상하여 위의 화(火)가 떠올라 폐기를 충동했기 때문에 가래가 나오면서 기침을 하는 것이 오랫동안 낫지 않는 것을 치료한다. 한번 먹으면 곧 낫는다.
석고 8g, 패모, 지모 각각 6g, 산치자, 속썩은풀(황금) 각각 4.8g, 뽕나무뿌리껍질(상백피), 벌건솔풍령(적복령), 하늘타리씨(과루인), 귤껍질(陳皮) 각각 4g, 지실 2.8g, 감초(생것) 0.8g, 오미자 10알.
위의 약들을 썰어서 1첩으로 하여 생강 3쪽과 함께 달여 먹는다[의감].
☀인삼산(人蔘散)
담수에 두루 쓴다.
반하국 8g, 인삼, 도라지(길경), 오미자, 족두리풀(세신), 지각, 벌건솔풍령(적복령), 살구씨(행인) 각각 4g, 감초 2g.
위의 약들을 썰어서 1첩으로 하여 생강 5쪽, 오매 1알과 함께 물에 달여 먹는다[단심].
☀패모탕(貝母湯)
여러 가지 오랜 기침을 치료한다.
패모(생강즙에 법제한 것), 건강, 오미자, 귤껍질(陳皮), 끼무릇(반하, 법제한 것), 시호, 계심 각각 20g, 속썩은풀(황금), 뽕나무뿌리껍질(상백피) 각각 10g, 목향, 감초 각각 5g.
위의 약들을 거칠게 가루내어 한번에 20g씩 살구씨(행인, 법제한 것) 7알, 생강 7쪽과 함께 물에 달여 먹는다.
○ 어떤 부인이 여러 해 동안 기침하다가 이 약을 한 첩 지어 먹고 신기하게 나았다[본사].
☀시호지길탕(柴胡枳桔湯)
찬 기운에 상하여 가슴과 옆구리가 아프고 조열(潮熱)이 나며 기침이 나고 숨이 차며 담이 성하는 것을 치료한다.
마황, 살구씨(행인), 지각, 도라지(길경), 시호, 속썩은풀(황금), 끼무릇(반하), 지모, 석고, 칡뿌리(갈근) 각각 4g, 감초 2g.
위의 약들을 썰어서 1첩으로 하여 생강 3쪽과 함께 물에 달여 먹는다[의감].
☀오호탕(五虎湯)
한사에 상하여 숨이 찬[急] 것을 치료한다.
마황 12g, 석고 20g, 살구씨(행인) 8g, 감초 4g, 좋은 차(細茶) 한자밤, 뽕나무뿌리껍질(상백피) 6g.
위의 약들을 썰어서 1첩으로 하여 생강 3쪽, 파밑(총백) 1대와 함께 물에 달여 먹는다[의감].
☀ 화천에는 백호탕(白虎湯, 처방은 상한문(傷寒門)에 있다)에 하늘타리씨(과루인), 지각, 속썩은풀(황금)을 넣어서 달여 먹으면 효과가 있다. 또한 쌍옥산도 효과가 있다[강목].
☀인삼반하환(人蔘半夏丸)
담연(痰涎)을 삭이고 기침을 멎게 하며 숨찬 것을 낫게 하는데 풍담(風痰), 다담(茶痰), 식담(食痰) 등 일체 담병을 치료한다.
조가비가루(해합분) 80g, 끼무릇(반하), 건강, 백반, 한수석 각각 40g, 인삼, 벌건솔풍령(적복령), 박하, 천남성(싸서 구운 것) 각각 20g, 곽향 10g.
위의 약들을 가루내어 풀에 반죽한 다음 벽오동씨만하게 알약을 만든다. 한번에 30알씩 생강을 달인 물로 하루 3번 먹는다[보감].
☀인삼윤폐환(人蔘潤肺丸)
폐가 허하여 기침이 나고 숨이 찬 것이 오래되어 허로가 된 것을 치료한다.
지모 120g, 도라지(길경), 계피 각각 100g, 인삼, 관동화, 살구씨(행인), 족두리풀(세신), 감초 각각 80g.
위의 약들을 가루내서 꿀에 반죽하여 가시연밥(검인)만하게 알약을 만든다. 한번에 1알씩 잘 씹어서 생강을 달인 물로 넘긴다[입문].
☀윤폐활담영수탕(潤肺豁痰寧嗽湯)
음이 허하여 숨이 몹시 찬 것과 가래가 성하면서 기침이 나는 것을 치료한다.
귤껍질(陳皮), 끼무릇(반하), 찐지황(숙지황), 황백(술에 축여 볶은 것), 지모(술에 축여 볶은 것) 각각 3.2g, 흰솔풍령(백복령) 2.8g, 속썩은풀(황금, 술로 씻은 것), 패모, 천문동, 맥문동, 자원(술로 씻은 것), 관동화(술로 씻은 것), 도라지(길경), 당귀, 감초 각각 2.4g.
위의 약들을 썰어서 1첩으로 하여 생강 3쪽과 함께 물에 달여 먹는다[의감].
☀계명환(鷄鳴丸)
천식과 기침을 두루 치료한다.
지모(술에 축여 볶은 것), 패모(닦은 것), 귤껍질(陳皮, 흰속을 버린 것), 뽕나무뿌리껍질(상백피, 꿀에축여 볶은 것), 관동화, 선복화, 천문동, 맥문동, 인삼, 꽃다지씨(정력자, 닦은 것), 도라지(길경), 살구씨(행인, 밀기울과 함께 볶은 것), 끼무릇(반하, 생강즙에 법제한 것), 아교주, 감초 각각 같은 양.
위의 약들을 가루내서 꿀(봉밀)에 반죽하여 달걀 노른자위만하게 알약을 만든다. 한번에 1알씩 오매를 달인 물이나 생강을 달인 물에 풀어서 먹는다[중조].
☀폐창 때 기침이 나고 기가 치밀어 오르며 번조하고 숨이 차며 맥이 부한 것은 명치 아래에 수기(水氣)가 있는 것인데 이런 데는 소청룡탕(小靑龍湯, 처방은 상한문(傷寒門)에 있다)에 석고를 넣어서 쓴다[중경].
☀월비탕(越婢湯)
석고 16g, 마황 8g, 감초 4g.
위의 약들을 썰어서 1첩으로 하고 여기에 생강 5쪽, 대추 2알, 끼무릇(반하) 8g을 넣어서 물에 달여 먹는다[금궤].
담음문
☀[성혜방] 명치 밑에 수음이 있으면서 흩어지지 않아 가슴 속에서 담음이 되어 먹은 음식물이 소화되지 않는 증상을 치료하는 처방이다.
백출 1량,택사 2량,반하 湯洗七遍去滑 1량을 가루내어 매회 3전씩을 물 1잔(中)에 생강 반전과 함께 넣고 6푼쯤 되게 달인 다음 찌꺼기를 짜버리고 수시로 온복한다.
☀기침을 한 탓으로 폐를 상해서 수농혈이 나오는 증상을 치료하는 처방이다.
모근 생지황 각 3량,생강 1전을 잘게 썰어 매회 5전씩을 물 1잔(中)에 달여 5분쯤 되면 찌꺼기를 짜 버리고 수시로 온복한다.
☀[천금방] 기가 위로 치밀어 해수 천식 증상이 있고 목구멍에 무엇이 걸려 있는 듯하면서 수혈이 나오는 증상을 치료하는 처방이다.
생강즙 행인 각 2승,당,밀 각 1승,저고 2합.먼저 猪膏에 행인을 달여 빛이 누렇게 되면 꺼내어 종이로 깨끗이 닦은 다음 고약같이 짓찧는다.여기에 생강즙,당(엿),밀을 섞어서 환을 빚을 수 있을 정도로 졸인다.매회 행핵만큼씩 1일 6~7회 복용하여 점차 양을 늘여 복용한다.
☀절재화담환(節齋化痰丸)
울담이나 노담으로 가래가 갖풀(아교)같이 걸쭉해져서 뱉기 힘든 것을 주로 치료한다.
천문동, 속썩은풀(황금, 술에 축여 볶은 것), 하늘타리씨(과루인), 귤홍, 해분 각각 40g, 망초, 향부자(소금물에 축여 볶은 것), 도라지(길경), 연교 각각 20g, 청대 8g.
위의 약들을 가루내서 생강즙 조금과 함께 졸인 꿀[煉蜜]에 넣고 반죽하여 앵두알만하게 알약을 만든다. 한번에 50-70알씩 슴슴하게 달인 생강물로 먹어도 된다[잡저].
☀청화활담환(淸火豁痰丸)
상초(上焦)에 화가 몰려서 담연(痰涎)이 몹시 막혔기 때문에 가슴이 말째며[不利] 목구멍이 번조(煩燥)하고 마치 뜬뜬한 것이 걸려 있는 것같은데 토하려고 해도 나오지 않고 삼키려고 해도 넘어가지 않는 것을 치료한다.
대황(술에 축여 아홉번 쪄서 아홉번 햇볕에 말린 것) 100g, 흰삽주(백출, 닦은 것), 지실(밀기울과 함께 닦은 것), 귤껍질(陳皮, 소금물에 축여 볶은 것) 각각 80g, 속썩은풀(황금, 술에 축여 볶은 것), 황련(술에 축여 볶은 것), 산치자(닦은 것), 천남성, 끼무릇(반하, 이 2가지 약은 백반, 주염열매, 생강 각각 40g씩을 함께 넣고 달인 물에 7일 동안 담갔던 것) 각각 60g, 패모(닦은 것) 52g, 연교, 하늘타리뿌리(과루근), 흰솔풍령(백복령), 약누룩(신국, 닦은 것), 흰겨자(닦은 것) 각각 40g, 현명분 28g, 청몽석(염초 40g과 함께 금빛이 나도록 구운 것), 청대, 감초 각각 20g, 침향 8g.
위의 약들을 가루내서 참대기름에 반죽하여 벽오동씨만하게 알약을 만든다. 한번에 60-70알씩 찻물로 먹는다[의감].
☀청화화담탕(淸火化痰湯)
열로 가슴에 담이 뭉쳐 뱉아도 잘 나오지 않고 그득하면서 답답하고 아픈 것을 담결(痰結)이라고 하는데 이것을 치료한다.
끼무릇(반하, 법제한 것), 귤껍질(陳皮), 벌건솔풍령(적복령) 각각 4g, 도라지(길경), 지각, 하늘타리씨(과루인) 각각 2.8g, 황련, 속썩은풀(황금), 산치자, 패모, 차조기씨(자소자), 뽕나무뿌리껍질(상백피), 살구씨(행인), 망초 각각 2g, 목향, 감초 각각 1.2g.
위의 약들을 썰어서 1첩으로 하여 생강 3쪽과 함께 넣고 물이 절반정도 줄어들도록 달인 다음 망초를 넣고 녹인다. 다음 찌꺼기를 짜버리고 참대기름과 생강즙을 타서 먹는다[회춘].
☀죽력달담환(竹瀝達痰丸)
담(痰)을 대변으로 잘 나가게 하면서도 원기(元氣)를 상하지 않게 하는 좋은 약이다. 단계가 팔다리에 있는 담은 참대기름이 아니면 풀리게 할 수 없다고 하였는데 이 약이 바로 그런 약이다.
끼무릇(반하, 생강즙에 법제한 것), 귤껍질(陳皮, 흰속을 버린 것), 흰삽주(백출, 약간 닦은 것), 흰솔풍령(백복령), 대황(술에 담갔다가 쪄서 햇볕에 말린 것), 속썩은풀(황금, 술에 축여 볶은 것) 각각 80g, 인삼, 감초(닦은 것) 각각 60g, 청몽석(부스러뜨린 것으로 80g) 등을 염초 40g과 함께 생강즙에 넣고 반죽한 다음 팥알만하게 알약을 만든다. 한번에 1백알씩 미음이나 생강을 달인 물로 잠잘 무렵에 먹는다[입문].
○ 일명 죽력운담환(竹瀝運痰丸)이라고도 한다.
☀용뇌계소환(龍腦鷄蘇丸)
해혈, 수혈, 타혈, 각혈을 치료한다.
박하 600g, 맥문동 160g, 부들꽃가루(포황), 갖풀(아교) 각각 80g, 감초 60g, 인삼, 황기 각각 40g.
위의 약들을 가루낸다. 그리고 따로 시호, 으름덩굴(목통) 각각 80g씩을 썰어서 끓인 물 반 사발에 이틀밤 담가 두었다가 즙을 낸다. 다음 꿀 1.2kg를 한두번 끓어오르게 달여서 생건지황가루 240g과 고루 섞는다. 여기에 시호, 으름덩굴(목통)즙을 타서 약한 불에 물엿처럼 되게 달인 다음 위의 약가루를 넣고 반죽하여 완두알만하게 알약을 만든다. 한번에 20알씩 끓인 물로 먹는다[국방].
[신농본초경]
1留癖,2淡癖,3胸中痰結,4留飮
1박초[逐6부적취,결고유벽],요화[下12수,파적취,대견,징가,탕척장위중유벽음식,이수도]2 파두[유음담벽],3 항산,4 대황[留飮宿食,通利水穀,調中化食,蕩滌腸胃,推陳致新],감수[유음숙식,파징견적취,이수곡도],파두[유음담벽,대복수창,탕련5장6부,개통폐색,이수곡도]
止血
천명정,포황,왕불류행,단웅계,건강,수근
衄血
대계,택란(御覽)
食傷,消食
☼귤련지출환(橘連枳朮丸)
비(脾)를 보하고 위(胃)를 고르게 하며 음식을 소화시키고 담을 삭이며 화를 내린다.
흰삽주(백출) 120g, 지실(밀기울과 함께 닦은 것), 귤껍질(陳皮), 황련(술에 담갔다가 볶은 것) 각각 40g.
위의 약들을 가루내어 연잎 끓인 물에 쌀을 두고 쑨 풀로 반죽한 다음 벽오동씨만하게 알약을 만든다. 먹는 법은 지출환과 같다.
○ 장역로(張易老)는 흰삽주(백출) 80g으로 비를 보하고 지실 40g으로 트릿한 것을 없어지게 하였는데 이 처방은 보하는 작용이 많고 소화시키는 작용이 약하다. 동원 때에 와서 귤껍질(橘皮) 40g을 더 넣어 위를 고르게 하였으므로 보하는 작용과 소화시키는 작용이 같아지게 되었다. 나는 흰삽주(백출) 120g, 지실, 귤껍질(陳皮), 황련 각각 40g을 넣었더니 보하는 작용이 많았고 음식을 소화시켰을 뿐아니라 또 열을 내리게 하였다[방광].
☼삼황지출환(三黃枳朮丸)
고기나 국수, 기름진 음식에 체해서 속이 답답하여 어쩔 바를 몰라하면서 괴로워하는 것을 치료한다.
속썩은풀(황금) 80g, 황련(술에 축여 볶은 것), 대황(잿불에 묻어 구운 것), 약누룩(신국, 닦은 것), 흰삽주(백출), 귤껍질(陳皮) 각각 40g, 지실(밀기울과 함께 닦은 것) 20g.
위의 약들을 가루를 내어 끓는 물에 담갔던 증병으로 반죽한 다음 녹두알만하게 알약을 만든다. 한번에 50-70알씩 끓인 물로 먹는다[동원].
☼가감보화환(加減保和丸)
음식을 소화시키고 담을 삭이며 비위(脾胃)의 기를 도와준다.
흰삽주(백출) 100g, 찔광이(山枚肉), 향부자, 후박, 약누룩(신국), 끼무릇(반하), 흰솔풍령(백복령) 각각 60g. 귤껍질(陳皮), 연교, 무씨(나복자), 속썩은풀(황금), 황련 각각 40g, 삽주(창출), 지실 각각 20g.
위의 약들을 가루내어 생강즙을 두고 쑨 풀로 반죽한 다음 벽오동씨만하게 알약을 만든다. 한번에 70-80알씩 찻물이나 끓인 물로 먹는다[단심].
☼지실도체환(枳實導滯丸)
습열이 생기는 음식물에 체해서 소화가 되지 않아 명치 밑이 트릿하고 그득한 것을 치료한다.
대황 40g, 지실, 약누룩(신국) 각각 20g, 흰솔풍령(백복령), 속썩은풀(황금), 황련, 흰삽주(백출) 각각 12g, 택사 8g.
위의 약들을 가루를 내어 증병으로 반죽한 다음 벽오동씨만하게 알약을 만든다. 한번에 70-80알씩 따뜻한 물로 먹는다[동원].
○ 일명 도기지실환(導氣枳實丸)이라고도 한다[입문].
고독
☼고독으로 무엇인가 깨무는 것 같이 삼켜도 넘어가지 않고 뱉아도 나오지 않으며 때로 선혈을 누며 몸이 여위고 배만 커지며 먹은 음식물이 내려가지 않는 증상을 치료하는 처방이다.
도백피(음력 5월초에 벗겨 그늘에서 말려 두었다가 쓸 때 검은 껍질을 버린다) 1량반,대극(썰어서 약간 볶은 것) 3전,반묘(찹쌀을 함께 약간 누렇게 볶아 날개와 발을 버린 것) 3전을 각각 곱게 가루 내어 함께 섞은 것은 매회 1전씩 공복에 멀건 미음을 타서 복용한다.한참 있다가 또 미음을 조금 먹으면 반드시 몹시 토하고 설사하는데 이때 고독이 함께 나온다.만일 1회 복용해서 낫지 않으면 3일만에 또 한번 복용한다.이 약을 복용했을 때 비록 몹시 피곤하지만 몸을 해하는 일은 없고 다 토한 뒤 한참 있다가 미음을 먹는다.이 처방은 매우 효과가 있다.『필효방』에는 세 가지 약을 각각 같은 양으로 곱게 가루 내어 방촌시로 반 숟가락씩 찬물로 복용하되 술을 마시고 생긴 고독이면 술에 타서 복용하고 밥을 먹고 생긴 고독이면 미음에 타서 복용한다고 하였다.
☼사향 1전을 곱게 갈아 따뜻한 물에 타서 공복에 복용하면 고독을 토한다.
☼향조환 10가지 고독을 치료한다.
苦丁香(참외꼭지)을 고운 분말로 만들어 熟棗肉에 반죽하여 오자 크기로 환을 지어 매회 30환씩 공복에 대조탕으로 복용한다.3회만 복용하면 낫는다.
☼[백일선방] 고독에 걸려 문드러진 간 같은 것을 토하거나 하혈하는 증상을 치료하는 처방
구인 14枚매를 고주 3승에 담가 준다.지렁이가 죽었으면 그 즙만 마신다.거의 죽게 된 사람도 치료할 수 있다.
☼반묘 1마리를 대가리와 발과 날개를 버리고 가루내어 미음에 타마시면 설사로 고독이 나온다[본초]. 반묘(발과 날개를 버리고 닦은 것), 버들옻, 복숭아나무뿌리속껍질(동쪽으로 뻗었던 것) 등 이 3가지를 같은 양으로 하여 가루내어 한번에 2g씩 찬물에 타서 먹으면 설사로 고독이 나오는데 나오지 않으면 한번 더 먹어야 효과가 있다.버들옻만 먹어도 좋다[본초].
☼고독에 걸려 피를 토하고 대변으로 물크러진 간[爛肝] 같은 피가 나오는데는 지렁이(구인) 14마리를 쓰는데 식초 1되에 담가서 죽은 다음 그 물을 마신다. 그러면 죽을 것같이 되었던 사람도 다 살아날 수 있다[본초].
[신농본초경]
蠱毒
남실,용담,난초,운실,서장경,사향,봉자,과체,자황[독충],장석,부청,미무,저령,자원[흉중한열결기],위모[殺鬼毒蠱注],서각[고주],영양각,백마현제[고주不祥],노봉방,연시,대자석,노감,파두[鬼毒,蠱注,邪物],대극,여청,촉칠[사기고독귀주],석남초실,황환,연교,여로,육축모제갑,돈란,사태,오공,작옹,피자,구인,반모,패
댓글 없음:
댓글 쓰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