즐거운 영화세상

2010년 4월 11일 일요일

소갈,황달,학질,요통,각기,곽란,건망,도한,경계,웃는 병,불면,악몽과 헛것

동의고전 정선 임상응용방제



[출처] 향약집성방,동의보감,신농본초경



소갈


☯ 소갈로 팔다리에 번열이 나고 입이 마르며 속이 안타까운 것을 치료하는 처방이다.

하늘타리뿌리 80,맥문동 80(심을 버리고 약한 불기운에 말린 것),너삼 12(썬 것),인삼 12(노두를 버린 것),지모 12를 가루내서 소담물에 반죽하여 팥알만하게 알약을 만든다.한번에 20알씩 아무 때나 묽은 미음에 먹는다.

☯ 소갈 때 열이 몹시 나서 마음이 안타까워 어쩔 바를 모르는 것을 치료하는 처방이다.

하늘타리뿌리 (생것) 200g을 잘 갈아 물 2잔에 섞어 하룻밤 두었다가 즙을 짜서 한번에 1잔(작은 잔)씩 식사후에 먹는다.

☯ 소갈로 몸이 화끈 달면서 번조증이 나는 것을 치료하는 처방이다.

구기뿌리껍질 하늘타리뿌리 갈뿌리(썬 것) 생건지황 각각 40,인삼(노두를 버린 것) 20,맥문동 20(심을 버린다),벌건 솔혹뿌리 12,속썩은 풀 12을 가루내어 한번에 16g씩을 물 1잔에 생강 2g,밀 100알,왕대잎 14잎을 갈아 넣고 달여 6분쯤 되면 찌끼를 짜버리고 아무 때나 덥게 해서 먹는다.

☯ 과루환

소갈로 번조하고 오줌이 잘 나가지 않는 것을 치료한다.

하늘타리뿌리 맥문동(심을 버리고 약한 불기운에 말린 것) 각각 80,지모 벌건솔혹뿌리 각각 40,인삼 12(노두를 버린 것), 속썩은 풀 너삼(썬 것) 왕과근 각각 20을 가루내어 졸인 꿀로 반죽해서 200~300번 짓찧어 벽오동씨만하게 알약을 만든다.한번에 30알씩 아무 때나 더운 미음으로 먹는다.

☯ 소갈로 번조하여 날치며 피부가 마르는 것을 치료하는 처방이다.

칡뿌리 생 것을 썰어 나무절구에 짓찌허 즙을 내서 1잔(큰 잔)에 꿀 2숟가락을 섞어 고루 저어서 3번에 나누어 아무 때나 먹는다.

☯ 벌건솔혹뿌리산(적복령산)

비위에 열이 있어 물을 켜고 목마른 것이 멎지 않는 것을 치료하는 처방이다.

벌건솔혹뿌리 하늘타리뿌리 속썩은 풀 맥문동(심을 버린 것) 생건지황 지모 각각 40을 가루내서 한번에 20g씩을 물 1잔(큰 잔)에 생강 2g,밀 반홉,조리대 잎 14잎을 갈아 넣고 달여 절반이 되면 찌꺼기를 짜버리고 아무 때나 덥게 해서 먹는다.

☯열이 나고 목이 마르는 것이 멎지 않는 것을 치료하는 처방이다.

맥문동(심을 버린 것) 갈뿌리(썬 것) 각각 40,석고 80을 가루내서 한번에 20g씩을 물 1잔(큰 잔)에 달여 절반이 되면 찌끼를 짜버리고 아무 때나 덥게 해서 먹는다.

☯ 열이 나고 목이 마를는 것이 멎지 않으며 속이 답답하여 날치는 것을 치료하는 처방이다.

머구리밥풀을 햇볕에 말리어 가루내서 소젖으로 반죽하여 벽오동씨만하게 알약을 만든다.한번에 30알씩 아무 때나 덥게 해서 먹는다.

☯ 구기탕

소갈병으로 입술이 마르고 혀가 타는 것을 치료한다.

구기나무뿌리(썬 것) 80,석고(부스려 뜨린다) 40,밀 60을 가루내서 한번에 12씩을 물 1잔에 달여 7분쯤 되면 찌꺼기를 짜버리고 아무 때나 더운 것을 먹는다.

☯ 지골피음

소갈로 계석 물을 마시고 오줌을 많이 누는 것을 치료한다.

구기뿌리껍질(썬 것) 주먹참외뿌리(썬 것) 하늘타리뿌리(썬 것) 갈뿌리(썬 것) 각각 60,맥문동(심을 버리고 약한 불기운에 말린 것) 80,대추 7개(씨를 버린다) 를 팥알만큼씩 썰어서 한번에 16g씩을 물 1잔에 달여 8분쯤 되면 찌꺼기를 짜버리고 아무 때나 더운 것을 먹는다.

☯ 부평원

소갈을 치료한다.

머구리밥풀(마른 것) 하늘타리뿌리 각각 같은 양을 가루내서 젖에 반죽하여 벽오동씨만하게 알약을 만든다.하루 3번 한번에 20알씩 빈속에 미음으로 먹는다.3년이 된 병도 3일이면 낫는다.또 허열을 치료하는데 아주 좋다.

☯ 목이 마르고 오줌을 많이 누는 것을 치료하는 처방이다.

하늘타리뿌리 (생 것) 1.8kg을 썰어 물 1말반에 달여 3되가 되면 찌꺼기를 짜버리고 소기름 1홉을 넣고 물이 다 졸도록 달여 하루에 3번 식사전에 데운 술을 먼저 마신 다음 한번에 닭알만큼씩 먹는다.

[얄로봉친서] 노근자음

노인의 소갈과 소중으로 물을 계속 마셔도 늘 부족해하고 5장이 마르는 것을 치료한다.

갈뿌리(썬 것) 1되(물 1말에 달여 7되반이 되게 한다) 생동좁쌀 5홉(보드랍게 간다)으로 미음을 쑤어 빈속에 먹되 점차적으로 양을 늘여 먹는 것이 좋다.약을 먹을 때에는 짠 것,구운고기,더운 국수 등을 머지 말아야 한다.

[거가필용] 구기음

노인의 속이 답답하고 목과 입이 마르면서 뼈마디에 번열이 나는 것을 치료한다.

구기뿌리껍질 1되,밀 1되(깨끗이 씻어서 인다),입쌀 3홉(간다).구기뿌리껍질과 밀을 물 1말에 달여 7되가 되면 쌀을 넣고 미음을 쑤어 목이 마를때마다 조금씩 먹는다.

[성혜방]

소중으로 목이 계속 마르고 속에 번열이 나며 피부가 마르는 것을 치료하는 처방이다.

머구리밥풀(마른 것) 120,주먹참외뿌리 60을 가루내서 한번에 8g씩 아무 때나 우유에 타서 먹는다.

[단심]맥문동음자(麥門冬飮子)

격소(膈消)를 치료한다.

맥문동 8g, 지모, 하늘타리뿌리(천화분), 인삼, 오미자, 칡뿌리(갈근), 복신, 생지황, 감초 각각 4g.

위의 약들을 썰어서 1첩으로 하여 참대잎(죽엽) 10잎과 함께 물에 달여 먹는다.

인삼석고탕(人蔘石膏湯)

[보명]격소를 치료한다.

석고 16g, 지모 9.2g, 인삼 6.8g, 감초 5.2g.

위의 약들을 썰어서 1첩으로 하여 물에 달여 먹는다.

[자화]인삼산(人蔘散)

소중을 치료한다.

곱돌(활석) 80g, 한수석, 감초 각각 40g, 석고 20g, 인삼 10g.

위의 약들을 가루내어 한번에 8g씩 따뜻한 물에 타 먹는다.

[의감]인삼복령산(人蔘茯苓散)

신소(腎消)로 오줌이 뿌여면서 기름 같은 것을 치료한다.

곱돌(활석), 한수석 각각 6g, 감초 2.8g, 벌건솔풍령(적복령), 칡뿌리(갈근), 속썩은풀(황금), 박하, 대황 각각 2g, 연교 1.2g, 인삼, 흰삽주(백출), 택사, 도라지(길경), 산치자, 하늘타리뿌리(천화분), 사인 각각 0.8g.

위의 약들을 썰어서 1첩으로 하여 물에 달여 먹는다.

○ 일명 인삼산(人蔘散)이라고도 한다[동원].

보신지황원(補腎地黃元)

신소를 치료하는데 심화를 내리며 신수를 보하고 소갈을 멈추며 귀와 눈을 밝게 한다.

황백 600g(썰어서 지황과 함께 햇볕에 말린다), 생지황 300g(술에 2일 동안 담갔다가 푹 쪄서 간 다음 황백과 함께 햇볕에 말린다), 흰솔풍령(백복령) 160g, 찐지황(숙지황), 천문동, 인삼, 단국화(감국) 각각 80g, 조금(條芩)㈜(술에 축여 볶은 것), 당귀, 지각, 맥문동, 편금(片芩)㈜(생것) 각각 40g을 작말하고 水丸 오자대하여 공심 염탕에 70~80환을 탄하한다.

[입문]활혈윤조생진음(活血潤燥生津飮)

소갈을 치료하는 데 두루 쓴다.

천문동, 맥문동, 오미자, 하늘타리씨(과루인), 삼씨(마자인), 당귀, 찐지황(숙지황), 생지황, 하늘타리뿌리(천화분), 감초 각각 4g.

위의 약들을 썰어서 1첩으로 하여 물에 달여 먹는다.

[직지]천화산(天花散)

소갈을 치료한다.

하늘타리뿌리(천화분), 생건지황 각각 8g, 칡뿌리(갈근), 맥문동, 오미자 각각 4g, 감초 2g.

위의 약들을 썰어서 1첩으로 하여 멥쌀(粳米) 1백 알과 함께 달여 먹는다.

[의감]옥천산(玉泉散)

소갈을 치료하는 데 좋은 약이다.

하늘타리뿌리(천화분) 8g, 칡뿌리(갈근), 맥문동, 생지황, 오미자, 감초 각각 4g.

위의 약들을 썰어서 1첩으로 하여 찹쌀 1홉과 함께 달여 먹는다.

[단심]옥천환(玉泉丸)

소갈로 입이 마르는 것을 치료한다.

하늘타리뿌리(천화분), 칡뿌리(갈근) 각각 60g, 맥문동, 인삼, 흰솔풍령(백복령), 단너삼(황기, 절반은 생것, 절반은 꿀에 축여 볶은 것), 오매, 감초 각각 40g.

위의 약들을 가루내어 꿀에 반죽한 다음 달걀 노른자위만하게 알약을 만든다. 한번에 1알씩 씹어서 따뜻한 물로 넘긴다.

[회춘]오즙옥천환(五汁玉泉丸)

소갈을 치료한다.

황련, 칡뿌리(갈근), 하늘타리뿌리(천화분), 지모, 맥문동, 오미자, 인삼, 생지황, 오매살(오매육), 연밥(連肉), 당귀, 감초 각각 40g.

위의 약들을 가루낸다. 그리고 따로 젖(人乳汁), 소젖(牛乳汁), 사탕수수즙(甘蔗汁, 없으면 대신 사탕(砂糖)을 쓴다), 배즙(梨汁), 연뿌리즙(藕汁)에 꿀 900g을 넣고 묽은 고약처럼 되게 달인다. 다음 여기에 약가루를 넣고 다시 5-7번 끓어 오르게 달여 한번에 약숟가락으로 5개씩 미음에 타서 먹는데 하루 2-3번 쓴다. 맛이 맵고 열이 나게 하는 음식은 먹지 말아야 한다.

[득효]석자제니탕(石子薺苨湯

강중증을 치료한다.

모시대(薺 ), 석고 각각 6g, 인삼, 복신, 하늘타리뿌리(과루근), 자석, 지모, 칡뿌리(갈근), 속썩은풀(황금), 감초 각각 4g.

위의 약들을 썰어서 1첩으로 한다. 그리고 먼저 물 3잔에 돼지콩팥 1개, 검정콩 1홉을 넣고 절반이 되게 달여서 찌꺼기를 버린다. 다음 여기에 약을 넣고 7분(七分)이 되게 달여서 짜서 끼니 뒤에 먹는다. 그 다음 연이어 아래의 약을 써야 한다.

[의감]가감백호탕(加減白虎湯)

석고 10g, 지모 4g, 인삼, 황백 각각 2.8g, 현삼, 감초 각각 2g, 오미자 10알.

위의 약들을 썰어서 1첩으로 하여 멥쌀 1백 알과 함께 물에 달여 먹는다.

[의감]가감백출산(加減白朮散)

칡뿌리(갈근) 8g, 인삼, 흰삽주(백출), 흰솔풍령(백복령) 각각 4g, 목향, 지모, 황백, 감초 각각 2g, 오미자 9알.

위의 약들을 썰어서 1첩으로 하여 물에 달여 먹는다.

[득효]가감팔미원(加減八味元)

이 약에는 오미자가 들어 있기 때문에 소갈에 제일 좋은데 갈증을 멎게 한다. 또한 옹저가 생기지 않게 한다. 오랫동안 먹으면 소갈이 완전히 낫고 기혈이 든든해진다.숙지황 2량,산약微炒 산수유 1량,택사酒蒸 목단피 복령 각 8전,오미자 약초 1량반,육계 5전을 각각 작말하여 5경전(이른 새벽)에 말하지 않을 때에 염탕 혹은 온주에 50~70환씩을 탄하하고 또 해질 무렵 공복에 재복한다.





황달


☯ 음황으로 몸과 얼굴이 누렇고 대변이 잘 나오지 않으며 오줌이 치자즙 같은 것을 치료하는 처방이다.

생당쑥 80,시호(노두를 버린 것) 치자 각각 40,용담 12(노두를 버린 것) 탱자(밀기울과 같이 누렇게 닦아 속을 버린 것) 속썩은 풀 승마 각각 40,대황(썰어서 약간 닦은 것) 80을 보드랍게 가루내어 졸인 꿀로 반죽하여 벽오동씨만하게 알약을 만들어 한번에 30알씩 따뜻한 미음으로 하루 3~4번 먹되 설사할 때까지 먹는다.

[성혜방] 인진산

내황으로 몸,얼굴,눈이 다 금빛같이 노랗고 오줌이 진한 황경피즙 같은 것을 치료한다.

생당쑥 80,속썩은 풀 치자 대황(썰어서 닦은 것) 용담(노두를 버린 것) 탱자(밀기울같이 누렇게 닦아 속을 버린 것) 진교(노두를 버린 것) 40,승마 120을 가루내어 한번에 4g씩을 물 1잔에 두고 6분쯤 되게 달여 찌꺼기를 짜버리고 아무 때나 더운 것을 먹는다.

[성혜방] 뇌황을 치료하는 처방

치자 하늘타리뿌리 대황(썰어 약간 닦은 것) 각각 40을 거칠게 가루내어 한번에 4g씩을 물 1잔에 달여 6분쯤 되면 찌끼를 짜버리고 아무 때나 덥게 해서 먹는다.

[성제총록] 간황을 치료하는 처방이다.

생당쑥 백선피 각각 40을 잘게 썰어 한번에 12g씩을 물 1잔에 달여 물 1잔에 달여 6분쯤 되면 찌꺼기를 짜버리고 하루 3번씩 끼니전에 덥게 해서 먹는다.

[입문]인진오령산(茵蔯五苓散)

습열로 생긴 황달을 치료한다.

더위지기(인진) 40g, 오령산(五 散) 20g.

위의 약들을 가루내어 한번에 8g씩 미음에 타 먹는다.

○ 혹 썰어서 40g을 물에 달여 먹어도 좋다.

[입문]도씨인진탕(陶氏茵蔯湯)

황달 때 열이 성하여 대변이 잘 나오지 않는 것을 치료한다.

더위지기(인진) 8g, 대황, 산치자, 후박, 지실, 속썩은풀(황금), 감초 각각 4g.

위의 약들을 썰어서 1첩으로 하여 생강 2쪽, 골풀속살(등심) 2g과 함께 물에 달여 먹는다. 오줌이 잘 나오지 않는 데는 오령산을 섞어서 쓴다.

[회춘]인진산(茵蔯散)

습열로 생긴 황달을 치료한다.

더위지기(인진), 산치자, 벌건솔풍령(적복령), 저령, 택사, 삽주(창출), 지실, 황련, 후박, 곱돌(활석) 각각 4g.

위의 약들을 썰어서 1첩으로 하여 골풀속살(등심) 2g과 함께 물에 달여 먹는다.

[정전]신달탕(腎疸湯)

신달로 눈이 노랗게 되고 오줌이 벌건 것을 치료한다.

삽주(창출) 4g, 승마, 강호리(강활), 방풍, 고본, 따두릅(독활), 시호, 칡뿌리(갈근), 흰삽주(백출) 각각 2g, 저령 1.6g, 택사, 약누룩(신국), 인삼, 감초 각각 1.2g, 속썩은풀(황금), 황백 각각 0.8g.

위의 약들을 썰어서 1첩으로 하여 물에 달여 먹는다.

[활인]인진복령탕(茵蔯茯苓湯)

음황으로 오줌이 잘 나오지 않고 번조하면서 갈증이 나는 것을 치료한다.

더위지기(인진) 12g.

위의 약을 1첩으로 하고 여기에 흰솔풍령(백복령), 저령, 곱돌(활석), 당귀, 육계 각각 4g씩을 넣어서 물에 달여 먹는다.

[활인]인진귤피탕(茵蔯橘皮湯)

음황으로 번조하고 숨이 차며 구역[嘔]이 나고 갈증은 없는 것을 치료한다.

인진일물탕(茵蔯一物湯) 약재에 귤껍질(陳皮), 흰삽주(백출), 생강, 끼무릇(반하), 흰솔풍령(백복령) 각각 4g을 넣어 쓴다.

[활인]인진부자탕(茵蔯附子湯)

음황으로 온몸이 찬 것을 치료한다.

인진일물탕 약재에 부자(싸서 구운 것), 감초(닦은 것) 각각 4g을 넣어 쓴다.

[입문]장달환(瘴疸丸)

돌림병으로 생긴 급황(急黃)㈜과 장학(瘴瘧)㈜으로 생긴 황달을 치료한다.

더위지기(인진), 산치자, 대황, 망초 각각 40g, 살구씨(행인) 24g, 상산, 자라등딱지(별갑), 파두상(巴豆霜) 각각 16g, 약전국 8g.

위의 약들을 가루내어 증병(蒸餠)에 반죽하여 벽오동씨만하게 알약을 만든다. 한번에 3-5알씩 따뜻한 물로 토하고 설사할 때까지 먹는다.

○ 득효방(得效方)의 치자원(梔子元)도 이것과 같은데 이것을 요즘은 인진환(茵蔯丸)이라고 한다.

[의감]퇴황산(退黃散)

황달로 몸과 얼굴이 금빛 같이 되고 오줌이 황백즙(黃栢汁) 같은 것을 치료한다.

시호, 승마, 용담초, 더위지기(인진), 황련, 속썩은풀(황금), 산치자, 황백, 으름덩굴(목통), 곱돌(활석) 각각 4g, 감초 2g.

위의 약들을 썰어서 1첩으로 하여 골풀속살(등심) 2g과 함께 물에 달여 먹는다.

[활인]인진대황탕(茵蔯大黃湯)

상한(傷寒)으로 열이 심하다가 황달이 생긴 것을 치료한다.

더위지기(인진), 산치자, 시호, 황백, 속썩은풀(황금), 승마, 대황 각각 4g, 용담초 2g.

위의 약들을 썰어서 1첩으로 하여 물에 달여 먹는다.

[신농본초경]

黃疸

출,오색석지,인진호,백영[8달],황금,고삼,벽목[황달腸痔],자초[5달],백선,유화

1溫疫,2鄣氣,3溫虐,鬼瘧,

1 서장경[역질,온학],2 승마,서각,3 방규,사향,아교[勞極如如온학],모려[온학酒酒],귀갑[痎虐],서장경[역질,온학],당귀[온학한열세세재피부중],마황,저령[痎虐해학],백선[온학洗洗發作有時],백마안[학질],방기[풍한온학열기],파두[상한온학한열],원화[鬼학],요화,여청,양척촉[온학악독],인우[학상발작유시],항산[발열온학],촉칠[학 및 해역한열],백두옹[온학狂易],백렴,오공,부비[痎虐한열]








瘧疾


[성제총록] 노근탕

온학으로 처음에 몹시 열이 나고 후에 추워 떨면서 뼈마디가 시큰거리고 아프며 입이 마르고 번갈증이 나는 것을 치료한다.

노근(썬 것) 40, 맥문동(심을 버리고 약한 불기운에 말린 것), 승마, 갈근 각각 12, 치자(껍질을 버린 것) 20, 석고 40.

위의 약들을 거칠게 가루를 내어 한번에 20G씩을 물 1종발 반에 죽엽 10엽을 같이 넣고 달여 1종발이 되면 찌꺼기를 짜버리고 더운 것을 먹되 발작하기 전에 반복 3번 먹는다.

[회춘]인삼절학음(人蔘截瘧飮)

허약한 사람이 학질을 앓을 때 세게 치려면 반드시 이것을 써야 한다. 여러 가지 학질도 다 세게 치는 약이다.

인삼, 흰삽주(백출), 흰솔풍령(백복령), 당귀, 선귤껍질(靑皮), 후박, 시호, 속썩은풀(황금), 지모, 상산(술에 담갔던 것), 초과, 자라등딱지(별갑, 식초를 발라 구운 것,귀갑으로 바꾸는 것이 좋다) 각각 3.2g, 계지, 감초 각각 1.2g

위의 약들을 썰어서 1첩으로 하고 여기에 생강 3쪽, 대추 2알, 오매 1개, 복숭아씨 7알을 넣어서 물에 달인다. 다음 하룻밤 이슬을 맞혀서 발작할 날 이른 새벽 빈속에 먹는다. 다음 찌꺼기를 다시 달여 아침에 먹는다. 그 다음 사탕에 오매를 버무려 먹어서 약 기운을 내리워야 한다. 닭고기, 물고기, 두부, 밀가루음식 등 열이 나게 하는 것을 먹지 말아야 한다.

[신농본초경]

1溫疫,2鄣氣,3溫虐,鬼瘧,

1 서장경[역질,온학],2 승마,서각,3 방규,사향,아교[勞極如如온학],모려[온학酒酒],귀갑[痎虐],서장경[역질,온학],당귀[온학한열세세재피부중],마황,저령[痎虐해학],백선[온학洗洗發作有時],백마안[학질],방기[풍한온학열기],파두[상한온학한열],원화[鬼학],요화,여청,양척촉[온학악독],인우[학상발작유시],항산[발열온학],촉칠[학 및 해역한열],백두옹[온학狂易],백렴,오공,부비[痎虐한열]




腰痛


[삼인방] 청아환

간과 신이 허하여 허리와 다리가 무겁고 아픈 것을 치료한다. 또 풍습각기도 치료하는데 늘 먹으면 힘줄을 든든하게 하고 허한 것을 보하며 정과 골수를 불구어준다.

두충(볶은 것) 600, 생강(볶은 것) 380, 보골지(볶은 것) 600.

위의 약들을 가루를 내서 호두살 120개를 끓는물에 담갔다가 껍질을 버리고 갈아 고약처럼 만든 데다 연밀을 조금 넣은 것으로 반죽하여 벽오동씨만하게 환약을 만든다. 한번에 50알씩 식전에 데운 술이나 끓인 소금물로 먹는다.

[집성방]궤요통을 치료하는 처방

암려자 40(약간 볶은 것), 첨과자 20(약간 볶은 것), 두충 40(겉껍질을 버리고 약간 누렇게 구워 썬 것).

위의 약들을 보드랍게 가루를 내서 한번에 8g씩 식전에 데운 술에 타서 먹는다.

[신농본초경]

요척통

두중,상상기생[요통],계두실[습비,요척슬통],작상[요척통不得著(=着)狀俛仰艱難],상표초[여자혈폐요통],녹곽[여자요복통불락],비해[腰背痛强]




각기


[직지방] 해동피주

풍독각기로 무릎과 정강이가 아픈 것을 치료한다.

해동피, 오가피, 독활, 지각, 방풍, 두충(생강즙에 축여 볶은 것), 우슬(술에 담갔다가 약한 불기운에 말린 것), 의이인(볶은 것) 각각 60, 생지황 100.

위의 약들을 가루를 내어 솜에 싸서 좋은 술 1말에 담가두는데 봄에는 7일 동안, 가을에는 14일 동안 두었다가 매일 아침 공복과 오전에 각각 1종발씩 온복한다. 여러 번 써 보았는데 다 효과가 있었다.

[성제총록] 풍습이 아래로 몰려서 허리와 무릎에 힘이 없으면서 아픈 것을 치료하는 처방.

우슬엽(썬 것) 600, 속미 5홉.

위의 것을 두시 푼물에 넣고 죽을 쑤어 5가지 양념을 해서 공복에 먹는다. 한번에 다 먹지 못하면 2번에 나누어 먹는다

[집성방] 각기때 붓고 명치 밑이 창만하며 대소변을 보기 힘들고 숨이 찬 것을 치료하는 처방

욱리인 120(갈아서 걸러 즙을 낸다), 의이인(좁쌀알 같이 짓찧은 것) 3홉.

위의 것으로 죽을 쑤어 공복에 먹으면 좋다.

[경험양방] 먼길을 걸은 탓으로 다리가 붓고 아픈 데 쓰면 천리를 가도 다리가 거뿐해지는 묘한 처방

방풍, 세신, 초오 각각 같은 양.

위의 약들을 가루를 내어 신바닥에 뿌린다. 만일 짚신이면 물로 약간 적신 다음에 약을 뿌린다.

[십삼방]빈소산(檳蘇散)

풍습(風濕)으로 생긴 각기(脚氣)로 붓고 아프며 가드라드는 것을 치료한다. 이 약은 기가 막힌 것을 잘 통하게 한다.

삽주(창출) 8g, 향부자, 차조기잎(자소엽), 귤껍질(陳皮), 모과, 빈랑, 강호리(강활), 쇠무릎(우슬) 각각 4g, 감초 2g.

위의 약들을 썰어서 1첩으로 하여 생강 3쪽, 파밑(총백) 3대와 함께 달여 먹는다.

[삼인] 승준환(勝駿丸)

각기병(脚氣病)으로 다리가 가드라들고 아파서 걷지 못하는 것과 다리가 약해지는 여러 가지 병을 치료한다.

모과 160g, 당귀(술에 담갔던 것), 천마(술에 담갔던 것), 쇠무릎(우슬, 술에 담갔던 것), 메대추씨(산조인, 닦은 것), 찐지황(숙지황, 술에 담갔던 것), 방풍 각각 80g, 전갈(독을 없앤 것) 40g, 부자(싸서 구워 껍질과 배꼽을 버린 것) 1개, 유향, 몰약, 강호리(강활), 목향, 감초 각각 20g, 사향 8g.

위의 약들을 가루낸다. 그리고 생지황 1.2kg을 깨끗하게 씻어서 풀기가 나도록 잘 짓찧은 다음 좋은 술 4되에 넣고 고약처럼 될 때까지 달인다. 여기에 위의 약들을 넣고 찧어서 놓아 두었다가 굳어진 다음 40g으로 알약을 10알씩 만든다. 한번에 1알씩 잘 무렵에 잘 씹어서 술로 넘긴다. 벽오동씨만하게 알약을 만들어 한번에 50알씩 술로 먹어도 된다. 반달 동안 쓰면 걸음걸이가 날아갈 듯이 가벼워진다. 그러므로 승준환이라고 한다.

[신농본초경]

사지한궐 : 장석,만초[사지궐기]

1面目浮腫,2身面四肢浮腫,3脚腫

1이어담,여어,해[와벽면종],요실,총경作浴湯[중풍면목腫],욱이인[대복수종,면목사지부종],감수,택칠[대복수기,사지면목부종],2 과체,지모[지체부종],택란[대복수종,신면사지부종,골절중수],욱이인[면목수종,대복사지부종],택칠[대복수기,사지면목부종],고호[大水면목사지부종],3 육영,하고초[각종습비],

1風寒濕痺,2寒濕痿痺,3四肢寒厥,4陰痺,5內痺,6血痹,7諸關節風濕痹痛

1백석영[풍습비],왕불류행[풍비內寒],증청[풍비],천문동[폭풍습편비],출[풍한습비],건지황作湯[除痺],창포,택사,국화[악풍습비],석곡[除비하기],석룡예,왕불류행[풍비내한],건칠,세신[풍습비통],산조[사지산동습비]의이인[풍습비],차전자[습비],사상자[除비기],누로[습비],석명자[除비],청양,진초[한비],여어[습비],포도[근골습비],계두실[습비],방풍[풍행周身골절동비],귀갑[습비사지重弱],고활[습비한통],별기,자석[주비풍습],건강[풍습비]진이[한습풍비],갈근[諸비],산수유[축한습비],구척[주비,한습슬통],비해[골절풍한습주비],진피,미함[풍습비],시이실[풍습주비],여실[풍한습비],왕손[풍습비],마선호[중풍습비],가소[습비],제조[痺氣],대두황권[습비근련슬통],촉초[한습비통],천웅[한습비,역절통,구련완급]오두[한습비],부자[풍한해역사기,한습위벽,구련슬통,불능행보],양척촉[諸비],인우[諸관절풍습비통],조협[풍비],석남초[풍비],육영[골간諸비,사지구련동산,슬냉통],약실근[諸痺疼酸],만초,하고초[脚腫습비],미지,2 우슬,부자[풍한해역사기,한습위벽,구련슬통,불능행보],3 장석,만초[사지궐기],4 굴초,5 왕과,6 건지황,오수유[제습혈비],작약,후박,7 인우

1四肢拘攣,2筋急拘攣不可屈伸,3筋骨間寒熱濕痺拘攣,4瘈瘲,5骨節中水,6痱緩不收,7驚癎攣縮,

8肉痺拘急

1우슬,세신[百節구련],시이실[사지구련통],천웅[구련완급],육영[사지구련동산],호장[傷筋痿拘緩],미지[사지拘緩不收],2 의이인,백선[불가굴신起止行步],3 만형실,포도[근골습비],고활[습비한통],4 백마제,노봉방[경간계종],모란[계종痙],사태[계종경간],5 택란,6 백급,7 활유,돈란[사기련축]8 낭탕자



1痿躄,2健行

1오가피[療躄],자원[痿蹶],부자[痿躄구련],2 낭탕자[使人건행]



1膝痛,2四肢酸疼,3四肢重4.腰脊痛,5指節中痛不可持物,6洗洗酸痟,7腰背强,8腰背痛,9歷節痛,

10止痛,11胸痛,12腹痛,13耐痛,14皮膚疼痛,15諸關節風濕痺痛

1우슬[슬통不可屈伸],계두실[습비,요척슬통],구척[주비한습슬통],왕손[슬冷통],대두황권[습비근련슬통],부자[슬통불능행보],육영[슬한통],만초,2 산조,아교,비렴[脛重酸疼],별기[身重사지동산],백선[한열산동],왕손,왕과[한열산동],목맹[한열산통],매실[지체통,편고불인],약실근[諸痺疼酸],3 대조,4 두중,상상기생[요통],계두실[습비,요척슬통],작상[요척통不得著(=着)狀俛仰艱難],상표초[여자혈폐요통],녹곽[여자요복통불락],5.6자석,5진이[한습풍비지절통],7 구척,비해[요배통강],8 비해,녹곽[여자요복통불락],9 방풍[풍행주비 관절동비(통)],미함,천웅,만초[역절동통],10독활,암려자[신체諸痛],차전자,운화,우각새[어혈동통],석밀,백교,고본[腹中急痛],왕불류행[逐痛],암려자[신체諸통],차전자,별기[寒邪역절통],우각새[어혈동통],백극[궤농지통],생대두煮飮汁,지유,백두옹,11해합[흉통한열],굴초[흉협하통],12오가피[심복사기복통],작약[사기복통],고본[부인산가,腹中急]],상이흑자[징가적취복통],대극[복만급통],녹곽[여자요복통불락],패자[복통하혈],13철정,14대극,15인우



곽란


여원[백원,옹긋나물,畏蓾鹹]

1吐,2下,3反胃

1백청,과체[食諸果不消 病在胸腹中 皆吐下],갈근[嘔吐諸痺],대염[토하게 한다],대극[吐逆],항산[토역],고호,2 로감,3 연단

1胃腸閉,2腸胃中結氣,3關格,4五腸六胕開通閉塞

1초석,요화[腸胃中留癖飮食],2 자호,3 발피[관격부득소변],구맥, 4 파두



1滌去蓄結飮食,2推陳致新,3消食,4喉舌腫水漿不下,5厭食,6嗜食,7下哽噎,8蛇瘕

1초석,대황[蕩滌腸胃],2 대황,3 출,무이[化食],대황[留飮宿食],대황[通利水穀,調中化食],감수[유음숙식],정력[陰食],요화[腸胃中留癖飮食]4 낙석,5 고채,용안,6 여실,수근,7 누고,8 사태,구인



1泄,2痢,=3腸澼,4霍亂

1반석,방규[腸泄],운실,용골,비질이황피,은얼,황련,벽목,여원,여로,부비[사기설리],2 반석,우여랑[하리적백],운실,용골,밀납,비질이황피,은얼,황금,황련,건강[하리],갈곡[下痢十歲以上],지실,벽목,여원,여로,부비[사기설리],3 운실,황금,황련,건강,여로,4 여원




건망


[성혜방] 잊음증을 치료하고 심이 허한 것을 보하며 귀와 눈을 밝게 하는 처방

석창포 80,자석 80(달구어 식초에 담구기를 7번 거듭해서 분같이 가루낸다),인삼 40(노두를 버린 것),복신 80,마 80,맥문동 40(심을 버리고 약한 불기운에 말린 것),원지 40(심을 버린 것),숙건지황 80,적석지 40을 보드랍게 가루내서 졸인 꿀에 반죽하여 200~300번 짓찧어 벽오동씨만하게 알약을 만든다.한번에 20알씩 식전에 데운 술로 먹는다.

[천금방] 잊음증을 치료하는 처방

석창포 20,솔뿌리혹 복신 인삼 각각 50,원지 70을 가루내서 한번에 사방 1치되는 숟가락으로 하나씩 낮에 3번,밤에 1번 술로 먹는다.5일 동안 먹으면 낫는다.

[성제총록] 귀갑산

잊음증을 치료한다.

남생이등딱지(구운 것) 으름덩쿨(썬 것) 원지(심을 버린 것) 석창포 각각 20을 보드랍게 가루내어 한번에 사방 1치되는 숟가락으로 하나씩 빈속에 술에 타서 먹되 매일 양을 조금씩 늘여 8g씩 먹는다.

[득효] 정지환

심기의 부족과 건망과 신혼의 불안과 경계와 恐怯과 꿈자리가 사나운 증을 치료한다.

인삼 백복령 복신 각 3량,석창포 원지 제 각 2량,주사 1량(반은 옷을 한다)을 작말 밀환 오자대하여 미음물이나 밥물에 50~70환씩 탄하한다.

[해장] 팔물정지환

심신을 보익하고 혼백을 안정하며 치담,거열하고 경계와 정충을 다스린다.

인삼 1량반,석창포 원지 복신 백복령 각 1량,맥문동 각 5전,우황 3전,주사 2전을 작말하여 밀환 오자대해서 미음에 50환씩 복용한다.

[회춘] 천왕보심단

영심,보신하고 정충과 경계를 제하고 기억력과 심신을 양육한다.

생건지황酒洗 4량,황련酒炒 2량,석창포 1량,인삼 당귀酒洗 오미자 맥문동 천문동 백자인 산조인炒 현삼 백복신 단삼 길경 원지 각 5전을 작말하여 밀환 오자대하고 주사로 옷을 입혀 잠잘 때에 등심,죽엽전탕으로 30~50환을 복용한다.

[의감]가감온담탕(加減溫膽湯)

담(痰)이 심규(心窺)를 막아서 정신이 없고 지나친 근심과 생각으로 기가 울결된 탓으로 심을 상하며 마음이 불안하고 정신이 나가서 경계증, 정충증이 생겨 가슴이 몹시 답답해하며 슬픈 노래를 부르고 욕설을 하면서 달아나며 사람을 알아보지 못하는 것을 치료한다.

복신, 끼무릇(반하, 법제한 것), 귤껍질(陳皮), 지실, 산치자(닦은 것), 흰삽주(백출), 맥문동, 황련 각각 4g, 당귀, 메대추씨(산조인, 닦은 것), 참대속껍질(죽여) 각각 3.2g, 인삼 2.4g, 주사(가루를 낸 것) 2g, 감초 1.2g.

위의 약들을 썰어서 1첩으로 하여 생강 3쪽, 대추 2개, 오매 1개와 함께 물에 넣고 달인 것에 주사 가루 2g과 참대기름 반잔을 타 먹는다.


[신농본초경]

적지,원지[得복령,동규자,용골良],여여[善忘不樂,使감초],통초[목통],황련[久服時]

1養精神,益精,益精氣,2增知慧,3不忘,4强志意,5勇悍,6聰察,7耳目聰明,8先知,9通神

1주사,공청,편청[利정신],청지[安精魂,仁恕],황지[安神,忠信和樂],자지[保神,益精氣],두중[익정기]균계,인삼,지부자[익정기],석명자[益精光],충위자[익정],여정실,봉류[익정기],이석[익정],저계[익정],상표초[익정],교근[益陰精],2 적지,원지[익지혜],인삼[익지],시실[총혜],우실경[양신],계두실,3 적지,원지,여여[善忘不樂],통초[목통],황련[久服時],4 백지,원지[강지],두중[강지],목향[강지],포도[강지],봉류[강지],계두실[강지],오목이,산장,백마경,녹용,저계,파극천[增志]여여[善忘不樂]백지,합한[和心志]5 백지,6 흑지,시실[聰慧],7 원지,계두실,8 시실,9 단웅계[통신],형화[통정신],죽실[通神明]




도한


[단심] 삼기탕

허약자의 도한을 다스린다.

인삼 황기 백출 백복령 백편두 산약 진피 乾葛 반하麴 감초 각 1전을 수전복한다.

[신농본초경]

오수유,출,지유,송라[止虛한],위모[腹滿汗出],반하




경계


[간요제증] 서예환

담이 허랭해서 정신이 안정되지 못하며 머리가 어지럽고 눈앞이 아찔하여 무서워서 혼자 있지 못하는 것을 치료한다.

마 살맹이씨(약간 닦은 것) 각각 40,측백씨 복신 산수유 각각 12을 보드랍게 가루내서 졸인 꿀로 반죽하여 벽오동씨만하게 알약을 만든다.한번에 30알씩 데운 술로 아무 때나 먹는다.미음으로 먹어도 된다.

[의감]양심탕(養心湯)

근심과 시름, 지나친 사색으로 마음을 상하였거나 일에 지쳐 심신이 부족해져서 놀란 것처럼 가슴이 두근거리며 잠을 잘 자지 못하는 것을 치료한다.

흰솔풍령(백복령), 복신, 당귀, 생지황 각각 4g, 황기(꿀물로 축여 볶은 것), 원지(생강즙으로 축여 볶은 것) 각각 3.2g, 궁궁이(천궁), 측백씨, 메대추씨(산조인, 닦은 것) 각각 2.8g, 반하국 2.4g, 인삼 2g, 감초(닦은 것), 육계 각각 1.2g, 오미자 14개.

위의 약들을 썰어서 1첩으로 하여 생강 3쪽과 함께 물에 넣고 달여 먹는다.

○ 명치에 물이 고여 정충증이 생긴 데는 빈랑과 벌건솔풍령(적복령)을 더 넣어 쓴다.

[직지]영지원(寧志元)

심혈(心血)이 허(虛)해서 잘 놀라는 것을 치료한다.

인삼, 흰솔풍령(백복령), 복신, 측백씨, 호박, 당귀, 메대추씨(산조인, 닦은 것), 원지(술에 반나절 담갔다가 살만 쓴다) 각각 20g, 유향, 주사, 석창포 각각 10g.

위의 약들을 가루를 내어 꿀로 반죽한 다음 벽오동씨만하게 알약을 만든다. 한번에 30알씩 대추를 달인 물로 먹는다.

[신농본초경]

1憂恚驚邪恐悸,2瞋怒邪氣,

1복령,모려[경계노기],백실[경계],방규[驚邪狂走],사삼[血積驚氣],선복화[경계],신초[경계],천서시[경계],2 송라,모려[경계노기]





웃는 병


[성제총록] 현삼탕

심에 실열이 있어 놀란 것처럼 가슴이 두근거리고 잘 웃으며 마음과 정신이 편안하지 않은 것을 치료한다.

현삼 백미 복신(나무심을 버린 것) 치자 산양뿔(가루낸 것) 각각 300,석고 200(부스러뜨린 것) 인삼 60,생지황 (씻어 말린 것) 600을 잘게 썰어 한번에 20g씩을 물 1잔반에 다려 8분쯤 되면 찌끼를 짜버린 다음 참대기름 1홉을 넣고 다시 2~3번 끓어오르게 달여서 아무 때나 먹는다.




불면


[회춘] 천왕보심단

영심,보신하고 정충과 경계를 제하고 기억력과 심신을 양육한다.

생건지황酒洗 4량,황련酒炒 2량,석창포 1량,인삼 당귀酒洗 오미자 맥문동 천문동 백자인 산조인炒 현삼 백복신 단삼 길경 원지 각 5전을 작말하여 밀환 오자대하고 주사로 옷을 입혀 잠잘 때에 등심,죽엽전탕으로 30~50환을 복용한다.

[의감]가감온담탕(加減溫膽湯)

담(痰)이 심규(心窺)를 막아서 정신이 없고 지나친 근심과 생각으로 기가 울결된 탓으로 심을 상하며 마음이 불안하고 정신이 나가서 경계증, 정충증이 생겨 가슴이 몹시 답답해하며 슬픈 노래를 부르고 욕설을 하면서 달아나며 사람을 알아보지 못하는 것을 치료한다.

복신, 끼무릇(반하, 법제한 것), 귤껍질(陳皮), 지실, 산치자(닦은 것), 흰삽주(백출), 맥문동, 황련 각각 4g, 당귀, 메대추씨(산조인, 닦은 것), 참대속껍질(죽여) 각각 3.2g, 인삼 2.4g, 주사(가루를 낸 것) 2g, 감초 1.2g.

위의 약들을 썰어서 1첩으로 하여 생강 3쪽, 대추 2개, 오매 1개와 함께 물에 넣고 달인 것에 주사 가루 2g과 참대기름 반잔을 타 먹는다.


허로 때 꿈에 헛것이 보이거나 성교하는 것


[본초] 사향을 오래 먹으면 악몽이 없다.

[본초] 서각이 除魔하니 영약각이 심기를 편히 하고 邪魔를 쫓는다.

[신농본초경]

1鬼精物,2惡鬼,3精魅,4鬼魅,5厭=魇寐

1주사,용골,용치[살정물],승마,사향,도모,운실화,서장경,웅황,노봉방,대자석,귀구[귀주정물],상륙위熨,조협,2 주사,승마,서장경[鬼物,百精]우황[逐鬼],도화,도두[殺鬼],웅황,석고[除邪鬼],서각[사귀],영양각[악귀不祥],고양각[辟악귀],대자석,여청[殺鬼],3 주사,용골[老魅],승마,서장경[鬼物,百精]4 황환,5 서각[不迷惑厭寐],영양각[常不厭寐],목향[久服不夢語厭寐],사향[久服不夢語厭寐]

댓글 없음:

댓글 쓰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