동의고전 정선 임상응용방제
[출처] 향약집성방,동의보감,신농본초경
이질
☯拔粹方[防風芍藥湯]治泄痢 飧洩 身熱脈弦 腹痛而渴 及 頭痛微汗
防風 芍藥 黃芩 各一兩
○右咬咀(이상을 잘게 썰어) 每服半兩或一兩 水煎服
☯御醫樶要[赤芍藥散]埋赤痢 腹痛不可忍
赤芍藥 黃檗塗蜜炙黃 各二兩
○右爲末 每服三錢 淡漿水(묽은 좁쌀 웃물) 一鍾半煎 一鍾 去滓 稍熱 服不計時
☯聖濟總錄[赤石脂散]治白膿痢
赤石脂碎一兩 乾姜炮三分
○右爲末 每服二錢 空心米飮下 日晩再服
☯聖濟總錄[桃花丸]治赤白痢 日夜無度攻臍腹痛(밤낮 멎지 않으면서 배꼽노리가 아픈 것)
赤石脂一兩 乾薑一兩炮○右爲細末 白麪糊爲丸如梧桐子大(밀가루 풀에 반죽하여 오자 크기로 환을 지어) 每服三十丸 食前日二服 若血痢溫水下 白痢乾薑湯下
☯治久赤白痢不差 羸困(몸이 여위고 노곤해지는 것)
白礬 黃丹 各二兩○右先擣白礬爲末布在銚子內便以黃丹覆之武火燒
至沸定却硏爲末用軟飯和(먼저 백반을 가루내어 남비에 편 다음 그 위에 황단을 덮어 센 부에 올려 놓는다.끓던 것이 멎으면 꺼내어 가루 낸 후 진밥에 반죽하여) 丸如梧桐子大 每服不計時 以粥飮下十丸
☯[芍藥湯]治血痢腹痛
赤芍藥 黃檗皮去麤皮炙 地楡各一兩
○右麤末(거칠게 가루내어) 每服五錢 以漿水二鍾 煎一鍾 去滓 溫服不拘時
☯[肘後方]治寒痢
乾姜切如大豆 米飮服六七十枚 日三 夜一服 痢靑色者爲寒痢累服而效(이질때 대변색이 푸른 것은 한리인데 여러 번 써서 효과를 보았다)
☯千金方[赤石脂湯]
治下焦熱 或下痢膿血 煩悶恍惚
赤石脂八兩 烏梅二十枚 梔子十四枚白朮升麻各三兩 乾姜二兩
○右咬咀 以水一斗煮米 取熟去米 下藥煮 取二升半 分爲三服
☯도기탕(導氣湯)
이질로 피곱이 나오고 속이 켕기며 뒤가 무직한 것을 치료한다.
당귀 6g, 대황, 속썩은풀(황금), 집함박꽃뿌리(백작약) 각각 4g, 황련, 목향, 빈랑 각각 2g.
위의 약들을 썰어서 1첩으로 하여 물에 달여 먹는다[동원].
☯ 도체탕(導滯湯)
이질로 피곱이 나오며 뱃속이 켕기고 뒤가 무직하면서 배가 아프며 목이 마르고 밤낮으로 한정없이 설사하는 것을 치료한다.
집함박꽃뿌리(백작약) 8g, 당귀, 속썩은풀(황금), 황련 각각 4g, 대황 2.8g, 계심, 목향, 빈랑, 감초 각각 1.2g.
위의 약들을 썰어서 1첩으로 하여 빈속에 물에 달여 먹는다[입문].
☯ 해독금화산(解毒金花散)
열독(熱毒)으로 이질이 생겨 피곱이 나오는 것을 치료한다.
황련, 황백 각각 8g, 흰삽주(백출), 속썩은풀(황금), 벌건솔풍령(적복령), 함박꽃뿌리(작약) 각각 4g.
위의 약들을 썰어서 1첩으로 하여 물에 달여 먹는다[단심].
☯ 적석지환(赤石脂丸)
이질로 피곱이 나오면서 배가 아픈 것을 치료한다.
적석지, 건강 각각 40g, 황련, 당귀 각각 80g.
위의 약들을 가루내어 꿀에 반죽하여 벽오동씨만하게 알약을 만든다. 한번에 30-50알씩 빈속에 미음으로 먹는다[입문].
☯ 해금환(解噤丸)
금구리를 치료한다.
황련(썬 것) 320g, 생강(썬 것) 160g.
위의 약을 함께 넣고 눋도록 볶아서[炒令焦] 생강은 버리고 황련만 가루내어 묵은 쌀(陳米)로 지은 밥에 반죽한 다음 벽오동씨만하게 알약을 만든다. 한번에 70-80알씩 먹는데 적리(赤痢)에는 묵은 쌀로 쑨 미음으로 먹고 백리(白痢)에는 귤껍질(陳皮)을 달인 물로 먹으며 적백리(赤白痢)에는 묵은 쌀과 귤껍질을 달인 물로 먹는다[단심].
☯ 영위산(寧胃散)
피곱이 나오는 열리를 치료한다.
집함박꽃뿌리(백작약) 8g, 속썩은풀(황금), 황련, 목향, 지각 각각 6g, 귤껍질(陳皮) 4g, 감초(닦은 것) 2g.
위의 약들을 썰어서 1첩으로 하여 물에 달여 먹는다. 일명 금련작약탕(芩連芍藥湯)이라고도 한다[필용].
☯ 대단하환(大斷下丸)
오랜 이질[久痢]로 자주 대변이 줄줄 나오고[滑數] 몸이 여위면서 피곤하며 허약해지는 것을 치료한다.
용골, 부자(싸서 구운 것), 백반(구운 것), 육두구(잿불에 묻어 구운 것), 굴조개껍질(모려, 달군 것), 가자피, 산석류피 각각 40g, 양강, 건강, 적석지 각각 30g, 족두리풀(세신) 15g.
위의 약들을 가루내어 식초에 쑨 풀에 반죽한 다음 벽오동씨만하게 알약을 만든다. 한번에 30알씩 좁쌀미음으로 먹는다[입문].
☯ 천근환(茜根丸)
고주리를 치료한다.
꼭두서니뿌리(천근), 서각, 승마, 오이풀뿌리(지유), 당귀, 황련, 지각, 집함박꽃뿌리(백작약) 각각 같은 양.
위의 약들을 가루내어 식초에 쑨 풀에 반죽한 다음 벽오동씨만하게 알약을 만든다. 한번에 50-70알씩 미음으로 먹는다[제생].
[신농본초경]
반석,우여랑[하리적백],운실,오색석지,용골,밀납,비질이황피,은얼,황금,황련,건강[하리],갈곡[下痢十歲以上],지실,벽목,여원,여로,부비[사기설리]
산기
☯당귀사역탕(當歸四逆湯)
한산(寒疝)으로 배꼽 아래가 차고 아픈 것을 치료한다.
당귀 4.8g, 부자, 육계, 회향 각각 4g, 집함박꽃뿌리(백작약), 시호 각각 3.6g, 현호색, 고련자(천련자), 솔풍령(복령) 각각 2.8g, 택사 2g.
위의 약들을 썰어서 1첩으로 하여 물에 달여서 빈속에 먹는다[강목].
☯[신농본초경]
방규,오가피[심복산기복통],복령[어람:산기]
적취,징가
☯[神明度命元]
治久患腹內積聚 大小便不通 氣上搶心(기가 가슴으로 치받치고)
腹中脹滿 逆害飮食(구역이 나서 음식을 먹지 못하는 것)
大黃 芍藥 各二兩
○右爲末 蜜丸如桐子大 飮服四丸日三 不知加(효과가 없으면) 至六七丸 以知爲度(효과가 있을 때까지)
☯治萬病積聚
蒺藜子 七八月收不限多少 以水煮過熟取
滓曝乾擣篩(적당한 양을 7~8월에 채취해서 잘 익도록 물에 삶아 건져내어 햇볕에 말려 가루낸 것을) 蜜丸如梧子大 酒服七丸以知爲度 其汁煎如飴服之 (엿처럼 달여서 복용해도 된다)
☯[肘後方]治心下有物大如杯 不得食
葶藶熬 大黃 各二兩 澤漆 四兩
○右擣篩 蜜和 擣千杵 丸如梧子大 服二丸日三 稍加服之(양을 점차 늘여 복용하기도 한다)
☯聖惠方[大黃散]治痃癖氣 連心肋相引痛 堅急(명치와 옆구리가 땅기면서 아프고 몹시 딴딴한 증상)
大黃剉微炒 當歸剉微炒 白朮 枳殼去穰麩炒微黃(속을 파버리고 밀기울과 함께 약간 볶은 것) 鼈甲塗醋炙令黃去裙襴(식초를 발라 누렇게 구워 겉껍질을 버린다)各一兩 柴胡去苗一兩半
○右擣篩爲散 每服三錢 以水一中盞入生薑半錢 煎至五分 去滓不 計時溫服
☯[大黃丸]治痃癖氣 時攻心腹疼痛 令人不思飮食 漸爲瘦病
大黃一斤生爲末 鼈甲三兩塗醋炙令黃去裙襴 枳殼二兩半麩炒微黃去瓤 當歸一兩半剉微炒
赤芍藥一兩半 三稜三兩微煨剉一吳茱萸一兩湯浸七遍焙乾微炒(끓는 물에 7번 담갔다가 약한 불에 말려서 약간 볶은 것)
○右擣羅爲散 先以米醋三升熬大黃爲膏(먼저 미초에 대황을 졸여 고약같이 만든 것에) 次入諸藥和 丸如梧桐子大 每於食前 以溫酒下三十丸
☯聖濟總錄[柴胡飮]治癖氣 腹痛兩脅脹滿 不思飮食
柴胡去苗 赤茯苓去黑皮各三錢 赤芍藥 鼈甲去裙襴醋炙 郁李仁去皮各半兩 桔梗炒 木通剉炒各一兩
○右麤擣篩 每服五錢 水一盞半 煎至八分 去滓 食後溫服日再
☯[外臺祕要]療癖
大黃十兩細末 醋三升和匀白蜜兩匙煎 堪丸如桐子大 一服三十丸 生薑湯呑下 以利爲度 小者減之
☯治癥瘕久不差 令人不食羸瘦少力
鼈甲三兩塗醋炙令黃去裙襴 桃仁三百枚 湯浸去皮尖雙仁 以水三升生硏濾取汁(끓는 물에 담갔다가 흰속을 버리고 약한 불에 말린 것) 京三稜三兩微煨剉
○右鼈甲三稜擣羅爲末 先以桃仁汁入鐺中 煎三五沸 次下藥末
同煎至一升 漸漸入酒二升熬如餳 收瓷合항아리나 사기그릇에 담아 두고 매회 1숟가락씩 식전에 온주에 타서 복용한다.
☯[又方]蠶砂 桑柴灰 各一斗
○右以水三斗往復淋之五六度 取生鼈長一尺者一枚內灰汁中煮之爛熟取出擘去甲及骨於砂盆中硏令細更入灰汁中煎熬候可丸(이상을 물 3斗로 잿물 받듯이 5~6번 거듭 걸러낸다.이 물에 길이가 1척쯤 되는 생별-산 자라 1尾를 넣고 푹 익도록 삶아서 건져낸다.자라 등딱지와 뼈를 추려 버리고 사기 그릇에 잘 간 다음 다시 그 잿물을 넣고 환을 지을 수 있도록 졸여서) 卽丸如梧桐子大 每於食前以溫酒下二十丸
☯[聖惠方]治食魚鱠及生肉 住胸膈中不化吐之不出(가슴에 걸려 내려가지도 않고 토해도 나오지 않으며) 便成癥瘕
厚朴一兩去麤皮塗生薑汁炙令香熟(겉껍질을 버리고 생강즙에 축여 고소한 냄새가 날 때까지 구운 것) 大黃二兩剉碎微炒(썰어서 약간 볶은 것)
○右細剉 分爲二服每服 (2첩으로 나누어 1첩을 복용하되) 以酒一大盞 煮取六分 去滓 放溫盡服良 久再服立消(좀 식혀서 다 복용한다.한참 있다가 다시 복용하면 징이 삭아진다)
☯비기환(肥氣丸)
간적(肝積)을 치료한다.
시호 40g, 황련 28g, 후박 20g, 조피열매(천초) 16g, 감초 12g, 봉출, 인삼, 다시마(곤포) 각각 10g, 주염열매(조각), 흰솔풍령(백복령) 각각 6g, 건강, 파두상 각각 2g, 오두 0.8g.
위의 약들을 가루내서 꿀(봉밀)에 반죽하여 벽오동씨만하게 알약을 만든다. 처음에는 2알을 먹고 그 다음부터 매일 1알씩 늘려 가면서 먹는데 2일 만에는 2알을 더 먹는다. 대변이 묽어지면 양을 점차 줄인다. 이와 같이 양을 많이 먹고 적게 먹고 하다가 적 덩어리가 절반 정도 줄어들면 약을 그만두어야 한다[정전].
☯복량환(伏梁丸)
심적(心積)을 치료한다.
황련 60g, 후박, 인삼 각각 20g, 속썩은풀(황금), 계지, 백복신, 단삼 각각 4g, 건강, 석창포, 파두상, 오두 각각 2g, 홍두구 0.8g.
위의 약들을 가루내서 꿀(봉밀)에 반죽하여 벽오동씨만하게 알약을 만들어 황련을 달인 물로 먹는데 위의 약과 같은 방법으로 먹는다[정전].
☯[신농본초경]
호장[적취복양],猪蹄저제,석경비
☯온백원(溫白元)
적취, 징벽, 황달(黃疸), 고창(鼓脹), 10가지 수기(水氣), 8가지 속이 더부룩해지고 막히는 병, 5가지 임질(淋疾), 9가지 심통(心痛)과 여러 해 된 학질과 72가지 풍(風)증, 36가지 시주(尸疰), 전광(癲狂), 헛것에 홀린 병[邪崇一切], 뱃속에 생긴 여러 가지 병을 다 치료한다.
오두(싸서 구운 것) 100g, 오수유, 도라지(길경), 시호, 석창포, 개미취(자원), 황련, 건강(싸서 구운 것), 육계, 조피열매(천초, 닦은 것), 파두상, 벌건솔풍령(적복령), 주염열매(조협, 구운 것), 후박, 인삼 각각 20g.
위의 약들을 가루내서 졸인 꿀(煉蜜)에 반죽하여 벽오동씨만하게 알약을 만든다. 한번에 3알 혹은 5-7알씩 생강을 달인 물로 먹는다[국방].
○ 일명 만병자원환(萬病紫菀丸)이라고도 한다[해장].
☯금로원(金露元)
뱃속에 생긴 여러 가지 적취와 징괴로 아픈 것을 치료하는데 효과는 만병원과 같다.
바꽃(초오, 싸서 구운 것), 황련 각각 40g, 생건지황, 패모, 파두상, 도라지(길경), 시호, 자원, 오수유, 석창포, 건강, 흰솔풍령(백복령), 계심, 궁궁이(천궁), 인삼, 감초, 방풍, 후박, 지각, 자라등딱지(별갑), 조피열매(천초), 감수 각각 20g.
위의 약들을 가루내서 밀가루풀(麵糊)에 반죽하여 벽오동씨만하게 알약을 만든다. 한번에 3-5알씩 생강을 달인 물로 먹는다[국방].
☯[신농본초경]
1癥瘕,2積聚
1증청[破癥堅積聚]태일여랑,권백,육종용[부인징가],질려자[파징],용골[징가堅結],은얼[징가결기],양기석,마황[破癥堅積聚],단삼,고삼[징가적취],상이흑자,자위[붕중징가혈폐],모란[癥堅]해조[징가堅氣]],비맹[징가한열],비렴[징견한열],자충[혈적징가],수질[破혈가적취],귀갑,별갑[심복징가],타갑[심복징가,복견적취,한열],오적어골,백악,석경비[징가伏腸],파두[파징가견적취],감수[파징],정력[징가적취결기]요화[大堅징가],부자[파징견적취],연미[파징가적취],촉칠[복중징견,비결적취],대황[파징가적취],백두옹[한열징가적취],하고초[파징],하마[징堅血],마륙[복중대견징,적취],지담,도핵인[어혈혈폐가],도모[하혈가],2 증청,편청,박초[六腑적취],활석[蕩胃中적취한열],건지황[湯寒熱積聚],시호[음식적취],질려자,웅지[오장복중적취],응수석[복중적취사기],이석,마황[파징견적취],작약[견적],단삼,현삼[복중한열적취],자삼[심복적취],고삼[징가적취],상이흑자,가소[結聚氣破散],비렴,수질[破혈가적취],별갑[견적한열],타갑[심복징가,伏堅적취],백악[월폐적취],파두[파징가견적취],감수[파징견적취],정력[징가적취결기],대극,요화,천웅,오두[적취한열],부자[파징견적취],연미[파징가적취],촉칠[痞結적취],석남초실,백두옹[한열징가적취],양도[풍수적취],대황[파징가적취],호장[적취복양],천서시[한열적취],마륙[복중대견징,적취],도모[한열적취]
창만
☯[鷄屎醩散]治鼓脹 朝食不能暮食 痞滿(고창증으로 아침에 음식을 먹으면 저녁에 먹지 못하고 명치밑이 더부룩하고 그득한 증상을 치료하는 처방이다)
大黃 桃仁 鷄屎醩(音糟)乾者 等分
○右爲末 每服一錢 水一盞生薑三片煎湯 調下食後臨臥
[신농본초경]
煩滿
복령[한열번만해역],우여랑,석룡예,경천[身熱번],방풍,해합,의수석[피부如火燒번만],이석[利胃解煩],패모[상한번열],괄루근[소갈,번만],단삼,산장,매실,로감[대열소갈광번],연실[대열광번]
臚脹
암려자,강랑[腹脹한열]
구토,반위
☯[천금방] 오심[메스꺼움]을 치료하는 처방
고호(표주박)의 瓤양과 씨 1승을 부스려뜨려 물과 술을 절반씩 섞은 것 3승에 넣고 달여 1승이 되면 찌꺼기를 짜버리고 돈복한다.약을 복용한 뒤 얼마 동안 지나서 개구리허물같은 것을 3승쯤 토하거나 설사한다.
☯[경험방] 벽하단 토하고 구역이 나는데 쓰면 효과가 있다.반위를 치료한다.
황단 4량을 체로 쳐서 좋은 미초 반승과 같이 남비도 넣고 달인다.식초가 다 줄면 숯불을 세게 해서 남비까지 빨갛게 달군 다음 식혀서 곱게 가루낸다.이것을 좁쌀 미음에 반죽하여 오자 크기로 환을 지어 7환을 煎酵(술찌꺼기)탕으로 씹지 않고 복용한다.
☯반하환 반위로 구역이 나서 음식물을 먹지 못하는 증상을 치료한다.
반하(湯先七遍焙) 복룡간 각 1량,백반(煆枯) 연단(硏) 각 3전을 가루내어 생강즙을 넣고 쑨 밀가루 풀에 반죽하여 오자크기로 환을 지어 매회 20~30환씩 생강귤피탕으로 복용한다.
☯갈근죽여탕 위열과 구토를 다스린다.
갈근 3전,반하를 썰어서 강즙과 장수에 같이 달여 焙乾하여 2전,감초 1전을 좌작 1첩하고 薑 3,대조 2,죽여 1을 탕자대하여 동전복한다.(단심)
☯황단 반위를 다스린다.
황단 1량,백반 2량을 같이 罐관에 넣고 火煆하여 식혀서 작말하고 증병에 화환 오자대하여 온주에 5환 내지 7환을 탄하한다.(강목)
[신농본초경]
1吐,2下,3反胃,4곽란
1백청,과체[食諸果不消 病在胸腹中 皆吐下],갈근[嘔吐諸痺],대염,대극[吐逆],항산[토역],고호,2 로감,3 연단,4 여원
딸꾹질[噦홰- 欬逆-吃逆흘역]
☯[의방집성]반하생강탕
딸꾹질이 나서 죽을 듯한 증상을 치료한다.
반하(탕선) 1량 1전,생강 1량을 잘게 썰어 물 2잔에 넣고 8분쯤 달여 찌꺼기를 짜 버리고 2회에 분복한다.
☯딸꾹질이 멎지 않은 증상을 치료하는 처방
반하를 씻어 말려서 가루 낸 것 한 숟가락을 복용하면 곧 멎는다.
[장중경] 반하가복령탕
구역과 딸꾹질을 하면서 음식물을 먹지 못하여 어지럽고 가슴이 두근거리는 증상을 치료한다.
반하 2승,생강 반근,복령 3량을 잘게 썰어 물 7승에 달여 1승 반이 되면 찌꺼기를 짜버리고 여러 번 나누어 온복한다.
☯귤피건강탕(橘皮乾薑湯)
위가 차서 생기는 딸꾹질을 치료한다.
귤껍질(橘皮) 8g, 인삼 6g, 통초, 건강, 계심, 감초(닦은 것) 각각 4g.
위의 약들을 썰어서 1첩으로 하여 물에 달여 먹는다[활인].
☯귤피반하생강탕(橘皮半夏生薑湯)
위와 같은 증상을 치료한다.
귤껍질(橘皮), 끼무릇(반하) 각각 8g, 생강(말린 것), 인삼, 통초 각각 4g.
위의 약들을 썰어서 1첩으로 하여 물에 달여 먹는다[정전].
☯강활부자탕(羌活附子湯)
중병을 앓고 난 뒤에 위가 허하고 차서 딸꾹질이 나는 것을 치료한다.
강호리(강활), 부자(싸서 구운 것), 회향(닦은 것), 건강(싸서 구운 것), 목향, 정향 각각 4g.
위의 약들을 썰어서 1첩으로 하여 소금 한자밤과 함께 물에 달여 먹는다[의감].
[신농본초경]
자석영[心腹欬逆邪氣],복령[한열번만해역],백석영[해역,흉격간구한],태일여랑,우여랑[해역한열번만],백지,모계[상기해역],창포,원지[해역傷中],세신[해역],방규[해역],미무[해역],해합,회목[久해상기],석종유,건강,마황,죽엽,관동화,촉초[사기해역],원화[해역상기,喉鳴喘,咽腫短氣],구문,낭독,오두,부자[풍한해역상기],사간[해역상기,후痺인통不得消息],촉칠[학 및 해역한열],반하[해역장명],황환[해역한열],여로[두양],신초[구해상기],열옹[해역독기],부비[虐역한열]
댓글 없음:
댓글 쓰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