즐거운 영화세상

2010년 4월 11일 일요일

東醫古典 精選 臨床應用方劑 노채,대소변불통,요혈,임질

東醫古典 精選 方劑-이질,적취,징가,창만,구토,반위(위암),딸꾹질[출처] 향약집성방,동의보감,신농본초경



노채


☯ 촉칠잎 80g을 가루내어서 4g씩 데운술에 타서 먹는다.

☯ 귀구환 여러 가지 노병과 비시,귀주를 치료한다.

귀구 20(잔뿌리를 없앤 것) 승마 12,사향 4,시호 40(노두를 버린 것)을 가루내서 졸인 꿀에 반죽하여 200~300번 짓찧어 벽오동씨만하게 알약을 만든다.한번에 10알씩 하루 3번 아무 때나 데운 술로 먹는다.

[신농본초경]

1伏尸,2鬼注,3鬼毒,4蠱注

1천문동,분석,2 석룡추,미무,마선호[한열귀주],구문,귀구,연미,촉칠,황환,육축모제갑,돈란[귀주고독],오공,작옹,형화,반묘[한열귀주고독],지담[귀주한열],패자[귀주고독],1.2피자,1.2구인,3 백마현제[귀독,고주不祥],생대두煮飮汁[살귀독],파두[귀독,고주,邪物],항산,4 위모,백마현제[귀독,고주],서각,파두[귀독,고주,사물]




소변난


☯聖惠方[石韋散]

治小便難,脬中有熱水道中痛

石韋去毛 蘧麥赤芍藥葵子 楡白

皮剉各一兩 麻子二合 白茅根 陳橘

皮(끓는 물에 침하여 흰속을 버리고 焙배한 것)湯浸去白瓤焙各二兩○右擣麤羅爲散(이상을 거칠게 가루내어)每服 四錢 以水一中盞 煎至六分去滓每於(물 1잔에 6분쯤 되게 달여 찌꺼기를 짜버리고),食前溫服

☯治小便難 水道中痛(뇨관이 아프고) 小腸急(소장이 땅기는 증상)

木通剉 赤茯苓 甜葶藶(종이위에서 자주색이 나도록 볶은 것)隔紙炒令紫色

湯調下一錢以利爲度(총백탕에 타서 복용하되 소변이 잘 나올때까지 복용한다),(千金方)用通草

☯소변을 보기가 힘들고 배가 그득하면서 답답한 증상을 빨리 치료하지 않으면 잘못될 수 있으므로 이 처방으로 빠리 치료해야 한다.

[又方]秦艽一兩去苗 以水一大盞煎取七分

去滓(찌꺼기를 짜버리고) 食前分爲二服

[又方]蒲黃一錢 滑石一錢○右擣細羅爲散(이상을 곱게가루내어) 每於食前以溫酒調下二錢(매회 2전씩 식전에 온주에 타서 복용한다)

☯[石韋散]治虛勞煩熱 小便不利 陰中疼痛

石韋三分去毛 蘧麥一兩 王不留行三

錢 冬葵子一兩 車前子一兩 當歸三錢

○右擣細羅爲散 每於食前煎木通湯調下二錢

☯[楡白皮餠]治五淋 小腸結痛 小便不快

楡白皮二兩切 麪四兩○右以水一大盞

半煎楡皮 取汁一盞去滓 搜麪作餠熟煮(그 물에 밀가루를 반죽하여 떡처럼 빚어 익혀서)空心食之

☯得效方[葵子湯]

治小便微痛漸難 欲出不出 痛不可忍(소변 볼 때 약간 아프다가 점차 難하여져서 소변이 나올 듯하면서도 잘 나오지 않고 몹시 아픈 것을 치료한다)


赤茯苓一兩 葵子石韋去毛 澤瀉 各 半兩 白朮二錢半

○右剉散(이상을 썰어서) 每服三錢 水

一盞半煎 至七分 去滓 溫服

☯[滑石白魚散]

治小便不利

滑石 亂髮燒 白魚(衣魚) 各二分

○右杵爲散(이상을 가루내어) 以飮服半錢日三(미음에 타서 반전씩 1일 3회 복용한다)

☯만전목통산(萬全木通散)

방광에 열(熱)이 있어서 오줌이 누렇고 누기가 힘든 것을 치료한다.

곱돌(활석) 8g, 으름덩굴(목통), 벌건솔풍령(적복령), 길짱구씨(차전자, 닦은 것), 패랭이꽃(구맥)

각각 4g.

위의 약들을 가루내어 물에 달여서 먹거나 가루로 한번에 12g씩 물에 타 먹는다[입문].




소변불통


☯[茯苓湯] 治小便不通

赤茯苓去黑皮 白芍藥 瞿麥穗 各一兩 白朮 三錢

○右麤擣篩(거칠게 가루내어) 每服五錢 水一盞半

入葱白五寸生薑一錢拍碎 同煎至七分去

☯[木通湯] 治小便不通

木通 石韋去毛 瞿麥穗 各二兩 冬葵子 一升

○右剉如麻豆大(마두크기로 잘게 썰어)以水十盞煎 取三盞 去滓 內滑石末一兩 分溫三服 微利爲度(약간 설사할 때까지)

☯[千金方]治小便不通

滑石 三兩, 葵子 楡白皮 各一兩

○右治下篩 煮麻子汁一升 以散二方寸匕和 分三服 卽通 (이상을 가루내어 삼씨 달인 즙 1승에 방촌시로 두 숟가락씩 타서 3회에 나누어 복용하면 소변이 나온다)

☯난발(垢구를 없애고 태워 가루 낸 것) 동규자 각 1승을 고루 섞어 1일 3회 매회 방촌시로 하나씩 미음에 타서 복용한다.

☯팔정산(八正散)

방광(膀胱)에 열이 몰려 오줌이 잘 나가지 않거나 막힌 것을 치료한다.

대황, 으름덩굴(목통), 패랭이꽃(구맥), 마디풀(편축), 곱돌(활석), 산치자, 길짱구씨(차전자), 감초 각각 4g.

위의 약들을 썰어서 1첩으로 하여 골풀속살(등심초) 4g과 함께 물에 달여 빈속에 먹는다[국방].

☯도적원(導赤元)

방광(膀胱)에 열(熱)이 있어 오줌이 나오지 않는 것을 치료한다.

대황 60g, 산치자(닦은 것) 48g, 으름덩굴(목통), 생건지황 각각 32g, 함박꽃뿌리(작약), 벌건솔풍령(적복령), 곱돌(활석) 각각 16g.

위의 약들을 가루내서 꿀에 반죽하여 벽오동씨만하게 알약을 만든다. 한번에 30-50알씩 빈속에 도적산(導赤散, 처방은 5장문에 있다)을 달인 물로 먹는다[직지].

☯지부자탕(地膚子湯)

하초(下焦)에 열이 몰려서 오줌이 나오지 않는 것을 치료한다.

댑싸리씨(지부자) 4g, 지모, 속썩은풀(황금), 저령, 패랭이꽃(구맥), 지실, 승마, 통초, 돌아욱씨(동규자), 듬북(海藻) 각각 2.8g.

위의 약들을 썰어서 1첩으로 하여 물에 달여 빈속에 먹는다.

○ 여자가 성생활을 한 뒤에 오줌이 나오지 않고 맥이 침세(沈細)한 데는 돼지콩팥 반 개와 함께 넣고 달여서 먹으면 효과가 있다[득효].

☯선기산(宣氣散)

오줌이 잘 나오지 않으면서 몹시 아픈 것을 치료한다.

감초(잔뿌리), 으름덩굴(목통) 각각 12g, 산치자 8g, 돌아욱씨, 곱돌(활석) 각각 4g.

위의 약들을 가루내어 한번에 8g씩 골풀속살(등심초)을 달인 물에 타서 먹는다[단심].






관격


대소변이 나오지 못하는 것을 음양관격(陰陽關格)이라고 하는데 이것이 3초약(三焦約)증이다. 대소변이 나오지 못하는 것을 『내경』에서는 3초약이라고 하였는데 약(約)이라는 말은 잘 돌아가지 못한다[不行]는 말이다. 이런 데는 강물(長流水)에 팔정산을 달여서 먹어야 한다[유취].

☯팔정산(八正散)

방광(膀胱)에 열이 몰려 오줌이 잘 나가지 않거나 막힌 것을 치료한다.

대황, 으름덩굴(목통), 패랭이꽃(구맥), 마디풀(편축), 곱돌(활석), 산치자, 길짱구씨(차전자), 감초 각각 4g.

위의 약들을 썰어서 1첩으로 하여 골풀속살(등심초) 4g과 함께 물에 달여 빈속에 먹는다[국방].




소변불금,유뇨


☯雄雞腸 1구를 구워 곱게 가루내어 매회 2전씩 따뜻한 장수(좁쌀북 웃물)에 타서 식전에 복용한다.

☯계장산(鷄腸散)

어린이가 오줌이 나오는 것을 모르거나 나오는 것을 참지 못하는 것을 치료한다. 이것은 흔히 방광이 차거나[寒] 타고난 양기(陽氣)가 부족하기 때문이다.

닭의 장(태운 것), 굴조개껍질(모려), 흰솔풍령(백복령), 사마귀알집(상표초, 찐 것) 각각 20g, 육계, 용골 각각 10g.

위의 약들을 썰어서 한번에 8g씩 생강 3쪽, 대추 2알과 함께 달여 빈속에 먹거나 가루내어 한번에 4g씩 미음에 타 먹는다[득효].

☯계비치산(鷄膍胵散)

어린이가 오줌이 나오는 것을 알지 못하는 데 쓴다.

계내금 1개, 닭의 장 1보(약성이 남게 태운다), 돼지오줌깨(눋도록 구운 것[灸焦]) 1개.

위의 약들을 가루내어 한번에 4g씩 술에 타서 먹는다[회춘].

[신농본초경]

단웅계장,溲疏수소




소변에 피가 섞여 나오는 증상-尿血


☯[蒲黃丸]治虛損(허로 손상) 膀胱有熟 尿血不止

蒲黃一兩 生乾地黃二兩 葵子一兩 黃耆一兩剉 麥門冬二兩去心焙 荊實三錢

當歸三錢剉微炒 赤茯苓一兩 車前子三分

○右擣羅爲末 煉蜜和 擣三二百杵 丸如梧桐子大 每於食前 以粥飮下三十丸

☯[熟乾地黃丸]治虛勞損(허로와 내상) 小便出血 時復澁痛

熟乾地黃一兩 黃耆一兩剉 鹿茸一兩去毛塗酥炙微黃 蒲黃三錢 兔絲子一兩酒浸三宿曝乾別擣爲末

葵子一兩 當歸三錢 車前子一兩 赤茯苓三錢

○右擣羅爲末 煉蜜和 擣三二百杵 丸如梧桐子大 每服食前 以粥飮下三十丸

☯[鹿茸丸]治下元虛憊(하초의 원기가 몹시 허약하여) 尿血

鹿茸酒洗去毛塗酥炙令黃 當歸 生乾地黃 冬葵子微炒各二兩 蒲黃一合

○右擣羅爲末 煉蜜和 擣三二百杵 丸如梧桐子大 每於食前 以炒鹽湯(볶은 소금을 넣어 끓인 물)下二十丸

☯ 포황을 매회 1전씩 미음에 타서 복용한다.

☯[麥門冬]湯治小腸實熱 脈氣盛實 小便下血

麥門冬去心焙 知母 蒲黃 黃芩去黑 木通剉 升麻 各一錢 大黃剉炒三錢

○右麤擣篩(거칠게 가루내어) 每服三錢 水一盞煎 至八分 去滓 食後溫服

☯得效方[薑蜜湯]治小便出血不止

生薑七片 蜜半盃 白茅根一握

○右以水三盞煎 至一盞半 去滓 溫服空心

☯ 대계와 소계로 즙을 내어 마신다.




소변색이 피같이 붉은 증상


☯聖惠方[楡皮散]治腎熱 脬囊澁(방광이 매끄럽지 못하여) 小便色赤如血

楡白皮四兩剉 葵子四兩 車前子四兩 木通四兩剉 滑石四兩 蜜六兩

○右都擣 以水一斗煮 取二升 綿濾去滓 下蜜更煎

五七沸(5~7번 끌어오르게 달여 두고) 每於食前煖一中盞服之

☯[楡皮散]治膀胱實熱小便赤澁

楡白皮剉 車前子 葵根 木通剉 蘧(瞿)麥 白茅根剉 黃芩各三錢 桑螵蛸微炒 赤茯苓各一兩

○右擣麤羅爲散 每服三錢以水一中盞入生薑半錢同煎 至六分 去滓 食前溫服

☯[千金方]治腎熱 小便赤黃不出 出如槴子汁或

如黃檗汁 每欲(소변을 보고 싶을 때마다) 小便莖頭卽痛

楡白皮切 冬葵子各一合 車前子二合 石膏八錢碎 子芩 通草 瞿麥各三錢 石韋四錢

○右咀以水四升先煮車前草 取二升 去滓 澄淸下諸藥煮(나머지 약들을 잘게 썰어 넣고 달여) 取一升

去滓 分二服

☯[槴子湯]治腎勞實熱 小腹脹滿 小便黃赤 未有餘瀝 數而少(소변을 자주 눗는데 양은 적고)

莖中痛 陰囊生瘡

槴子仁 芍藥 通草 石韋各三錢 石膏五錢 滑石八錢 子芩四錢 生地黃 楡白皮 淡竹葉切各一合

○이상을 잘게 썰어 물 2승에 달여 1승이 되면 찌꺼기를 짜버리고 2회에 나누어 복용한다.

☯[滑石湯]治膀胱急熱 小便黃赤

滑石八錢 黃芩二錢 車前子冬葵子各 一合 楡皮四錢

○右咬咀(이상을 잘게 썰어) 以水三升煮 取一升半 去滓 分三服

☯簡易方[淸膻湯] 治右腎實熱 身煩 脊脅相引痛 足冷 小便黃赤如槴子汁 或漩卽陰頭痛(소변을 보려면 음경끝이 아픈 증상)

楡白皮冬葵子各半兩 石韋去毛四錢 黃芩通草瞿麥各三錢

○右麤末(거칠게 썬 것) 先以水二盞入車前葉四片煎 至盞半, 入藥四錢 (거칠게 썬)약 4전을 넣고 다시 7분쯤 되게 달여 찌꺼기를 짜 버리고 온복한다.

☯ 聖惠方[鬼箭散]治脬轉不得小便

鬼箭羽三兩 蘧(瞿)麥 葵子 石葦去毛 木通剉各一兩 滑石 楡白皮剉各二兩

○右擣篩爲散 每服四錢以水一中盞煎 至六分 去滓 不計時溫服(수시로 온복한다)

☯[又方]亂髮半兩燒

亂髮灰 滑石二兩 鯉魚齒一兩

○右擣細羅爲散(이상을 곱게 가루내어) 不計時以溫水調下二錢





脬轉포전


☯聖惠方[鬼箭散]治脬轉不得小便

鬼箭羽三兩 蘧麥 葵子 石葦去毛 木通剉各一兩 滑石 楡白皮剉各二兩

○右擣篩爲散 每服四錢 以水一中盞煎 至六分 去滓 不計時溫服

☯난발(태워서 가루낸다) 반량,활석 2량,이어치 1량을 곱게 가루내어 매회 2전씩 따뜻한 물에 타서 수시로 복용한다.

☯포황산(蒲黃散)

전포증으로 오줌이 잘 나오지 않는 것을 치료한다.

부들꽃가루(포황), 곱돌(활석) 각각 같은 양.

위의 약들을 가루내어 한번에 8g씩 달걀 흰자위에 타서 먹는다[총록]㈜.

[註] 총록 : 1117년에 태의원에서 총 200권으로 편찬한 『성제총록』을 말한다.




脬痹포비


☯ 파극환(巴戟丸)

포비(脬痺)로 오줌이 잘 나오지 않거나 막힌 것을 치료한다.

파극 60g, 사마귀알집(상표초, 밀기울과 함께 복은 것[ 炒]), 원지(생강즙에 법제한 것), 생건지황(술에 씻은 것), 마(산약), 부자(싸서 구운 것), 속단, 육종용(술에 담갔던 것) 각각 40g, 두충(닦은 것), 석곡, 녹용, 용골, 새삼씨(토사자, 술에 축여 찐 것), 오미자, 산수유, 육계 각각 12g.

위의 약들을 가루내어 꿀에 반죽하여 벽오동씨만하게 알약을 만든다. 한번에 50-70알씩 빈속에 술로 먹는다[강목].

☯온신탕(溫腎湯)

포비(脬痺)로 오줌이 잘 나오지 않는 것을 치료한다.

벌건솔풍령(적복령), 흰삽주(백출), 택사, 건강(싸서 구운 것) 각각 4.8g.

위의 약들을 썰어서 1첩으로 하여 물에 달여 빈속에 먹는다[유취].





임질


☯治石淋 水道澁 痛頻 下砂石

石韋一兩去毛 滑石二兩

○右擣細羅爲散 食前粥飮調下二錢

☯[又方]車前草二兩 楡白皮一兩剉 亂髪如鷄子大燒灰

○右細剉 以水二大盞煮 取一盞半 去滓 入亂髮灰 更煎三二沸(다시 2~3번 끓어오르게 달여)

食前分爲三服

☯[又方]滑石

以水一小盞 濃磨服之

☯[又方]葵子五月五日採者 微炒 擣羅爲末 每於食前以溫酒調下一錢 當下石出

☯[又方]車前子二合 綿裹 以水二

大盞煎 至一盞 去滓 空腹分溫二服

☯[葵子散]治腎爲熱所乘熱結 則成石淋 莖中痛 尿不能出 引膀胱裏急痛

甚則悶絶(심하면 기절하기도 하고) 小便中出石

冬葵子滑石等分○右爲末 熟水(끓인 물에)調下半錢

☯[外臺祕要]治石淋

瞿麥子 擣爲末 酒服方寸匕日三 三日當下石

☯[聖惠方]治勞淋 小便恒(常)不利 陰中痛日夜 數起(소변을 자주 보는 것)

此皆勞損虛熱所致

石韋去毛 滑石 蘧麥 王不留行 葵子各一兩

○右擣細羅爲散 每於食前以葱白湯調下二錢

☯[滑石散]治熱淋 小便澁痛

滑石二兩 石韋去毛 楡白皮剉各一兩

○右擣麤羅爲散 每服三錢 以水一中盞入 葱白七寸生薑半錢煎 至六分 去滓 每於食前溫服

☯열림으로 소장이 불리하고 음경 속이 몹시 아픈 증상을 치료한다.

[又方]滑石二兩 木通剉葵子各一兩

○右擣細羅爲散 每於食前 以葱白湯調一錢 以利爲度(소변을 잘 볼 때까지)

[又方]車前子一合 葵根一兩半剉

○右以水一大盞半煎 至一盞 去滓 食前分爲二服

☯[又方]冬葵根 常煮作 飮服之(달여 늘 복용한다)

☯[黃芩散]治血淋 小便疼痛不可忍

黃芩 鷄蘇 滑石 小薊根 生乾地黃 木通各一兩剉

○右擣麤羅爲散 每服三錢 以水一中盞煎 至六分 去滓 每於食前溫服

☯治血淋心煩水道中澁痛

石韋去毛 當歸剉微炒 蒲黃 赤芍藥 各一兩

○右擣細羅爲散 每於食前以煖酒調下三錢

☯침향산(沈香散)

기림으로 아랫배가 불러 오르고 그득한 것을 치료한다.

돌아욱씨(규자), 함박꽃뿌리(작약) 각각 30g, 침향, 석위, 곱돌(활석), 장구채(王不留行), 당귀 각각 20g, 귤껍질(陳皮), 선귤껍질(청피),목향, 감초 각각 10g.

위의 약들을 가루내어 한번에 8g씩 빈속에 보리(대맥)를 달인 물에 타서 먹는다[입문].

○ 위의 약들을 썰어서 40g을 달여 먹기도 하는데 이것을 침향음(沈香飮)이라고 한다.

☯ 익원산 익원산은 주로 석림에 쓴다[단심].

활석 6량,구감초 1량을 작말하여 매 3전을 溫蜜水에 조복하고 냉음하고자 하면 井水에 조복한다[선명].

☯ 석연환(石燕丸) 석림을 치료한다.

석연자(빨갛게 달구어 식초에 담그기를 세번 하여 갈아 수비(水飛)해서 약한 불기운에 말린 것), 곱돌(활석), 석위, 패랭이꽃(구맥수) 각각 40g.

위의 약들을 가루내어 풀에 반죽하여 벽오동씨만하게 알약을 만든다. 한번에 30-50알씩 하루 두번 패랭이꽃과 골풀속살(등심초) 달인 물로 빈속에 먹는다[강목].

☯ 팔미환 냉림을 치료한다.

숙지황 8량,산약 산수유 각 4량,목단피 백복령 택사 각 3량,육계 부자포 각 1량을 작말하여 오자대로 밀환하여 공심에 온주 혹은 염탕에 50~70환씩 복용한다.

☯생부탕(生附湯)

냉림으로 오줌이 잘 나오지 않으면서 아프고 오한이 나는 것을 치료한다.

부자(생것), 곱돌(활석) 각각 2.8g, 으름덩굴(목통), 끼무릇(반하, 법제한 것), 패랭이꽃(구맥) 각각 4.8g.

위의 약들을 썰어서 1첩으로 하여 생강 7쪽, 골풀속살(등심초) 20오리, 꿀 반 숟가락과 함께 물에 달여서 빈속에 먹는다[득효].

[신농본초경]

1五癃=五痳,2疝瘕

차전자[기림],목향[淋露],발피,동규자,구맥[융결,소변불통],연시[破오륭],석잠,마도[破石淋],서부,패자,석담[석림한열],석룡예[淋閉],활석[륭폐],흑지[治癃],패모[淋瀝邪氣疝瘕],석위[오륭폐불통],백선[淋瀝],석룡자[오륭사결기,석림],상표초[통오림],오적어골,연시,돈란,석잠[오륭,석림],서부[氣癃不得小便],반묘[破석륭],패자,2작약




대변비결,대변불통,대변난


☯상근백피 유백피 각 1握을 잘게 썰어 물3승에 달여 절반이 되면 3회에 분복한다.

☯ 통신산(通神散)

부인이 대변이 막힌 것을 치료한다.

대황, 망초, 복숭아씨(도인), 이스라치씨(욱리인) 각각 40g, 목향 20g.

위의 약들을 가루내어 한번에 8g씩 미음에 타서 먹는다[단심].

☯ 소풍순기원(疎風順氣元)

장위(腸胃)에 열이 몰려서[積熱] 변비가 생기고 오줌이 잘 나오지 않는 것과 풍비(風秘)와 기비(氣秘)를 다 치료한다. 늙은이의 변비에는 더욱 좋다.

대황(술에 축여 쪄서 볕에 말리기를 일곱번 한 것) 200g, 길짱구씨(차전자, 닦은 것) 100g, 이스라치씨(욱리인), 빈랑, 삼씨(마자인, 약간 닦은 것), 새삼씨(토사자, 술에 법제한 것), 쇠무릎(우슬, 술에 씻은 것), 마(산약), 산수유 각각 80g, 지각, 방풍, 따두릅(독활) 각각 40g.

위의 약들을 가루내어 꿀에 반죽한 다음 벽오동씨만하게 알약을 만든다. 한번에 50-70알씩 빈속에 차나 술이나 미음으로 먹는다.

○ 이 약은 주로 변비를 치료하는 참 좋은 처방이다. 오랫동안 먹으면 정신(精神)이 든든해지고[康健] 온갖 병이 생기지 않는다. 늙은이에게 쓰는 것이 더욱 좋다[득효].

☯ 대황음자(大黃飮子)

열조(熱燥)로 대변을 누지 못하는 것을 치료한다.

생지황 8g, 대황(잿불에 묻어 구운 것), 살구씨(행인), 산치자, 승마, 지각 각각 4g, 인삼, 속썩은풀(황금), 감초 각각 2g.

위의 약들을 썰어서 1첩으로 하여 생강 5쪽, 약전국 21알, 오매 1개와 함께 달여 먹는다[직지].

[신농본초경]


利대소변

유피[대소변불통,이수도],백합,방기


1滌去蓄結飮食,2推陳致新,3消食,4喉舌腫水漿不下,5厭食,6嗜食,7下哽噎,8蛇瘕

1초석,대황[蕩滌腸胃],2 대황,3 출,무이[化食],대황[留飮宿食],대황[通利水穀,調中化食],감수[유음숙식],정력[陰食],요화[腸胃中留癖飮食]4 낙석,5 고채,용안,6 여실,수근,7 누고,8 사태,구인



1泄,2痢,3腸澼,4霍亂

1반석,오색석지[洩痢],방규[腸泄],운실,용골,비질이황피,은얼,황련,벽목,여원,여로,부비[사기설리],2 반석,우여랑[하리적백],오색석지[洩痢],운실,용골,밀납,비질이황피,은얼,황금,황련,건강[하리],갈곡[下痢十歲以上],지실,벽목,여원,여로,부비[사기설리],3 운실,활석[洩澼],황금,황련,건강,여로,4 여원


1胃腸閉,2腸胃中結氣,3關格,4五腸六胕開通閉塞

1초석,요화[腸胃中留癖飮食],2 자호,3 발피[관격부득소변],구맥,유피[대소변불통,이수도] 4 파두





대소변불통,대소변난


☯ 동규자 유피切 각 1승을 물 5승에 넣고 2승이 되게 달여 3회에 나누어 복용한다.

☯[姚氏方] 대소변불통을 다스린다.

난발에 태워 가루 낸 것 한 웅큼을 물 반승에 타서 복용한다.

☯ 추기환(推氣丸)

기운이 잘 오르내리지 못하여 변비가 생기고 벌겋고[赤] 누런[黃] 오줌이 나오는 것을 치료한다.

나팔꽃검은씨(견우자, 맏물가루 낸 것), 대황, 빈랑, 지실, 귤껍질(陳皮), 속썩은풀(황금) 각각 같은 양.

위의 약들을 가루내어 생강즙을 두고 쑨 풀에 반죽해서 벽오동씨만하게 알약을 만든다. 한번에 30-50알씩 연하게 달인 생강물로 먹는다[득효].

☯ 삼일승기탕(三一承氣湯)

상한(傷寒)이나 잡병(雜病)으로 열이 심하여 대소변을 누지 못하고 가슴과 배가 그득하면서 아픈 것을 치료한다(처방은 상한문에 있다).

○ 망초를 대황이 이끌고[引] 직접 대장으로 들어가면 말랐던 것은 눅여지고[潤燥] 굳어졌던 것은 만문해지며[軟堅] 열이 내린다. 몸의 아랫도리에 있다는 것으로 보면 대변과 오줌은 다 음(陰)에 속한다. 그리고 전음(前陰)과 후음(後陰)으로 나누어 보면 전음은 기(氣)에 속하고 후음은 혈(血)에 속한다. 신(腎)은 대소변을 잘 누지 못하는 것을 다 주관한다. 오줌이 잘 나오지 않고 변비가 생긴 것은 모두 수(水)분이 적기 때문에 생긴 것이다. 『경(經)』에는 “속에 열이 성하면 맛이 짜고[ ] 성질이 찬약[寒]으로 치료하되 맛이 쓴 약을 좌약(佐藥)으로 해야 한다”고 씌어 있다. 망초와 대황을 같이 쓰는 것은 약효과를 세게 하려는[爲使] 것이다[동원].

댓글 없음:

댓글 쓰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