하충어12강랑,중충어4게,중수4고양각,하충어4구인,상충어5귀갑,중충어2노봉방,중수2녹용,하수3누서,하충어13누고,상禽1단웅계,하수1돈란,하충어2마도,하충어14마륙,중수5모구음경,상충어4모려,중충어13목맹,상충어8문합,하수2미지,하충어3밀납,하충어8반묘,중충어8백강잠,중수1백마경,상人1발피,상獸5백교,중충어3별갑,중충어17복익,상충어2봉자,중충어14비맹,중충어15비렴,하충어2사태,상獸2사향,상충어6상표초,중수7서각,하충어16서부,중충어12석룡자,상충어1석밀,하충어10석잠,하충어7수질,상獸6아교,상禽2안방,중금1연시,하충어5열옹,중수6영양각,상충어9예어,하충어6오공,중충어7오적어골,상獸1용골,중수3우각새,상獸3우황,상獸4웅지,중충어1위피,하수4육축모제갑,하충어18의어,상충어10이어담,중충어16자충,중충어10저계,중추어6제조,중충어5작선,하충어11작옹,하충어15지담,중금2천서시,중충어9타어갑,하충어9패자,하충어1하마,상충어7해합,하충어17형화,중충어11활유
상품-인부人部 1종
1.발피髮피,다리Crinis Carbonisatus이다.맛은 쓰고 성질은 따뜻하다.주로 5가지 융병,관격이 통하지 않는 것-토하거나 대소변이 불통하는 것-을 치료한다.소변을 잘 나오게 하고 수도를 좋게 한다.소아와 성인의 간질을 치료한다.
발피(髮髲 , 달비)
성질이 따뜻하고[溫](약간 차다[小寒]고도 한다) 맛이 쓰며[苦] 독이 없다. 5륭(五癃)과 관격(關格)되어 통하지 못하는 것을 치료한다. 또한 오줌이 잘 나가게 한다.
○ 혈민(血悶), 혈훈(血暈)을 치료한다[본초].
○ 달비는 음을 보하는 효과[神陰之功]가 대단히 빠르므로 반드시 주염열매를 달인 물(皂角水)이나 너삼(고삼)을 달인 물(苦蔘水)에 담가 씻어서 햇볕에 말린 다음 태워 가루내어 써야 한다[단심].
○ 달비란 잘라낸 머리털을 말하는 것이고 난발은 머리를 빗을 때에 떨어진 머리털을 말하는 것인데 치료 효과는 비슷하다[본초].
상품-수부獸部 6종
1.용골龍骨,코끼리류,서우류,3趾지마 등의 骨化石골화석이다.맛은 달고 성질은 평하다.주로 ,심장과 뱃속에 귀신과 늙은 도깨비가 주입한 정물을 없애고 기침과 기가 치미는 것,설사농혈,여자누하,징가,기가 모이는 것.소아의 열기경간을 치료한다.인삼과 우황을 배합하면 효과가 좋고 석고를 꺼린다.내복시 3-5돈을 달여 복용한다.혹은 환제,산제로 복용한다.외용시 가루내어 뿌리거나 개어서 바른다.용치齒,고대 포유류 동물 예컨데 코끼리류,犀牛類서우류,三趾馬삼지마 등의 치아화석이다.주로 소아성인의 경간,전질로 미쳐 날뛰는 것,心下심장밑-명치밑의 기가 모인 것,숨이 찬 증세,각종 경련을 치료하고 정물을 없앤다.오래 복용하면 몸을 가볍게 하고 정신을 맑게하고 수명을 연장한다.내복시 3-5돈을 달여 복용한다(장시간 달여야 한다)
용골(龍骨)
성질은 평(平)하고(약간 차다[微寒]고도 한다) 맛이 달며[甘] 독이 없다(약간 독이 있다고도 한다). 정신이 좋아지게 하고 혼백을 안정시키며 5장을 편안하게 하며 사기(邪氣)를 몰아내고 심신(心神)을 진정시키며 설사, 이질, 몽설(夢泄)을 낫게 하고 일체 피흘리는 것[失血]을 멎게 하며 땀이 나지 않게 하고 오줌이 많이 나가는 것을 줄어 들게 한다[본초].
○ 약으로는 5가지 빛이 나는 것이 좋다. 누렇고 허연 것[黃白色]은 그 다음이고 검은 것은 제일 못한 것이다[본초].
○ 허여면서 비단무늬 같고 혀에 대면 착 달라 붙는 것이 좋다[본초].
○ 용골은 삽제(澁劑)이다. 삽제는 빠져 나가는 것을 없애고 기를 든든하게 한다[固氣][탕액].
○ 불에 달구어[火煆] 보드랍게 가루내어[細硏] 쓰거나 술에 달여 약한 불기운에 말려서 쓴다. 아무 때나 채취한다[본초].
용치(龍齒)
성질이 평(平)하고(몹시 차다[大寒]고도 한다) 맛이 떫다[澁]. 마음을 진정시키고 정신을 편안하게 하는데 전간(癲癎), 경광(驚狂), 헛것에 들린 것[鬼魅]을 낫게 한다[본초].
○ 놀라는 것을 진정시키고 정신을 안정시킨다. 그러므로 용치는 정신이 얼떨떨한 사람에게 써야 한다[본사].
2.사향麝香臣,사슴과 사향노루-궁노루 MOSCHUS MOSCHIFERUS 의 향낭 분비물이다.맛은 맵고 성질은 따뜻하다.주로 나쁜 기운-疫려지기를 물리치고 귀정물과 고독과 간질을 치료하고 3충을 제거한다.오래 복용하면 사기를 없애고 꿈이 없어지고 가위에 잘 눌리지 않는다.내복시 3-5釐리를 산제,환제로 복용한다.외용시 목안에 불어 넣거나 코에 넣거나 눈에 넣거나 개어서 도포하거나 膏劑고제속에 넣어서 붙인다.혈압상승
사향(麝香)
성질이 따뜻하고[溫] 맛이 매우면서[辛] 쓰고[苦] 독이 없다. 나쁜 사기를 없애고 마음을 진정시키며 정신을 안정시키고 온학(溫瘧), 고독, 간질, 치병, 중악과 명치 아래가 아픈 것[心腹痛]을 치료하며 눈에 군살과 예막이 생긴 것[膚翳]을 없애고 여러 가지 옹창의 고름을 다 빨아낸다. 또한 해산을 쉽게 하게 하고 유산시킨다. 어린이의 경간(驚癎)과 객오(客忤)도 낫게 한다[본초].
○ 여러 가지 사기[百邪]와 헛것이 들린 병과 가위 눌린 것[鬼魅]을 치료하며 3가지 충을 죽인다[본초].
○ 사향 기운은 비(脾)로 들어가서 살에 생긴 병을 낫게 한다[강목].
○ 사향은 성질이 따뜻하나 음(陰)에 속한다. 그러나 능히 양으로 변하며 주리(腠理)를 열어준다[직지소아].
○ 사향은 막힌 것을 통하게 하고[通關] 구멍을 열어 주는데[透竅] 그 기운이 겉으로는 살과 피부에까지 가고 속으로는 골수에까지 들어간다. 효능이 용뇌(龍腦)와 같으나 향기와 뚫고 들어가는 기운은 용뇌보다 더 세다[입문].
○ 사향은 다른 약 기운을 이끌고 뚫고 들어간다[직지].
○ 춘분 때 채취한 생것이 더 좋다. 사향이란 바로 사향노루 음경 앞의 가죽 속에 따로 막(膜)이 씌워진 곳에 있는 것이다[본초].
○ 사향에는 3가지가 있다. 그 첫째는 생향(生香)이다. 사향노루가 여름에 뱀과 벌레를 많이 먹으면 겨울에 가서 향이 가득 들어차게 된다. 그런데 봄이 되면 갑자기 아파서 사향노루가 발톱으로 긁어서 떨어지게 한다. 생향이 떨어진 부근의 풀과 나무는 다 누렇게 마른다. 생향을 얻기는 아주 어렵다. 진짜 사향을 가지고 오이나 과수밭을 지나면 열매가 달리지 않는다. 이것으로 진짜 사향을 알 수 있다. 둘째는 제향(臍香)인데 이것은 사향노루를 산 채로 잡아서 떼낸 것이다. 셋째는 심결향(心結香)인데 사향노루가 무엇에 쫓기어 미친 것같이 달아나다가 저절로 죽은 것에서 떼낸 것이다[본초].
○ 사향에는 가짜가 많으나 그것을 쪼개 보아 속에 털이 있는 것은 좀 나은 것이다. 사향의 당문자(當門子)를 태워 보아 부글부글 끓는 것이 좋은 것이다. 사향을 쪼개 보면 속에 알맹이가 있는 것도 있는데 이것을 당문자라고 한다[본초].
○ 사향은 자일(子日)에 쪼개서 쓰는데 아주 보드랍게 갈지 말고 채구멍으로 빠져 나갈 정도로 갈아서 써야 한다[본초].
○ 사향은 일명 사미취(四味臭)라고도 한다[강목].
사육(麝肉)
사향노루의 생김새는 노루(獐)와 비슷하고 고기도 노루고기와 비슷하면서 비린내가 난다. 사향노루는 뱀을 잡아 먹기 때문에 뱀독을 풀 수 있다. 사향노루 배꼽 속에는 사향이 있는데 이것으로 모든 병을 다 치료한다[본초].
수사(水麝)
이 사향노루 배꼽 속에는 오직 물만이 들어 있는데 이 물 1방울을 물 1말에 떨어뜨려서 옷에 뿌리면 그 옷이 다 헤지도록 향기로운 냄새가 없어지지 않는다. 그 물을 빼낼 때에는 침(鍼)으로 찔러서 빼내야 한다. 그 다음 찌른 곳을 석웅황(雄黃)으로 비벼주면 곧 아문다. 이 물사향의 향기는 덩어리 사향(肉麝)보다 배나 된다[본초].
○ 우리 나라의 사향은 함경도와 평안도의 것이 좋다. 그러나 달자(㺚子;시베리아) 지방의 것보다는 못하다[속방].
3.우황牛黃君,소과 누런 소-黃牛 BOS TAURUS DOMESTICUS,水牛-물소BUBALUS BUBALIS L. 의 담낭결석이다.모우牦牛-들소를 담은 들소BOS GRUNNIENS L.이다,野牛-들소BOS GAURUS H.SMITH의 우황도 약용한다.맛은 쓰고 성질은 평하다.주로 경간,오한이 나면서 열이 나는 것,고열이 나서 발광하거나 경련하는 것 사기를 없애고 귀기를 몰아 낸다.인삼을 사약으로 한다.용골,지황과 용담초,비렴을 꺼린다.우슬을 두려워 한다.내복시 0.5-1.5푼을 환제,산제로 복용한다.외용시 분말을 가루내어 뿌리거나 개어서 바른다.혈당조절,혈압강하,담즙분비
우황(牛黃)
성질이 평(平)하고(서늘하다[凉]고도 한다) 맛이 쓰며[苦](달다[甘]고도 한다) 독이 약간 있다(독이 없다고도 한다). 정신을 안정시키고 사기와 헛것[鬼]을 없애며 전광[狂癲], 경계(驚悸), 중악(中惡)을 낫게 한다. 또한 어린이의 모든 병도 치료한다[본초].
○ 소한테서 우황을 꺼내어 백날 동안 그늘에 달아 매놓아 천천히 마르게 해야 한다. 그리고 햇빛이나 달빛이 비치지 않게 해야 한다[본초].
○ 우황의 기운은 간(肝)으로 들어가므로 힘줄에 생긴 병을 낫게 한다[강목].
○ 우황이 든 소는 가죽과 털이 윤기가 있고 눈에 피가 지며[眼如血色] 때때로 운다. 또한 물을 보기 좋아한다. 동이에 물을 가득 부어서 그것을 소 주둥이 밑에 놓는 다음 소 주둥이를 억지로 벌리고 토하게 하면 달걀 노른자위만한 우황이 물에 떨어진다. 겹겹이 일어나면서 가볍고 퍼석퍼석하며 향기로운 것이 좋은 것이다[본초].
○ 우황에는 가짜가 많은데 시험하는 방법은 다음과 같다. 우황을 손톱 위에 놓고 문질렀을 때 손톱 속까지 누렇게 되는 것이 진짜이다[본초] .
○ 억지로 토하게 하여 얻은 것을 생우황(生牛黃)이라고 하는데 이것을 얻기는 대단히 힘들다. 지금은 다 도살장에 가서 소의 담낭(牛肝膽) 속에서 얻는다[본초].
우육(牛肉, 쇠고기)
성질이 평(平)하고 (따뜻하다[溫]고도 한다) 맛이 달며[甘] 독이 없다(독이 약간 있다고도 한다). 비위(脾胃)를 보하고 게우거나 설사하는 것을 멈추며 소갈과 수종(水腫)을 낫게 한다. 또한 힘줄과 뼈, 허리와 다리를 든든하게 한다[본초].
○ 고기는 누렁소(黃牛)의 것이 좋다. 소젖(牛乳)으로 병을 치료하는 데는 검정소(黑牛)의 것이 누렁소의 것보다 낫다[본초].
○ 저절로 죽은 소의 고기는 먹지 말아야 한다. 먹으면 반드시 정창(疔瘡)이 생긴다[속방].
우각새(牛角䚡)
성질이 삽(澁)하고 맛이 달면서[甘] 쓰고[苦] 독이 없다. 혈붕(血崩)과 적백대하를 멈추며 장풍(腸風)으로 피를 쏟는 것과 혈리(血痢)를 치료한다.
○ 약성이 남게 태워 쓴다[본초].
우유(牛乳)
성질이 약간 차고[微寒](서늘하다[冷]고도 한다) 맛이 달며[甘] 독이 없다. 허하고 여윈 것(虛羸)을 보하며 번갈(煩渴)을 멎게 하고 피부를 윤택하게 한다. 또한 심폐(心肺)를 보하고 열독(熱毒)을 푼다[본초].
○ 우유를 먹을 때에는 반드시 1-2번 끓어 오르게 끓여 식혀서 마셔야 한다. 생것을 마시면 이질이 생기고 뜨겁게 하여 먹으면 곧 기가 막힌다. 또한 단숨에 먹지 말고 천천히 먹어야 한다[본초].
○ 우유로 병을 치료하는 데는 검정소(黑牛)의 것을 쓰는 것이 누렁소(黃牛)의 것을 쓰는 것보다 낫다[본초].
○ 젖(乳酪)은 신것[酸物]과는 상반된다[본초].
우두제(牛頭蹄)
풍열(風熱)을 내리운다.
우뇌(牛腦, 소골)
소갈과 풍현(風眩)을 치료한다[본초].
우치(牛齒)
어린이의 경간[小兒驚癎]을 치료한다[본초].
우이중구(牛耳中垢)
뱀에게 물린 것과 벌레에게 심하게 물린 상처를 치료한다.
우오장(牛五藏)
사람의 5장병을 치료한다.
○ 간(肝)은 눈을 밝게 하고 이질을 낫게 한다.
○ 염통[心]은 잘 잊어 버리는 증을 낫게 한다.
○ 지라[脾]는 치질을 낫게 한다.
○ 허파[肺]는 기침을 멎게 한다.
○ 콩팥[腎]은 신을 보한다[본초].
우두(牛肚,胃)
민간에서는 양(䑋)이라고도 한다. 5장을 보하고 비위(脾胃)를 도우며 소갈을 멎게 한다[본초].
우백엽(牛百葉)
천엽이라고도 한다. 열기(熱氣)와 수기(水氣)를 없애고 술독[酒勞]을 풀며 이질을 낫게 한다[본초].
우담(牛膽)
성질이 몹시 차고[大寒] 맛이 쓰며[苦] 독이 없다. 눈을 밝게 하고 소갈을 멎게 한다[본초].
우비(牛鼻)
소갈을 멎게 하고 젖이 나오게 한다[본초].
우구중연(牛口中涎)
반위(反胃)와 구토 및 목이 잠기는 것을 치료한다.
우구중치초(牛口中齝草)
재채기를 주로 치료한다.
우골(牛骨)
성질이 따뜻하고[溫] 독이 없다. 여러 가지 피나는 병[失血]에 쓰는데 약성이 남게 태워서 쓴다[본초].
특우경(特牛莖, 소의 음경)
부인의 적백대하와 아이를 낳지 못하는 데 쓴다[본초].
4.웅지熊脂君,곰과 검은 곰 SELENARTOS THIBETANUS G.CUVIER 혹은 불곰URSUS ARCTOS L.의 지방유-곰기름이다.맛은 달고 성질은 서늘하다.주로 풍비로 몸을 쓰지 못하는 것,힘줄이 땅기는 것,5장과 뱃속의 적취,오한이 나면서 열이 나는 것 ,여위는 것,머리의 헌데,백독창을 치료하고 얼굴에 난 기미를 없앤다.오래 복용하면 의지를 굳세게 하고 배고픔을 느끼지 아니하며 몸을 가볍게 한다.내복시 졸여서 지방유를 취해 뜨거운 물에 섞어서 복용한다.외용시 바른다.
웅담(熊膽)
성질이 차고[寒] 맛이 쓰며[苦] 독이 없다. 열병(熱病), 황달, 오랜 이질[久痢], 감닉, 가슴앓이[心痛], 시주[尸疰], 객오, 어린이의 5가지 감질[五疳]을 치료하는데 벌레를 죽이고 악창을 낫게 한다[본초].
○ 눈에 넣으면 예막이 없어지고 소경은 앞을 보게 된다[입문].
○ 웅담은 그늘에서 말려야 한다. 가짜가 많은데 조알만큼 떼서 따뜻한 물에 넣어서 시험한다. 이때 실같은 줄이 하나 생겨 흩어지지 않는 것이 진짜이다[본초].
웅뇌(熊腦)
머리가 허옇게 벗어지는 것[白禿], 비듬이 많이 생기는 것[風屑], 머리털이 빠지는 것을 치료한다. 기름을 내어 바른다.
○ 또한 귀머거리도 낫게 한다[본초].
웅골(熊骨)
역절풍(歷節風)과 어린이의 객오(客忤)를 치료하는데 이것을 끓인 물에 목욕한다[본초].
웅혈(熊血)
어린이의 객오(客忤)를 치료한다[본초].
웅장(熊掌, 곰발바닥)
이것을 먹으면 풍한(風寒)을 막는다. 이것이 팔진미(八珍味)의 하나이다.
○ 옛사람들은 곰의 발바닥을 음식 가운데서 아주 귀한 것으로 여겼다. 그러나 질겨서 익히기가 힘들다.
○ 곰의 발바닥을 술, 식초, 물 이 3가지와 함께 넣어서 끓이면 곧 가죽뿔처럼 부풀어 오른다[본초].
○ 곰은 겨울에 공기만 마시면서 아무것도 먹지 않고 제 발바닥을 핥기 때문에 발바닥의 맛이 좋다[입문].
5.백교白膠-녹각교,사슴과 사슴-매화록 SERVUS NIPPON TEMMINCK,馬마록C.ELAPHUS L.의 뿔을 고은 교괴膠塊-녹각교이다.맛은 달고 성질은 평하다.주로 중초가 상한 것,허로虛勞,요통,몸이 여위는 것을 치료하고 보중익기한다.부인의 월경이 그쳐 임신하지 못하는 것을 치료하며 통증을 그치고 安胎태를 안정하게 한다.오래 복용하면 몸을 가볍게 하며 수명을 연장시킨다.불로 처리하면 좋다.대황을 두려워한다.내복시 끓인 물 또는 황주에 2-4돈을 녹여서 복용한다.또는 산제,환제로 복용한다.
백교(白膠)
성질이 평(平)하면서 따뜻하고[溫] 맛이 달며[甘] 독이 없다. 남자가 신기(腎氣)가 쇠약하고 허손되어 허리가 아프고 몹시 여위는 것[腰痛羸瘦]을 치료한다. 부인이 먹으면 임신하게 되고 안태(安胎)시키며 적백대하, 피를 토하는 것[吐血], 하혈하는 것이 낫는다[본초].
○ 일명 녹각교(鹿角膠) 또는 황명교(黃明膠)라고 하는데 사슴의 뿔을 고아서 만든다.
○ 교를 만드는 방법은 잡방문에 자세하게 씌어 있다[본초].
6.아교阿膠君,말과 당나귀 EQUUS ASINUS 의 교괴-갖풀-껍질에서 털을 제거한 다음 달여서 식힌 덩어리이다.맛은 달고 성질은 평하다.주로 명치 밑이 아픈 것,내붕,허로증이 심하여 학질처럼 오한이 나면서 앓는 것,허리와 배의 통증,팔다리가 쑤시는 것,여자들이 하혈하는 것을 치료하고 태를 안정시킨다.오래 복용하면 몸이 가벼워지고 기운을 더하게 한다.불의 열로 가공하는 것이 좋다.대황을 두려워한다.내복시 황주나 끓인 물에 1.5-3돈을 녹여서 달이거나 환제,산제로 복용한다.
아교(阿膠)
성질이 평(平)하면서 약간 따뜻하고[微溫] 맛이 달며[甘](달면서[甘] 맵다[辛]고도 한다) 독이 없다. 허로로 여위는 것[虛勞羸瘦], 허리나 배가 아픈 것[腰腹痛], 팔다리가 시글고 아픈 것과 풍증을 치료하는데 허(虛)한 것을 보(補)하고 간기(肝氣)를 돕는다. 그리고 설사, 이질, 기침을 멈추고 여자가 하혈(下血)하는 것을 낫게 하며 안태(安胎)시킨다[본초].
○ 이것은 소가죽을 고아서 만든 것이다. 나귀가죽으로 만든 갖풀(아교)이 풍증에 제일 좋다. 동아(東阿) 지방에서 만든다고 하여 아교라고 하였다[본초].
○ 아현성(阿縣城) 북쪽에 있는 우물물로 만든 것이 진짜이다. 아수(阿水)란 제수를 말하는데 이 물은 맑고 아래로 내려가는 성질이 있기 때문에 걸쭉한 가래[濁痰]가 치밀어 오르는 것을 치료한다. 이 약 기운은 수태음, 족소음, 족궐음경으로 들어간다. 오랜 기침과 오랜 이질에 다 좋다[입문].
○ 진짜 나귀가죽으로 만든 갖풀(아교)은 얻기가 힘들기 때문에 차라리 노랗고 투명한 소가죽아교(牛皮膠)을 쓰는 것이 좋은데 진주조개가루(蜂粉)와 함께 닦아서 써야 한다[입문].
상품-금부禽部 2종
1.단웅계丹雄鷄꿩과 붉은 수탉이다.맛은 달고 성질은 서늘하다.붕루와 적백대하를 치료하고허한 것을 보하고 속을 따뜻하게 하며 피가 나는 것을 그치게 한다.정신을 맑게하고 독을 푼다.상서롭지 않은 기운을 물리친다.내복시 삶아서 먹거나 약한 불에 장시간 고은 즙을 복용한다.
두頭 귀기를 없앤다.동문위에 것이 더 좋다.
방肪 귀가 잘 안들리는 것을 치료한다.
장腸밸 유약증을 치료한다.
폐치=鷄內金[닭똥집의 누런 속 껍질] 설사와 이질을 치료한다.내복시 1-3돈을 달이거나 환제,산제로 복용한다.외용시 불에 쬐어 말린 후 갈아서 가루내어 개어서 바른 다.혹은 생것을 환부에 붙인다.
계뇨백鷄尿白흰똥 소갈증과 상한,한열증을 치료한다.내복시 햇볕에 말려 뭉근한 불에 볶는다.볶을 때 백주-고량주를 조금 넣는다.갈아서 가루로 만든 다음 1-2돈을 환제,산제로 복용하거나 혹은 술에 담가 복용한다.
흑자계黑雌鷄,검은 암탉,풍한습으로 생긴 비증과 5완 6급을 치료하고 태를 안정시킨다. 내복시 단웅계와 같다.
핵우翮羽-깃 피가 막힌 것을 내려가게 한다.내복시 태운 재를 갈아서 가루로 만든 것 0.37-1.11그램을 복용한다.외용시 태운 재를 가루내어 개어서 바른다.
계자鷄子,계란,열을 내리고 불에 덴 헌데나 간질과 경병을 치료하고 虎魄神物호백신물을 만들기도 한다.내복시 껍데기를 제거하고 날것으로 먹거나 펄펄 끓은 물에 다른 약물과 함께 넣고 삶거나 환제로 만든다.외용시 껍데기를 제거하고 노른자와 흰자를 취해서 다른 약물과 고루 섞어서 바른다.
게백탁鷄白橐-모래주머니인 것 같다.모이주머니나 기생하는 벌레일 수도 있다. 肥脂살지고 기름지게 한다.
[계근골鷄筋骨-닭의 힘줄과 뼈이다.소아가 몸이 여위며 음식을 먹어도 살이 오르지 않는 데 쓴다.]
단웅계육(丹雄鷄肉, 붉은 수탉의 고기)
성질이 약간 따뜻하고[微溫](약간 차다[微寒]고도 한다) 맛이 달며[甘] 독이 없다. 주로 여자의 붕루[崩中漏下]와 적백대하[赤白]를 치료하는데 허(虛)한 것을 보(補)하고 속[中]을 따뜻하게 하며 정신을 좋아지게 하고[通神] 독을 없애며 좋지 못한 것을 피하게 한다[본초].
○ 『주역(周易)』에 “손괘[巽]는 닭이 되고 바람이 된다”고 씌어 있다. 닭이 새벽 4시경에 우는 것은 해가 장차 손방 즉 동남쪽 사이에서 떠올라 오려는 기운을 감수[感動]하기 때문이다. 그러므로 풍증이 있는 사람[風人]은 먹지 말아야 한다[본초].
○ 닭은 토(土)에 속하나 금(金), 목(木), 화(火)의 성질을 보해주기 때문에 습 가운데 화[濕中之火]를 도와준다. 그러므로 사기[邪]는 닭을 만나면 더 성한다. 때문에 병이 몹시 심해진다. 닭뿐만 아나라 생선이나 고기류도 다 병을 심해지게 한다[단심].
단웅계두(丹雄鷄頭, 붉은 수탉의 대가리)
사귀(殺鬼)를 죽이는데 동쪽 문 위에서 자는 것이 더 좋다[본초].
주웅계관혈(朱雄鷄冠血, 붉은 수탉의 볏피)
목을 매고 죽은 것[自縊死]과 귀에 온갖 벌레가 들어간 것[百蟲入耳]을 낫게 한다. 또한 백전풍(白癜風)과 역양풍(癧瘍風)도 치료한다[본초].
주웅계관분(朱雄鷄冠糞, 닭똥)
백호역절풍(白虎歷節風)을 치료한다. 또 풍통에 붙인다(본초)
백웅계육(白雄鷄肉, 흰 수탉의 고기)
성질이 약간 따뜻하고[微溫](차다[寒]고도 한다) 맛이 시다[酸]. 미친 것을 치료하는데 5장을 편안하게 하고 소갈을 멎게 하며 오줌을 잘 나가게 한다. 또한 단독(丹毒)도 치료한다[본초].
○ 털이 희고 뼈가 검은 닭(白毛烏骨)이 좋다[입문].
○ 털빛이 희고 눈이 검은 것은 진백오계(眞白烏 )라고 한다[쇄언].
백계거/백계뇌(白鷄距及腦, 흰 닭의 발톱과 골)
난산(難産)에 쓴다[본초].
오웅계육(烏雄鷄肉, 검은 수탉의 고기)
성질이 약간 따뜻하고[微溫] 독이 없다. 가슴앓이[心痛], 배앓이[肚痛]와 명치 아래에 악기(心腹惡氣)가 있는 것과 풍습으로 저리고 아픈 것[風濕攣痺]을 낫게 한다. 허약하고 여윈 것을 보(補)하며 안태(安胎)시킨다. 다쳐서 골절된 것과 옹저를 낫게 한다. 또한 나무나 참대의 가시가 박혀 나오지 않을 때에는 생것을 붙인다[본초].
○ 닭은 눈알이 검으면 뼈도 반드시 검은데 이런 것이 진짜 오계(烏鷄)이다[본초].
오웅계담(烏雄鷄膽, 검은 수탉의 쓸개)
성질이 약간 차다[微寒]. 주로 눈을 밝아지게 하고 헌데[肌瘡]를 낫게 한다[본초].
오웅계심(烏雄鷄心, 검은 수탉의 염통)
5가지 사기[五邪]를 치료한다[본초].
오웅계혈(烏雄鷄血, 검은 수탉의 피)
성질이 평(平)하다. 악기[中惡]에 상한 것과 접질려서 뼈가 부러져 아픈 것을 치료한다[본초].
오웅계방(烏雄鷄肪, 검은 수탉의 기름)
성질이 찬데[寒] 귀머거리[耳聾]를 치료한다[본초].
○ 두터운 기름갓(肪厚脂)을 쓴다[입문].
오웅계장(烏雄鷄腸, 검은 수탉의 창자)
유뇨(遺尿)와 오줌이 참을 수 없이 자주 나가는 것[小便數不禁]을 치료한다[본초].
오웅계간/오웅계좌시모(烏雄鷄肝及左翅毛, 검은 수탉의 간과 왼쪽 날개의 털)
음경을 일어서게 한다[본초].
오웅계관혈(烏雄鷄冠血)
젖이 나지 않는 것[乳難]을 나게 한다[본초].
오웅계두(烏雄鷄頭)
사귀[邪鬼]를 없앤다[본초].
검은 수탉의 멀떠구니 속껍질[肶胵裏黃皮]
성질이 약간 차고[微寒](평(平)하다고도 한다) 독이 없다. 유정, 몽설, 유뇨, 오줌에 피가 섞여 나오는 것[尿血], 붕루, 대하, 장풍(腸風), 설사와 이질을 치료한다[본초].
○ 이것은 모래주머니 속에 있는 누런 껍질을 말한다. 모든 닭의 모래주머니는 유정에 효과가 있다. 약성이 남게 태워서 쓰는 것이 좋다[입문].
오웅계시백(烏雄鷄屎白, 흰똥)
성질이 약간 차므로 소갈증(消渴證)을 치료하고 석림(石淋)을 헤치고 蠱脹고창을 消化하고 유뇨를 그치고 瘢痕반흔을 감한다(본초)
오자계육(烏雌鷄肉)
성질이 따뜻하고[溫] 맛이 달며[甘](시다[酸]고도 한다) 독이 없다. 풍(風), 한(寒), 습(濕)으로 비증[痺]이 생긴 것과 반위(反胃)를 치료한다. 태아를 편안하게 하고 산후에 허약해진 것을 보(補)한다. 옹저도 낫게 하는데 고름을 빨아내고 새 피가 생기게 하며 사기와 악기(惡氣)를 없앤다[본초].
○ 털과 뼈가 다 검은 것이 제일 좋은 것이다[입문].
오자계혈(烏雌鷄血)
성질이 평(平)하고 독이 없다. 중악(中惡)으로 배가 아픈 것[腹痛]과 접질려서 뼈가 부러져 아픈 것[ 折骨痛], 젖이 잘 나오지 않는 것을 치료한다[본초].
오자계담(烏雌鷄膽)
무사마귀, 눈병, 귀병, 와창( 瘡)을 치료한다[본초].
오자계장(烏雌鷄腸)
유뇨(遺尿)와 오줌량이 많은 것[小便多]을 치료한다[본초].
오자계익(烏雌鷄翼)
어린이의 밤울음증[小兒夜啼]을 치료한다[본초].
오자계핵우(烏雌鷄翮羽)
월경이 중단된 것을 나오게 한다[본초].
오자계과중초(烏雌鷄窠中草)
두창(頭瘡)과 백독창(白禿瘡)을 치료한다[본초].
오자계분(烏雌鷄糞)
중풍(中風)으로 말을 못하는 것을 낫게 하고 소갈(消渴)을 그치게 한다.
황자계육(黃雌鷄肉)
성질이 평(平)하고(따뜻하다[溫]고도 한다) 맛이 달며[甘](시다[酸]고도 한다) 독이 없다.
○ 소갈, 오줌이 잦은 것[小便數], 설사, 이질에 효과가 있다. 5장과 골수를 보하며 정수와 양기를 돕고 소장을 덥힌다[본초].
○ 털빛도 누렇고 다리도 누런 것이 좋다[입문].
황자계늑골(黃雌鷄肋骨)
어린이가 여위면서[小兒羸瘦] 먹어도 살이 찌지 않는 데 쓴다[본초].
계자(鷄子, 달걀)
성질이 평(平)하고 맛이 달다[甘]. 불에 데서 생긴 헌데[熱火瘡], 간질, 경병(痙病)을 치료하는데, 마음을 진정시키고 5장을 편안하게 한다. 안태(安胎)시키고 목이 쉰 것을 트이게 하며 임신부의 돌림열병[天行熱疾]도 치료한다[본초].
○ 생것을 휘저어서 약에 넣는다. 깨뜨려서 약간 익혀 먹으면 담이 덜리고[却痰] 성대가 부드러워진다[입문].
○ 달걀은 누런 암탉이 낳은 것이 좋은데 특히 살 검은 닭(烏鷄)의 알이 더 좋다[본초].
계자란백(鷄子卵白, 달걀 흰자위)
성질이 약간 차고[微寒] 맛이 달며[甘] 독이 없다. 눈이 달면서 피지고 아픈 것을 치료하는데 황달도 낫게 한다. 그리고 번열을 낫게 하고 명치 밑에 잠복된 열[心下伏熱]을 없애며 해산을 쉽게 하게 하고 태반을 잘 나오게 하며 기침이 나면서 기운이 치미는 것[咳逆]을 멈춘다[본초].
계자란황(鷄子卵黃, 달걀 노른자위)
오랜 학질과 옻이 올라 허는 것[漆瘡]과 이질을 치료한다[본초].
○ 음(陰)이 부족(不足)할 때 혈(血)을 보(補)하려면 달걀 노른자위( 子黃)를 써야 한다[탕액].
계자란중백피(鷄子卵中白皮, 달걀 속 흰 껍질)
오랜 기침으로 기운이 몰린 데 효과가 있다. 여기에 마황과 자원(紫菀)을 넣어 쓰면 곧 효과가 있다. 이것을 일명 봉황의(鳳凰衣)라고도 한다[본초].
계자란각(鷄子卵殼, 달걀 껍질)
가루내어 쓰는데 눈에 장예(障 )가 생긴 것을 삭힌다. 또한 상한노복(傷寒勞復)에도 쓴다[본초].
○ 닭고기에는 독이 약간 있으나 허약한 것을 보하는데 좋기 때문에 식사요법에 많이 쓴다. 그러나 풍이 있는 사람과 뼈에 열이 있는 사람[患骨熱人]은 적당치 않다. 대개 털빛이 붉은 닭고기의 기운은 심(心)으로 들어가고 털빛이 흰 닭고기의 기운은 폐(肺)로, 털빛이 검은 닭고기의 기운은 신(腎)으로, 털빛이 누런 닭고기의 기운은 비(脾)로 들어 가는데 어느 것이나 다 간(肝)으로 돌아서 간다[입문].
○ 닭은 손(巽)괘에 속하는데 간화(肝火)를 돕는다[단심].
2.안방雁肪,오리과 기러기 ANSER DOMESTIEA ALBIFRONS 의 기름이다.맛은 달고 성질은 평하다.풍으로 오그라들거나 땅기며 몸 한쪽을 쓰지 못하는 것을 치료하며 기가 잘 통하지 않는 것을 치료한다.오래 복용하면 기운을 더 하고 배고픔을 느끼지 않게 하며 몸을 가볍게 하고 노쇠현상을 견디게 한다.
안방(雁肪, 기러기기름)
성질이 평(平)하고(서늘하다[凉]고도 한다) 맛이 달며[甘] 독이 없다. 주로 풍비(風痺)로 저리고 켕기며 한쪽을 쓰지 못하는 것[攣急偏枯]과 기가 돌지 못하는 것을 치료한다. 그리고 머리털과 수염, 눈썹을 자라게 하고 힘줄과 뼈를 든든하게 한다[본초].
○ 고기를 먹으면 여러 가지 풍증이 낫는다[본초].
○ 기러기에는 기름이 원래 많지 않기 때문에 그 고기 채로 먹는 것이 좋다. 아무 때나 잡은 것도 먹지만 겨울에 잡은 것이 더 좋다[본초].
상품-충어부蟲魚部 10종
1.석밀石蜜-봉밀君, 꿀벌과 꿀벌 -中華중화밀봉APIS CERANA 의 꿀-봉밀,석청이다.맛은 달고 성질은 평하다.명치 밑의 사기를 없애고 여러가지 경간,질병을 치료하며 5장을 편안하게 하고 여러가지 부족증과 기운을 더하고 비위를 보한다.통증을 그치게 하고 해독하는 등 온갖 병을 치료한다.모든 약을 조화시킨다. 오래 복용하면 의지를 강하게 하고 몸을 가볍게 하며 배고픔을 느끼지 않게하고 노쇠현상을 늦춘다.내복시 물에 타서 0.3-1냥씩 먹거나 환제,고제로 만들어 쓴다.외용시 국소에 바른다.
2.봉자蜂子-밀봉자,맛은 달고 성질은 평하다.두풍을 치료하고 고독을 없애며 몸이 허하고 여윈것을 치료하며 비위가 상한 것을 치료한다.오래 복용하면 얼굴이 빛이나고 안색이 좋아지고 노쇠현상을 늦춘다.황금,작약,모려를 두려워 한다.내복시 볶거나 갈아서 복용한다.중화밀봉은 혈압강하,혈압이 하강할 때에는 혈압을 상승시킨다.혈당강하
대황봉자大黃蜂子, 말벌POLISTES MANDARINUS SSAUS의 새끼이다.명치 밑이 그득하고 아픈 것을 치료한다.내복시 달이거나 가루내어 복용한다.
토봉자土蜂子 땅벌 DISCOLIAVITTIFRONS 의 유충-새끼이다.옹종을 치료한다.황금,작약,모려를 꺼린다.내복시 볶아서 가루내어 0.5-1돈씩 복용한다.
3.밀랍蜜蠟,황납-밀이다.맛은 달고 성질은 미지근하다.주로 농혈을 누는 이질을 치료하고 비위를 보하고 다쳐서 끊어진 것,쇠붙이에 상한 것을 치료한다.기운을 더하고 배고픔을 느끼지 않게 하며 노쇠현상을 늦춘다.원화,제합-여러가지 조개를 꺼린다.내복시 1.5-3돈씩 용해시켜 복용한다.또는 환제로 먹는다.외용시 녹인 후 개어서 바른다.
백밀(白蜜, 꿀)
성질이 평(平)하고(약간 따뜻하다[微溫]고도 한다) 맛이 달며[甘] 독이 없다. 5장을 편안하게 하고 기를 도우며 비위를 보하고 아픈 것을 멎게 하며 독을 푼다[解]. 여러 가지 병을 낫게 하고 온갖 약을 조화시키며 비기(脾氣)를 보한다. 또한 이질을 멎게 하고 입이 헌것을 치료하며 귀와 눈을 밝게 한다.
○ 산 속의 바위 틈에 있는 것으로서 빛이 희고 기름 같은 것이 좋다. 일명 석밀(石蜜)이라고 하는 것도 있는데 그것은 벼랑에 있는 꿀을 말한다.
○ 산 속의 바위 틈이나 나무통 안에서 2-3년 묵은 것이라야 성질과 냄새, 맛이 좋다. 양봉한 꿀은 1년에 두번 뜨는데 자주 뜨면 성질과 맛이 좋지 못하다. 때문에 묵어서 허옇게 된 것이 좋다[본초].
○ 황랍은 새것을 쓰고 꿀은 묵은 것을 쓴다. 꿀은 반드시 다음과 같이 졸여야 한다. 불에 녹여서 하룻밤 종이를 덮어 두었다가 황랍이 종이 위에 다 올라붙은 다음 건져 버리고 다시 빛이 변하도록 졸여야 한다. 대체로 600g을 360g이 되게 졸이면 좋다. 지나치게 졸이면 안 된다[입문].
봉자(蜂子)
성질이 평(平)하고 맛이 달며[甘] 독이 없다.
○ 새끼벌이란 바로 꿀벌 새끼를 말한다. 꿀개 속에 있는데 번데기 같으면서 빛이 희고 크다. 황봉의 새끼(黃蜂子)란 바로 집이나 큰 나무 사이에 집을 짓고 있는 퉁벌(蛹蜂)을 말하는데 벌보다 크다. 땅벌의 새끼(土蜂子)란 바로 땅 속에서 사는 벌을 말하는데 생김새가 제일 크다. 새끼벌은 대가리와 발이 생기지 않은 것을 쓰는 것이 좋은데 소금에 볶아서[炒] 먹는다. 이것은 모두 성질이 서늘하고[凉] 독이 있는데 대소변이 나오게 하고 부인의 대하증을 치료한다[본초].
밀랍(蜜蠟)
성질이 약간 따뜻하고[微溫] 맛이 달며[甘] 독이 없다. 피고름이 나오는 이질과 쇠붙이에 상한 것을 치료하고 기를 보하며 배고프지 않게 하고 늙지 않게 한다.
○ 황랍(黃蠟)이란 바로 꿀개의 찌꺼기(密脾底)를 말한다. 처음 것은 향기가 있고 묽은데 여러 번 끓이면 굳어진다. 민간에서는 황랍이라고 한다[본초].
백랍(白蠟)/벌레부
성질이 평(平)하고 맛이 달며[甘] 독이 없다. 오랜 이질을 치료하고 부러진 것을 이어지게 한다.
○ 황랍을 얇게 깎아서 백일 정도 햇볕에 말리면 저절로 빛이 희어진다. 만일 빨리 쓰려면 녹여서 물 가운데 10여일 동안 넣어 두었다가 쓴다. 이와 같이 하여도 역시 빛이 희어진다[본초].
○ 또 한 가지 백밀은 전라도, 경상도와 제주도에서 나는데 이것은 수청목나무진(水靑木脂)을 말한다. 이것으로 초를 만들어 불을 켜면 대단히 밝다. 이것은 백랍이 아니다[속방].
4.모려牡蠣君,모려과 굴조개 -長장모려Ostrea gigas Thunb,近江근강모려O.RIVULARIS GOULD.,大連灣대련만모려O.TALIENWHANENSIS CROSSE 의 껍질이다.맛은 짜고 성질은 평하다.주로 상한,한열증,온학-상한으로 열이 아직 남아 있을 때 다시 한기를 받아 학질로 변한 것이다.먼저 열이 난 뒤에 춥다-으로 몸이 오싹오싹한 것,잘 놀라거나 성내는 증상몸이 오그라들거나 늘어지는 것,서루,적백대하를 치료한다.오래 복용하면 관절을 강하게 하며 사기를 없애고 수명을 연장시킨다. 패모를 사약으로 한다.감초,우슬,원지.사상을 배합하면 좋다.마황,오수유,신이를 두려워 한다.내복시 0.3-1냥을 달이거나 환제,산제로 복용한다.외용시 가루내어 뿌리거나 개어서 바르거나 가제에 묻혀 두드리며 바른다.
모려(牡蠣)
성질이 평(平)하고(약간 차다[微寒]고도 한다) 맛이 짜며[鹹] 독이 없다. 대소장을 조여들게 하고 대소변이 지나치게 나가는 것과 식은땀[盜汗]을 멎게 하며 유정, 몽설, 적백대하를 치료하며 온학을 낫게 한다.
○ 굴조개껍질은 굳은 것을 물러지게 하고 수렴작용하는 약제[收斂之劑]인데 약 기운은 족소음경(足少陰經)으로 들어간다[총록].
○ 동해에 있는데 아무 때나 잡는다. 음력 2월에 잡은 것이 좋다. 배쪽의 껍질을 남쪽으로 향하게 들고 보았을 때 주둥이가 동쪽으로 돌아가 있는 것을 좌고모려(左顧牡蠣)라고 한다. 혹 대가리가 뾰족한 것을 좌고모려라고도 하는데 이것을 약으로 쓴다. 대체로 큰 것이 좋다.
○ 먼저 소금물에 2시간 정도 끓인 다음 불에 구워 가루내어 쓴다[총록].
모려육(牡蠣肉)
먹으면 맛이 좋은데 몸에 아주 좋다. 또한 살결을 곱게 하고 얼굴빛을 좋아지게 하는데 바다에서 나는 식료품 가운데서 가장 좋은 것이다[총록].
5.귀갑龜甲-귀판龜板,거북이과 남생이 CHINEMYS REEVSII의 등딱지이다.맛은 짜고 성질은 평하다.주로 적백루하를 치료하며 징가를 삮힌다.해학[여러가지 학질],5가지 치질,음식창,습비로 팔다리가 무겁고 약해진 것,소아의 숫구멍이 아물지 않은 증상을 치료한다.오래 복용하면 몸을 가볍게 하고 배고픔을 느끼지 않는다.사삼,비렴을 꺼린다.내복시 11.1-29.6그램을 달이거나 바짝 졸여서 고膏로 만들거나 환제,산제로 복용한다.외용시 태운 재를 가루내어 바른다.
귀갑(龜甲, 남생이 등딱지)
성질이 평(平)하고 맛이 짜면서 달고[鹹甘] 독이 있다(독이 없다고도 한다). 적백대하를 치료하고 징가를 헤치며[破癥瘕] 학질과 5가지 치질, 음식창과 습비로 다리가 늘어지고 약해진 것을 치료한다[본초].
○ 징가를 헤치고 대하를 멎게 하며 학질과 노복(勞復)을 치료한다[의감].
○ 일명 신옥(神屋)이라고도 하는데 강과 호수에서 산다. 아무 때나 잡아서 써도 좋다. 누기가 차지 않게 해야 한다. 누기가 차면 독이 생긴다[본초].
○ 남생이 배딱지는 산 채로 벗긴 것이 제일 좋은데 졸인 젖[酥]을 발라 굽거나 술에 담갔다가 구워서 쓴다[입문].
귀판(龜板,남생이 배딱지)
성질과 맛을 남생이 등딱지와 같다.
○ 등딱지는 귀갑이라고 하고 배딱지는 귀판이라고 한다. 이것은 다음이 허하거나 식적(食積)으로 열이 나는 것을 치료한다[입문].
○ 남생이 배딱지는 음을 보하고 뼈가 이어지게[續] 하며 어혈을 몰아낸다[의감].
○ 배 밑에 송곳으로 구멍 열 개를 뚫을 수 있는 것이 패구(敗龜)인데 혈증으로 마비된 것을 치료한다. 의학책에는 패구가 많이 씌어 있는데 이것은 송곳으로 지져서 구멍을 많이 뚫은 것을 쓴다는 말이다. 이것을 누천기(漏天機)라고 한다[본초].
○ 남생이는 음(陰)가운데서 음이 많은 동물인데 북쪽의 기운을 받아서 생긴 것이기 때문에 음을 세게 보한다[단심].
귀육(龜肉)
성질이 따뜻하고[溫] 맛이 시다[酸]. 습장(濕 ), 풍비(風痺)로 다리를 잘 쓰지 못하는 것을 치료한다. 먹는 방법은 자라와 같다.
○ 음력 12월에는 남생이의 고기를 먹지 말아야 한다. 먹으면 몸에 몹시 나쁘다. 경솔하게 죽이지도 말아야 한다[본초].
6.상비蜱초-상표초桑螵鞘臣,사마귀과 뽕나무에 붙은 사마귀-大刀螂 PARATENODERA SINENSIS SAUSSUURE,小刀소도랑STATILIA MACULATA THUNB,薄翅螳랑MANTIS RELIGIOSA L.,巨斧당랑,화북도랑,의 알집-卵鞘이다.맛은 짜고 성질은 평하다.주로 비위와 중초가 상한 것,산가,음위증을 치료하고 정을 보하여 자식을 낳게 한다.여자의 월경이 중단된 것,요통을 치료하고 오림五淋도 치료하고 소변이 잘 나오게 하고 수도에 이롭다.선복화를 두려워 한다.내복시 1.5-3돈을 달이거나 환제,산제로 복용한다.혈당강하
상표초(사마귀알집)
성질이 평(平)하고 맛이 짜면서 달며[鹹甘] 독이 없다. 남자가 신기(腎氣)가 쇠약하여 몽설과 유정이 있거나 오줌이 술술 자주 나오는 것, 오줌이 나오는 줄 모르는 것 등을 치료한다.
○ 일명 식우당랑자(蝕羽螳螂子)라고도 한다. 뽕나무에 붙어서 사는데 음력 2-3월에 따서 찌거나 불에 구워서 쓴다. 그렇지 않으면 설사한다.
○ 뽕나무의 것이 좋은데 그것은 뽕나무껍질(桑皮)의 진기(津氣)까지 겸하고 있기 때문이다. 약간 쪄서 쓴다[본초].
7.해합海蛤-해합각殼臣,참조개과 靑蛤청합-가무라기 CTCLINA SINENSIS(GMELIN) 의 패각-조개껍질이다.맛은 쓰고 성질은 평하다.주로 기침으로 기가 치밀어 오르는 것,천식,속이 그득하면서 답답한 것,가슴이 아픈 것,寒熱열독을 치료한다.촉칠을 사약으로 쓰며 구담을 두려워 한다.촉칠을 사약으로 하고 구담,감수,원화를 꺼린다.내복시 2-4돈을 달이거나 환제 ,산제로 복용한다.
8.문합文蛤,참조개과 대합 MERETRIX MERETRIX L.의 조개껍질이다.맛은 짜고 성질은 평하다.악창이 속으로 파먹어 들어가는 증상[御覽,여러가지陰蝕을 제거한다.],5가지 치질[御覽,大孔出血(항문출혈)]을 치료한다.내복시 2-4돈을 달이거나 산제로 복용한다.외용시 가루내어 붙인다.
문합/해합(文蛤海蛤)
동해에서 나며 큰데 참깨모양으로 생겼다. 자줏빛의 무늬가 달아서 없어지지 않는 것은 문합이다. 무늬가 달아 없어지는 것은 해합이다. 이 2가지는 같은 종류이며 주로 치료하는 병도 같다[입문].
9.여어蠡魚-鱧魚예어,가물치과 가물치-烏鱧오례OPHICEPHALAU ARGNS CANTOR이다.맛은 달고 성질은 차다.주로 습비,얼굴과 눈이 붓는 것을 치료하고 下大水수기를 내린다-잘 뺀다.내복시 끓여서 복용하거나 불에 충분히 구워서 복용한다.
여어(蠡魚, 가물치)
성질이 차고[寒] 맛이 달며[甘] 독은 없다. 부은 것을 내리고 오줌이 잘 나가게 하며 5가지 치질을 치료한다. 헌데가 생겼을 때에는 먹지 말아야 한다. 그것은 헌데 아문 자리가 허옇게 되기 때문이다.
○ 일명 예어(鱧魚)라고도 하는데 어느 못에나 다 있다. 이것은 뱀의 변종[變]이므로 잘 죽지 않는다. 그것은 뱀의 성질이 아직 남아 있기 때문이다[본초].
○ 나병(癩病)을 다스리니 이것으로 화사(花蛇)를 대신 쓰면 또한 풍을 제거한다[단심].
○ 일명 동어(鮦魚)라고도 한다. 빛은 검고 비늘은 없으며 대가리에 별 같은 점이 있는데 이것을 수염(水厭)이라고 한다[일용].
여장(蠡腸)
5가지 치질에 익도록 구워서 항문에 넣으면 벌레가 나온다[본초].
여담(蠡膽)
급한 후비증(喉痺證)에 바르면 곧 낫는다. 모든 물고기 가운데서 이 열[膽]만이 맛이 달기 때문에 먹을 수 있다[본초].
10.이어담鯉魚膽,이어과 잉어 CYPRINUS CARPIO 의 담이다.맛은 쓰고 성질은 차다.주로 눈에 열기가 있고 피가 지면서 아픈 것,청맹과니를 치료하고 눈을 밝힌다.오래 복용하면 강하고 날래게 하며 의지의 기를 더한다.내복시 환제로 복용한다.외용시 즙을 점안하거나 바른다.
이어담(鯉魚膽, 잉어쓸개)
성질이 차고[寒] 맛이 쓰며[苦] 독은 없다. 청맹과니[靑盲]를 낫게 하고 눈을 밝게 한다. 눈에 열이 있어 피가 지면서[赤] 아픈 것과 귀머거리를 치료한다.
○ 눈에 넣으면 피가 지고 부었던 것과 예막[翳膜]이 생겨서 아프던 것이 낫는다. 장예(障瞖)도 낫게 한다[본초].
이육(鯉肉)
성질이 차고[寒](평(平)하다고도 한다) 맛이 달고[甘] 독은 없다(독이 있다고도 한다). 이것은 황달, 소갈, 수종병(水腫病), 각기병 등에 쓰며 기를 내리고 냉기와 현벽(痃癖)을 헤친다[破]. 또한 태동과 임신부가 몸이 붓는 것을 치료하는 데 안태(安胎)시킨다.
○ 잉어는 아주 좋은 물고기인데 생김새가 귀엽고 빛은 자주 변한다. 등심에는 비늘이 있는데 대가리에서부터 꼬리까지 36개나 된다. 이것은 수(數)가 왕성하기 때문이다.
○ 강이나 호수, 못에 사는데 물고기 가운데서 제일 맛있다.
○ 손질할 때에는 독이 있는 2개의 힘줄과 검은 피를 버려야 한다[본초].
이뇌수(鯉腦髓)
갑자기 귀머거리가 된 데 죽을 쑤어서 먹는다[본초].
이치(鯉齒)
석림(石淋)을 치료하는데 태워서 가루내어 술에 타 먹는다[본초].
이목(鯉目)
태워 가루내서 헌데에 붙인다[본초].
○ 눈알은 살에 가시가 박혀서 빠지지 않는 데와 여러 가지 헌데에 풍사와 물독[水毒]이 들어가서 붓고 아픈 데 쓰는데 태워 가루내어 넣으면 곧 낫는다. 모든 물고기의 눈알은 다 좋다[입문].
이골(鯉骨)
여자의 적백대하[帶下赤白]와 음식창(陰蝕瘡)에 쓴다[본초].
이장(鯉腸)
어린이의 피부와 배에 헌데가 생긴 것을 치료한다[본초].
이인피(鯉鱗皮)
몸푼 뒤에 생긴 어혈을 헤치고 두드러기를 낫게 하는데 태워 가루내서 술에 타 먹는다[본초].
이혈(鯉血)
어린이에게 단독이 생겨서 부은 것과 헌데를 낫게 하는 데 바르면 곧 낫는다[본초].
중품-수부獸部 7종
1.백마경白馬莖-백마음경,말과 흰말 equus caballus 의 음경이다.맛은 짜고 성질은 평하다.주로 비위가 상한 것,맥절-맥이 중단되는 것 또는 맥이 약하게 뛰어서 잘 짚이지 않는 것,음위증을 치료한다.의지를 강하게 하며 기운이 나게한다.살찌게하고 건장하게 하여 자식을 낳게한다.
백마眼,경간,배가 그득한 것,학질을 치료한다.말을 죽여서 빼낸다.내복시 환제를 만들어 사용한다.
백마懸蹄,흰말의 며느리발톱이다.주로 경사,계종-갑자기 발작적으로 힘줄이 오그라들거나 뻣뻣해지거나 늘어져 움직이지 못하는 증상이 엇바꿔 나타나는 병,젖이 잘 나오지않는 것,악기-육음과 역려지기,귀독,고주가 상서롭지 않은 것을 치료한다.
백마경(白馬莖)
성질이 평(平)하고 맛이 짜면서[鹹] 달고[甘] 독이 없다. 남자의 음위증(陰 證)을 치료하는데 의지를 강하게 하고 정(精)을 도우며 살찌게 하고 든든해지게 하며 아이를 낳게 한다[본초].
○ 병이 없고 살찌고 어리며 몸통이 은빛 같은 말이라야 하는데 봄의 것이 좋다. 백일 동안 그늘에 말려서 쓴다[본초].
○ 구리칼로 7조각을 내어 양의 피에 버무린 다음 한나절 동안 쪄서 햇볕에 말려 썰어 쓴다[본초].
○ 약에 넣는 데는 흰 것이 좋다. 그것은 금(金)이 자기의 빛깔[正色]을 가지는 것으로 되기 때문이다[입문].
백마육(白馬肉)
성질이 서늘하고[冷] 맛이 매우면서[辛] 쓰고 독이 약간 있다(독이 많다고도 한다).
○ 힘줄과 뼈[筋骨]를 자라게 하고 허리와 등뼈[腰脊]를 든든하게 하며 몸이 건강해지게 한다[본초].
○ 물에 담가 3-5번 씻어서 피를 다 뺀 다음 푹 무르게 끓여서 먹는다[본초].
○ 말고기를 먹고 중독되어 속이 답답할 때[心悶]에는 좋은 술을 마셔야 곧 풀린다. 어떤 책에는 청주(淸酒)를 마시면 풀리나 탁주(濁酒)를 마시면 더 심해진다고 씌어 있다[본초].
○ 저절로 죽은 말고기는 먹지 말아야 한다. 만약 먹으면 정창( 瘡)이 생긴다[본초].
백마심(白馬心)
잊어버리기 잘 하는 것[健忘]을 치료한다[본초].
백마폐(白馬肺)
춥다가 열이 나는 것[寒惡]을 치료한다[본초].
백마간(白馬肝)
독(毒)이 있기 때문에 먹으면 죽는다[본초].
적마피(赤馬皮)
해산하려고 할 때 펴놓고 그 위에 임신부를 앉히면 쉽게 해산한다[본초].
백마지(白馬脂)
백독창(白禿瘡)을 치료한다[본초].
기두고(鬐와 頭膏, 기와 두고)
머리털을 나오게 한다[본초].
두골(頭骨, 말대가리뼈)
성질이 약간 차다. 머리와 귀에 생긴 헌데[腫瘡]를 낫게 한다. 이것으로 베개를 만들어 베면 졸리지 않는다[본초].
경골(脛骨, 말정강이뼈)
성질이 차고 맛이 달다. 음(陰)을 보(補)하고 화(火)를 사(瀉)하므로 속썩은풀(황금)이나 황련 대신 쓸 수 있다[입문].
치(齒, 말이빨)
정종(丁腫)과 어린이 경간(驚癎)을 치료한다[본초].
안(眼, 말눈알)
경간과 학질, 어린이의 아우타는 병을 치료한다[본초].
현제(懸蹄, 말발굽)
성질이 열(熱)하고 맛이 달며[甘] 독이 없다. 온학(溫 )을 낫게 한다.
○ 흰 말의 발굽은 부인의 백대하에 쓰고 붉은 말의 발굽은 부인의 적대하에 쓴다[본초].
현제(懸蹄, 말무릎 안쪽의 털이 없는 곳의 살)
성질이 평(平)하다.
○ 경간과 젖이 잘 나오지 않는 것을 치료하며 악기(惡氣), 귀독(鬼毒), 고주(蠱疰), 좋지 못한 기운을 피하게 한다. 또한 충치에도 쓰고 코피도 멎게 한다. 민간에서는 이것을 마야안(馬夜眼, 말의 앞종아리 안쪽에 있는 티눈 같은 것)이라고 한다[본초].
기모(鬐毛, 말갈기털)
적백대하를 치료한다[본초].
종모(鬃毛, 말의 정수리갈기털)
피를 멎게 한다. 또한 악창에도 붙인다[본초].
2.녹용鹿茸君,사슴과 사슴-梅花鹿CERVUS NIPPON TEMMINCK 또는 馬鹿C.ELAPHUS L.의 미골화未骨化된 뿔이다.맛은 달고 성질은 따뜻하다.주로 누하,궂은피-惡血,오한이 나면서 열이 나는 것,경간 등을 치료하고 기를 더하며 의지를 강하게 한다.이빨이 나게하며 노쇠현상을 늦춘다.麻勃마발-마분-삼꽃가루을 사약으로 한다.1.11-2.96그램을 가루내어 복용하거나 산제,환제로 복용한다.또는 술에 담가 먹어도 좋다.혈압을 올린다.
녹각鹿角,사슴의 골화骨化한 노각老角이다.주로 악창,옹종을 치료하고 사기와 악기를 몰아내고 음부에 어혈이 있는 것을 치료한다.두중을 사약으로 한다.내복시 5.55-11.1그램을 달여서 복용한다.혹은 환제,산제로 복용한다.외용시 갈은 즙을 바르거나 또는 가루내어 개어서 바른다.
녹용(鹿茸)
성질이 따뜻하고[溫] 맛이 달면서[甘] 시고[酸](쓰면서[苦] 맵다[辛]고도 한다) 독이 없다. 허로로 몸이 여위는 것[虛勞羸瘦]과 팔다리와 허리, 등뼈가 시글고 아픈 것을 치료하며 남자가 신기(腎氣)가 허랭(虛冷)하고 다리와 무릎에 힘이 없는 것을 보한다. 또한 몽설과 붕루, 적백대하를 치료하며 안태(安胎)시킨다[본초].
○ 음력 5월에 뿔이 갓 돋아서 굳어지지 않은 것을 잘라 불에 그슬려서 쓰는데 생김새가 작은 가지처럼 되지 않은 것이 제일 좋다. 가지처럼 된 녹용은 매우 연하고 혈기(血氣)가 온전하지 못하여 말안장처럼 가닥이 난 것보다도 약 기운이 못하다고도 한다[본초].
○ 졸인 젖을 발라 불에 그슬려 솜털을 없애고 약간 구워서 약으로 쓴다[본초].
○ 코로 냄새를 맡지 말아야 한다. 그것은 녹용 가운데 작은 벌레가 있어서 해롭기 때문이다[본초].
녹각(鹿角)
성질이 따뜻하고[溫] 맛이 짜며[鹹] 독이 없다. 옹저, 창종(瘡腫)을 치료하며 궂은 피[惡血], 중악과 주병으로 가슴과 배가 아픈 것과 뼈가 부러져서 생긴 상처[折傷], 허리나 등뼈가 아픈 것[腰脊痛]을 치료한다[본초].
○ 동지에 양기가 처음 생길 때 뿔이 떨어지고 하지에 음기가 처음 생길 때 사슴의 뿔(鹿角)이 떨어진다. 음기와 양기가 바뀜에 따라 각각 이렇게 떨어지는데 최근 사람들은 아무 것이나 약에 쓰니 아주 경솔한 행동이다. 누렁이뿔과 사슴의 뿔이 돋기 시작한 때부터 완전히 굳어질 때까지의 기간은 2달도 걸리지 않는다. 그 동안에 큰 것은 12kg이나 되며 굳기가 돌같다. 하룻밤낮 동안에 몇십 그램씩 자란다. 뼈 가운데서 이것보다 빨리 자라는 것은 없다. 풀이나 나무가 잘 자란다고 하여도 이것을 따르지 못한다. 그러니 어찌 다른 뼈나 피에 비할 수 있겠는가[본초].
○ 약으로는 저절로 떨어진 것을 쓰지 않는다[본초].
○ 식초에 달여서 썰어 쓰거나 누렇게 되도록 구워 쓰거나 태워 가루내어 쓴다[입문].
녹골(鹿骨)
성질이 약간 열하고[微熱](따뜻하다[溫]고도 한다) 맛이 달며 독이 없는데 허로를 치료한다. 이것으로 만든 술은 허(虛)한 것을 보(補)하고 풍증을 낫게 한다. 또한 태아를 안정시키고 기를 내리며 헛것[鬼精物]을 없앤다[본초].
녹수(鹿髓)
성질이 따뜻하고[溫] 맛이 달며[甘] 독이 없다. 남자나 여자가 내장이 상하여 맥이 끊어지고 힘줄과 뼈[筋骨]가 약하며 팔다리를 가누지 못하는 것[四肢不收]을 치료한다. 양기(陽氣)를 세지게 하고 아이를 낳게 한다. 술에 타서 먹는다.
○ 사슴의 골수로는 술을 만들 수 있다[본초].
녹혈(鹿血)
허(虛)한 것을 보(補)하고 허리가 아픈 것을 멎게 하며 폐위(肺 )로 피를 토하는 것[吐血]과 붕루와 대하를 치료한다.
○ 어떤 사람이 사냥을 갔다가 길을 잃었는데 배가 고프고 목이 말랐다. 그리하여 사슴을 잡아 피를 마셨는데 배가 고프고 목이 마르던 것이 곧 없어지고 기혈은 평상시보다 든든해졌다고 한다. 다른 사람이 이것을 알고 사슴의 양쪽 뿔 사이를 찔러서 피를 내어 술에 타서 마셨는데 더 좋았다고 한다[본초].
녹육(鹿肉)
성질이 따뜻하고[溫] 맛이 달며[甘] 독이 없다. 허해서 여윈 것을 보하고 5장(五臟)을 든든하게 하며 기력(氣力)을 돕고 혈맥(血脈)을 고르게 한다[본초].
○ 산짐승 가운데서 노루(獐)와 사슴의 고기를 생것으로 먹을 수 있는데 먹어도 노리지도 비리지도 않다. 또한 12지와 8괘에 속하지도 않는다. 또한 사람에게 유익하기만 하고 생명에는 아무런 해로움이 없다. 그러므로 양생하는 사람들[道家]도 말려서 먹는 것을 허락하였다. 그밖에 소, 양, 개, 닭고기도 원기를 보하고 살과 피부를 든든하게 하지만 후에 나쁘기 때문에 적게 먹어야 한다[본초].
○ 제사할 때 사슴의 고기를 쓰는 것은 그것이 특별히 깨끗하기 때문이다[본초].
○ 사람을 보하는 데는 사슴의 몸통 전체가 산짐승 가운데서 제일 좋은 것이다. 고기를 말리거나 삶거나 쪄서 술과 함께 먹는다. 그러나 약을 먹을 때에는 먹지 말아야 한다. 그것은 사슴이 늘 독풀이하는 풀[解毒草]을 먹으므로 약 효과가 적어지게 하기 때문이다[입문].
녹두(鹿頭)
소갈과 밤에 꿈이 많은 것을 치료하는데 대가리고기를 먹는다[본초].
녹신(鹿腎)
성질은 평(平)하다. 신(腎)을 보(補)하고 양기(陽氣)를 세지게 한다[본초].
녹제(鹿蹄)
발굽고기는 주로 다리와 무릎이 시글고 아픈 것[脚膝痠疼]을 치료한다[본초].
녹근(鹿筋)
허로손상에 쓰는데 부러진 것을 이어지게 한다[본초].
3.우각새牛角鰓臣,소과 黃황우-누런소 또는 水牛수우-물소의 소뿔속의 뼈-屑質-角髓이다.주로 하초에 피가 막힌 것,어혈로 아픈 것,대하,하혈하는 것을 치료한다.내복시 1-3돈을 달이거나 산제로 하여 쓴다.
우수牛髓,소골수,쇠뼈속의 기름이다.비위를 보하고 골수를 충실하게 한다.오래 복용하면 수명을 연장한다.내복시 달이거나 고아서 고로 만즐어 복용한다.외용시 바른다.
우담牛膽君,환약으로 만들 수 있다.맛은 쓰고 성질은 몹시 차다.명치밑에 열이 있으면서 갈증이 나는 것,입이 몹시 마른 것 등을 치료하는데 눈의 정기가 있게 한다.내복시 마른 가루 1-3푼을 복용하거나 산제,환제에 넣는다.외용시 즙을 조합하여 바르거나 눈안에 넣는다.담즙분비
우각새(牛角鰓)
성질이 삽(澁)하고 맛은 맛이 달면서[甘] 쓰고[苦] 독이 없다. 혈붕(血崩)과 적백대하를 멈추며 장풍(腸風)으로 피를 쏟는 것과 혈리(血痢)를 치료한다.
○ 약성이 남게 태워 쓴다[본초].
우골
성질이 따뜻하고 무독하니 일체의 실혈과 여러 가지 질병을 다스리며 燒存成(약성이 남게 태워서)하여 쓴다.
우담(牛膽)
성질이 몹시 차고[大寒] 맛이 쓰며[苦] 독이 없다. 눈을 밝게 하고 소갈을 멎게 한다[본초].
4.고양각羖羊角,소과 수양 SAIGA TATARICA ,산양C.HIRCUS L.,숫 면양OVIS ARIES L.의 뿔이다.맛은 짜고 성질은 따뜻하다.주로 청맹과니를 치료하고 눈을 밝게하며 옴벌레를 죽인다.한설을 멈추고 경계증을 낫게 한다.토사자를 사약으로 한다.내복시 3.7-7.4그램을 달여서 복용하거나 혹은 약성이 남게 태운 다음 갈아서 가루로 만들어 먹는다.외용시 태운 다음 달아서 가루로 만들어 개어서 바른다.
고양각(股羊角, 숫양의 뿔)
성질이 따뜻하고[溫](약간 차다[微寒]고도 한다) 맛이 짜며[鹹] 독이 없다. 청맹(靑盲)을 치료하는데 눈이 밝아지게 한다. 놀란 것처럼 가슴이 두근거리는 것[驚悸]을 멎게 하며 헛것[鬼魅]에 들린 병을 낫게 하고 범과 승냥이가 물러가게 하고 자궁출혈과 궂은 피가 나오는 것을 낫게 한다. 그리고 풍증도 치료하는데 열을 내린다[본초].
○ 이것이 바로 숫양의 뿔(牡羊角)인데 퍼런 숫양의 뿔이 좋다. 아무때나 잘라서 쓰는데 습기를 받지 않게 해야 한다. 습기를 받으면 독이 생긴다[본초].
고양두(股羊頭)
성질이 서늘하다[凉](평(平)하다고도 한다). 골증(骨蒸)과 뇌열(腦熱), 풍현(風眩)과 전간[癲疾]을 치료하는데 허손된 것을 보하고 마음을 안정시키며 놀라는 증을 멎게 한다. 어린이의 경간[小兒驚癎]도 치료한다.
○ 열병 후에 양의 대가리고기(羊頭肉)를 먹으면 좋다. 냉병(冷病)환자는 먹지 말아야 한다[본초].
고양육(股羊肉)
성질이 몹시 열하고[大熱] (따뜻하다[溫]고도 한다) 맛이 달며[甘] 독이 없다. 허로(虛勞)와 한랭증(寒冷證)을 치료하는데 중초를 보하고 기를 도와주며[補中益氣] 마음을 안정시키고 놀라는 증을 멎게 하며 음식맛이 나게 하고[開胃] 몸을 건강해지게 한다[본초].
○ 숫양의 이빨과 뼈, 5장은 다 성질이 따뜻하고[溫] 평(平)하기 때문에 병을 낫게 할 수 있으나 고기는 성질이 몹시 열하기[大熱] 때문에 열병을 앓고 난 지 백일 이내에 먹으면 다시 열이 나게 된다. 학질을 앓을 때 먹으면 열이 나고 몹시 피곤해져서 죽을 수도 있다[본초].
고양간(股羊肝)
성질이 서늘하다[冷]. 간풍(肝風)과 눈이 피지고[目赤] 잘 보이지 않으면서 아픈 것[暗痺]을 치료하는데 잘 보이게 한다[본초].
고양담(股羊膽)
성질이 평(平)하다. 청맹(靑盲)을 치료하는데 눈이 밝아지게 한다. 눈에 넣으면 적장(赤障)과 흰막[白膜]이 없어진다[본초].
○ 퍼런 양(靑羊)의 담즙이 좋다[본초].
고양심(股羊心)
심(心)을 보(補)하는데 몹시 근심하거나 성을 내서 기가 막힌 것[憂恚膈氣]을 낫게 한다. 구멍이 뚫린 염통을 먹으면 죽을 수 있기 때문에 먹지 말아야 한다[본초].
고양위(股羊胃)
허하고 여윈 것[虛羸]을 낫게 하고 위(胃)가 허손(虛損)된 것을 보하며 오줌이 잦은 것을 멎게 하고 기(氣)를 보(補)한다[본초].
고양신(股羊腎)
신기(腎氣)와 정수(精髓)를 보하고 허손된 것과 귀머거리[耳聾]와 식은땀[盜汗]이 나는 것을 낫게 하며 양기(陽氣)를 세지게 한다. 또한 위(胃)를 보하고 오줌이 자주 나오는 것을 멎게 한다[본초].
○ 양의 5장은 사람의 5장을 보한다[본초].
고양수(股羊髓)
성질이 따뜻하고[溫] 맛이 달며[甘] 독이 없는데 혈맥(血脈)을 좋게 하고 경맥의 기운[經氣]을 보한다. 술로 먹는다[본초].
고양지股(羊脂)
유풍(遊風)과 주근깨[黑䵟]를 치료한다[본초].
고양혈(股羊血)
산후혈훈(産後血暈), 중풍, 혈민(血悶)에 쓰는데 1되를 마시면 낫는다[본초].
고양골(股羊骨)
성질이 열(熱)하다. 허한증(虛寒)과 여위는 것을 치료한다. 본래부터 열이 있는 사람은 먹지 말아야 한다[본초].
고양척골(股羊脊骨)
신이 차서 허리가 아픈 것[腎冷腰痛]을 치료한다. 짓찧어 푹 삶아서 마늘양념을 하여 먹거나 빈속에 술로 먹는다[입문].
고양경골(股羊脛骨)
이빨이 아픈 것을 치료한다. 불에 구워 가루내어 소금과 섞어 아침마다 이빨을 닦는다[입문].
고양치(股羊齒)
어린이의 양간(羊癎)을 치료하는데 음력 3월에 뽑아 두었다가 쓴다[본초].
고양피(股羊皮)
허(虛)한 것을 보(補)하고 모든 풍증을 없앤다. 털을 없애고 곰국을 끓여서 먹는다[본초].
5.모구음경牡狗陰莖,수개CANIS FAMILIARIS L.의 음경이다.맛은 짜고 성질은 평하다.주로 비위가 상한 것을 치료하고 음위증을 치료하여 일어나게 하고 강하고 뜨겁고 크게 한다.또한 자식을 낳게 한다.여자의 12가지 대하증을 치료한다.5.55-11.1그램을 달여서 먹는다.
구담狗膽,개의 쓸개이다.눈을 밝게한다.내복시 환으로 복용한다.외용시 바르거나 짓찧은 즙을 눈에 떨구어 넣는다.
모구음경(牡狗陰莖, 수캐의 음경)
성질이 평(平)하고 맛이 짜며[鹹] 독이 없다. 5장이 상하여 양기가 극도로 쇠약해져서 음경이 일어나지 않는 것[陰萎不起]을 치료하는데 음경이 힘이 있게 하고 덥게 하며 커지게 한다. 그리고 아이를 낳을 수 있게 한다. 또한 여자의 12가지 대하(帶下)를 치료한다[본초].
○ 일명 구정(狗精)이라고도 한다. 음력 6월 초복날 구하여 백일 동안 그늘에서 말려 쓴다[본초].
모구육(牡狗肉)
성질이 따뜻하고[溫](덥다[煖]고도 한다) 맛이 짜면서[鹹] 시고[酸] 독이 없다(독이 있다고도 한다). 5장을 편안하게 하고 5로 7상(五勞七傷)때 보하며 혈맥(血脈)이 잘 통하게 하고 장위(腸胃)를 든든하게 한다. 또한 골수(骨髓)가 가득차게 하고 허리와 무릎을 더워지게 하며 음경이 일어서게 하고 기력을 돕는다[본초].
○ 누렁수캐가 제일 좋고 흰개와 검정개는 이보다 좀 못하다.
○ 피를 뽑아 버리고 먹는 것은 도리어 이롭지 못하다.
○ 살찐 개의 피는 맛이 좋은데 어째서 버리겠는가. 피를 버리고 쓰면 효과도 없다[본초].
○ 봄철이 눈이 벌겋게 되고 코가 마르면서 미친 것같이 된 개의 고기는 먹지 못한다[본초].
모구혈(牡狗血)
성질이 따뜻하고[溫] 맛이 짜며[鹹] 독이 없다.
○ 흰개(白狗)의 피는 전간[癲疾]과 난산(難産)에 효과가 있다.
○ 검정개(黑狗)의 피는 난산과 횡산(橫産)에 쓰는데 더운 것을 먹어야 좋다[본초].
모구두골(牡狗頭骨)
성질이 평(平)하다. 오랜 이질[久痢], 허로로 생긴 이질[勞痢], 붕루[崩中], 대하(帶下), 혈리(血痢), 쇠붙이에 상한 것[金瘡]을 치료하는데 피가 나오는 것을 멎게 한다. 누렁개의 대가리뼈를 태워 가루내서 먹는다.
○ 흰개의 뼈는 누공이 생기는 헌데[瘡瘻]와 젖앓이[妬乳], 옹종에 쓰는데 태워 가루내서 먹는다[본초].
모구뇌(牡狗腦)
음부에 생긴 익창( 瘡)과 콧속에 군살이 생긴 것[息肉]을 치료한다[본초].
모구유즙(牡狗乳汁)
10년이 된 청맹과니[靑盲]를 치료하는데 흰개의 젖을 눈에 넣는다[본초].
모구치(牡狗齒)
성질이 평(平)하다. 전간(癲癎)과 어린이의 객오(客 )를 치료하는데 태워 가루내서 쓴다[본초].
모구심(牡狗心)
몹시 근심하고 성을 내서 기운이 치밀어 오르는 것과 미친 개한테 물린 것을 치료한다[본초].
모구신(牡狗腎)
산후에 신로(腎勞)가 생겨서 학질처럼 앓는 것을 치료한다. 또한 신이 허랭(虛冷)한 것을 낫게 한다[본초].
모구간(牡狗肝)
각기로 가슴이 치미는 것[脚氣攻心]을 치료한다[본초].
모구담(牡狗膽)
성질이 평(平)하고 맛이 쓰며[苦] 독이 약간 있다. 눈을 밝아지게 하고 눈에 고름이나 진물이 생긴 것을 없앤다. 또한 장 속에 고름물이 생긴 것도 없앤다. 코가 막히거나 군살이 돋은 것, 딱지가 생기는 헌데[痂瘍]와 악창을 치료한다. 또한 얻어 맞거나 쇠붙이게 상하여 어혈이 진 것[久陳瘀血]을 낫게 한다.
○ 초복날에 구하여 따끈한 술에 타 먹으면 오랜 어혈도 다 없어진다[본초].
모구사각제(牡狗四脚蹄)
성질이 평(平)한데 달여서 먹으면 젖이 잘 나온다[본초].
구보(狗寶, 狗黃)
구담(狗膽) 속에 생긴 누런 것을 구보라고 한다. 폐경(肺經)에 풍독(風毒)과 담화(痰火)가 있는 것과 옹저와 악창을 치료한다. 달을 보고 미친 것같이 짖는 개한테는 반드시 구보가 있다. 자기가 직접 구한 것이 진짜이다. 마른 두부에 구멍을 뚫고 거기에 구보를 넣은 다음 꼭 막아서 한나절 동안 끓여 가루내서 쓴다[입문].
○ 구보는 느리먹은 개뱃속[癩狗腹中]에 있다[단심].
6.양각령羊角麢=羚羊角영양각臣,소과 산양-塞加羚羊새가영양-高鼻고비영양 saiga tatarice 의 뿔이다.맛은 짜고 성질은 짜다.주로 눈을 밝게하며 기를 더하고 양기를 세게하며-성욕을 세게하고 악혈-궂은피와 고독,악귀등을 없애며 이질을 치료하고 마음을 안정시켜 가위눌리지 않게 한다.내복시 3-5푼을 갈아서 즙을 복용한다.또는 0.5-1돈을 달여서 복용한다.새가영양의 뿔은 혈압을 내린다.
영양각(羚羊角)
중풍으로 힘줄이 가드라드는 것[中風筋攣], 열독풍(熱毒風)이 치미는 것과 중악으로 정신이 혼미한 것을 치료하는데 마음을 안정시키고 놀란 것처럼 가슴이 두근거리는 것[驚悸]을 멎게 한다. 그리고 언제나 가위에 눌리지 않게 하고 눈을 밝게 하며 고독(蠱毒)과 악귀(惡鬼)를 없애고 열독리(熱毒痢)와 혈리(血痢)를 낫게 한다[본초].
○ 이 뿔은 마디가 많고 쭈굴쭈굴한 테두리가 많으며 사람 손가락만큼 가늘고 길이는 4-5치 정도 된다. 쭈굴쭈굴한 테두리가 가는 것일수록 좋은데 아무 때나 잘라서 쓴다[본초].
○ 영양은 밤에 잘 때 뿔을 나뭇가지에 걸고 땅에 닿지 않게 하고 잔다. 뿔굽 가운데가 깊이 패이고 예리하며 딴딴하고 가늘며 걸었던 자리가 있는 것이 좋은 것이다[본초].
○ 영양각은 궐음경(厥陰經)의 약이다. 궐음경으로 들어가는 기운이 아주 빠른데 간기(肝氣)를 좋게 한다[단심].
○ 진짜 뿔은 귀에 대고 있으면 ‘윙윙’ 소리가 나는데 이런 것이라야 좋다[본초].
영양육(羚羊肉)
살코기는 보하는 성질이 있다. 또한 냉로(冷勞)와 산람장기로 학질이나 이질이 생긴 것을 치료한다. 또한 뱀한테 물린 것[蛇咬瘡]과 악창(惡瘡)을 낫게 한다[본초].
7.서각犀角,코뿔소과 犀牛 인 烏犀角오서각-犀牛角서우각-印度犀인도서-인도코뿔소-獨角犀독각서-외뿔서우 RHINODEROS UNICORNIS L.과 瓜哇犀과와서-小獨角犀-애기외뿔서우-쟈바서각-인도코뿔소 R.SONDAICUS DESMAREST의 뿔이다.水犀수서 인 수마트라코뿔소-蘇門犀소문서R.SUMATRENSIS(FISCHER) CUVIER,黑犀-검은 코뿔소-아프리카 코뿔소 R.BICORNIS L.=DICEROS BICORNIS 와 흰코뿔소 CERATOTHERIUM SIMUM의 뿔이다.맛은 쓰고 성질은 차다.주로 여러가지 독을 해독하고 고주,사기,장기-말라리아를 치료하고 짐羽-짐새-중국남방에 나는 올빼미 비슷한 독조의 이름이다- 와 뱀의 독을 해독하고 미혹되지 않게하며 가위눌리지 않게한다.오래 복용하면 몸을 가볍게 한다.[낭탕자의 독을 해독하고] 송지를 사약으로 한다.관균,뇌환을 꺼린다
서각(犀角)
성질이 차고[寒](약간 차다[微寒]고도 한다) 맛이 쓰면서 시고 짜며[苦酸鹹](달면서 맵다[甘辛]고도 한다) 독이 없다(독이 약간 있다고도 한다). 마음을 안정시키고 풍독을 헤치며[散風毒] 헛것에 들린 것과 독한 기운에 상한 것을 낫게 한다. 놀라는 증을 멎게 하고 심(心)에 열독(熱毒)이 들어가서 미친 말과 허튼 소리를 하는 것을 낫게 하며 간기(肝氣)를 안정시키고 눈을 밝게 하며 산람장기[山風瘴氣]와 모든 중독을 푼다. 옹저(癰疽)와 창종(瘡腫)을 치료하는데 고름이 삭아서 물로 되게 한다[본초].
○ 검은 것과 흰 것 2가지가 있는데 약으로 쓰는 데는 검은 것이 더 좋다. 그리고 뿔끝을 쓰는 것이 더 좋다.
○ 대체로 서각으로 만든 물건들은 다 찌거나 삶은 것이기 때문에 약으로 쓰지 못한다. 생것으로 쓰는 것이 좋다.
○ 또한 자서각(牸犀角)이라고 하는 것도 있는데 아주 길고 결이 가늘며 눅진눅진하다. 이것은 약으로 쓰지 못한다.
○ 고서각(牯犀角)으로 약으로 쓰는데 이것은 빛이 거멓고 결이 드물며 주름이 쭉쭉 뻗어나갔고 광택이 난다. 이것이 제일 좋다[본초].
○ 서각은 심의 열을 내리우고 간기를 안정시키는 약[淸心鎭肝藥]인데 빨리 돌아가는 성질이 있다. 열독을 풀고 궂은 피를 변화시키며 심을 맑게 한다. 서각기운은 양명경(陽明經)으로 들어간다[입문].
○ 서각은 돌면서 헤치는 성질이 다른 모든 뿔에 비하여 특히 세다. 사슴뿔은 갓 돋은 것을 쓰지만 서각은 뿔끝을 쓰는데 그것은 정미롭고 예리한 기운이 다 뿔끝에 있기 때문이다[본초].
○ 서각을 가루낼 때에는 썰어서 종이에 싼 다음 하룻밤 동안 몸에 품고 있다가 가루내야 쉽게 갈린다. 그것은 사람의 기운[人氣]을 받았기 때문이다. 옛사람들이 서각은 사람의 기운이 가루낸다고 한 것은 바로 이런 것을 보고 한 말이다.
○ 대체로 서각은 사람의 몸기운[熏梁]을 받아야 쉽게 갈린다. 보통 달여 먹는 약에 넣을 때에는 줄로 쓸어서 넣는다. 그러나 가루약에 넣을 때에는 가루내서 넣어야 한다. 많이 먹으면 속이 답답해지는데[煩悶] 이런 때에는 사향(麝香) 1g을 물에 타서 먹어야 풀린다[입문].
○ 통천서(通天犀), 해계서(駭鷄犀), 벽진서(辟塵犀), 벽수서(辟水犀) 등은 다 희귀한 것들이다[본초].
중품-금부禽部 2종
1.연시燕屎,제비과 제비 hirurdo daurica japonica 의 똥이다.맛은 맵고 성질은 평하다.주로 고독,귀주등 좋지않은 사기를 없애고 5가지 융병을 치료하며 오줌을 잘 누게한다.
연시(燕屎, 제비똥)
성질이 평(平)하며 맛은 맵고[辛] 독이 없다. 학질을 치료한다. 고독(蠱毒), 귀주(鬼疰)에도 쓴다. 5륭(五癃)을 낫게 하며 오줌을 잘 나가게 한다[본초].
○ 제비에는 2가지 종류가 있는데 즉 명마기와 제비이다. 가슴이 자줏빛이고 가벼우며 작은 것이 제비(越燕)인데 이것은 약으로 쓰지 못한다. 가슴에 검은 반점이 있고 새소리가 큰 것이 명마기(胡燕)인데 이것을 약으로 쓴다[본초].
○ 명마기 고기는 먹지 못한다. 이것을 먹고 물에 들어가면 교룡(蛟龍)에게 물린다. 또한 죽이는 것도 좋지 않다[본초].
호연란(胡燕卵)
수종(水腫)과 부종(浮腫)을 치료한다[본초].
호연육(胡燕肉)
치질에 붙이면 벌레[痔蟲]가 나온다[본초].
월연시(越燕屎)
치질을 낫게 하고 벌레[蟲]를 죽인다. 눈병[目瞖]도 치료한다[본초].
2.천서시天鼠屎-야명사,박쥐-편복과 종류석이 나는 굴속에 있는 박쥐의 똥-夜明砂이다.맛은 맵고 성질은 차다.주로 얼굴의 옹종,피부가 근질근질하면서 때때로 아픈 것,뱃속의 혈기증에 쓰며 한열사와 적취를 없앤다.백렴,백미를 꺼린다.내복시 환제,산제로 만들어 1-3돈을 쓴다.
복익(伏翼, 박쥐)
성질이 평(平)하고(약간 열하다[微熱]고도 한다) 맛이 짜며[鹹] 독이 없다(독이 있다고도 한다). 눈이 어둡고 가려우면서 아픈 것을 치료하는데 눈을 밝게 한다. 5림(五淋)을 낫게 하고 오줌을 잘 나가게 한다. 일명 편복(蝙蝠)이라고도 한다[본초].
○ 복익이라고 한 것은 낮에는 엎드려 있고 날개가 있다는 것이다[본초].
○ 이것은 산골짜기나 지붕 사이에서 산다. 입하(立夏) 후에 잡아서 볕에 말려 쓴다[본초].
○ 이것은 공기를 먹기[服氣] 때문에 오래 살 수 있다[본초].
○ 쓰는 방법은 먼저 털을 없애버린 다음 내장과 주둥이와 다리를 떼버리고 구워서 말려[灸乾] 쓴다[입문].
복익분(伏翼糞)
야명사(夜明砂)라고도 하는데 눈을 밝게 하고 내장과 외장[內外障]을 치료한다. 또한 닦아 먹으면 나력(瘰癧)이 낫는다[입문].
천서(天鼠)
일명 선서(仙鼠)라고도 하는데 이것이 바로 박쥐이다. 석종유가 있는 굴[乳石洞] 속에서 살면서 그 정기를 빨아 먹는다. 빛이 흰데 큰 비둘기나 까치같이 생겼다. 천년 동안 산다. 이것이 『선경(仙經)』에 씌어 있는 육지(肉芝)인데 먹으면 살찌고 건강해져서 오래 살 수 있다. 지금 보통 박쥐는 흔히 오래된 집에서 사는데 빛이 희면서 큰 것은 대체로 드물다. 석종유가 있는 굴 속에 사는 것이라야 희고 크다[본초].
○ 굴 속에 거꾸로 매달려 사는데 그것은 대가리가 무겁기 때문이다[본초].
중품-충어부蟲魚部 17종
1.위피蝟皮臣,고슴도치과 고슴도치-刺蝟 Erinaceus amurensis koreansis,短자위-큰 귀 고슴도치-大耳蝟HEMIECHINUS DAUURICUS SUNDEVALL 의 가죽이다.맛은 쓰고 성질은 평하다.주로 5가지 치질,음식창,하혈,적백대하,5색대하,피가 멎지 않고 흐르는 것,음부가 붓고 아픈 것이 허리와 등까지 쑤시는 증상 등을 치료하는데 술에 달여쓴다.길경,맥문동을 두려워한다. 내복시 2-3돈을 달이거나 산제로 쓴다.외용시 가루로 만들어 뿌리거나 잘 개어서 바른다.
위피(蝟皮, 고슴도치가죽)
성질이 평(平)하고 맛이 쓰다[苦](달다[甘]고도 하고 독이 있다고도 한다). 5가지 치질이나 음식창(陰蝕瘡)으로 5가지 빛을 띤 핏물이 나오는 것, 장풍(腸風)으로 피를 쏟는 것, 치질, 복통을 치료하며 산기(疝氣)와 적(積)을 삭힌다.
○ 밭이나 들판에서 사는데 아무때 잡아 써도 좋다. 돼지발족같이 생긴 것이 좋고 쥐발족같이 생긴 것은 그 다음이다. 누기를 받지 않게 해야. 한다.
○ 생김새는 오소리와 비슷한데 다리가 짧고 가시가 많으며 꼬리는 1치 정도이다. 사람이 가까이 가면 대가리와 발을 감추고 통째로 가시처럼 되어 가까이 하지 못하게 한다[본초].
○ 약으로는 태워 가루내거나 누렇게 되도록 굽거나 거멓게 되도록 닦거나 물에 삶아서 쓰는데 술과 섞어서 쓰는 것이 좋다[입문].
위육(蝟肉)
하초(下焦)를 고르게 하고 위기(胃氣)를 좋게 한다.
○ 또한 입맛이 나게 하고 구역과 혈한(血汗)을 멎게 하며 음식을 잘 먹게 한다. 벌레 ‘충(虫)′변에 밥집 ‘위(胃)’자로 글자를 만든 데는 이런 뜻이 담겨져 있다[입문].
위지(蝟脂)
이 기름에 광물성 약재를 달일 수 있다. 귀머거리와 장풍(腸風)으로 피를 쏟는 것[瀉血], 5가지 치질[五痔]을 치료한다[본초].
위골(蝟骨)
이것을 먹으면 여위면서 뼈마디가 점차 약해진다[본초].
2.노봉방露蜂房,말벌과 말벌 VESPA CRABRO ,대황봉POLISTES MANDARINUS SAUSSURE의 집이다.맛은 쓰고 성질은 평하다.주로 경간,계종,한열의 사기,전질,귀정물,고독,장치등의 치료에 쓰는데 불에 볶아 쓰는 것이 좋다.건강,단삼,황금,백작약,모려를 꺼린다.
노봉방(露蜂房)
성질이 평(平)하고 맛이 쓰며[苦] 독이 없다(약간 독이 있다고도 한다). 경간(驚癎), 계종(瘈瘲), 옹종(癰腫)이 낫지 않는 것과 유옹(乳癰), 이빨이 쏘는 것을 치료한다.
○ 나무 위에 붙어 있는 크고 누런 벌집을 말한다. 마을에 있는 것은 약 효과가 약하기 때문에 쓰지 못한다. 산 속에서 바람과 이슬을 맞은 것이 좋다. 음력 7월이나 11월, 12월에 뜯어다가 볶아서 말린 다음 가루내어 쓴다.
○ 땅벌집은 옹종이 삭아지지 않을 때 식초에 개어 바른다[본초].
○ 자금사(紫金砂)란 바로 말벌집의 꼭지이다. 대소변이 막혔을 때 볶아 가루내어 쓴다[총록].
3.별갑鼈甲,자라과 자라 -中華鱉AMYDA SINENSIS 등딱지이다.맛은 짜고 성질은 평하다.주로 명치밑에 징가와 단단한 적이 생긴 것,오한이 나면서 열이 나는 것을 치료하고 더부룩한 것,군살,음식창,치핵,궂은 살을 없앤다.반석-백반을 꺼린다.내복시 3-8돈을 달이거나 고약처럼 졸이거나 환을 짓거나 가루내어 복용한다.외용시 가루를 살포하거나 개어 붙인다.
별갑(鱉甲, 자라등딱지)
성질이 평(平)하고 맛이 짜며[鹹] 독이 없다. 징가와 현벽(懸癖)에 쓰며 뼈마디 사이의 노열(勞熱)을 없앤다. 부인이 5가지 대하가 흐르면서 여위는 것과 어린이의 갈빗대 밑에 뜬뜬한 것이 있는 것을 치료한다. 또한 온학을 낫게 하고 유산하게 한다[본초].
○ 붕루를 멎게 하고 현벽과 골증노열(骨蒸勞熱)을 없앤다[의감].
○ 강이나 호수에서 산다. 산 채로 잡아 등딱지에서 고기를 발라낸 것이 좋고 삶아서 벗긴 것은 쓰지 못한다. 변두리에 살같이 너덜너덜한 것이나 말라 붙은 것이 있는 것이 좋다. 양쪽에 뼈 같은 것이 나온 것은 삶은 것이다.
○ 빛이 퍼렇고 갈빗대가 9개이고 너부렁이가 많으며 무게가 280g 정도 되는 것이 제일 좋다. 아무 때나 잡아 써도 좋다.
○ 자라를 먹을 때에 비름(莧)을 먹어서는 안 된다.
○ 식초를 두고 누렇게 삶아 쓰면 노열을 내린다. 동변(童尿)에 하루동안 삶아서 쓰기도 한다[본초].
별육(鱉肉)
성질이 차고[冷] 맛이 달다[甘]. 열기(熱氣)와 습비(濕痺) 및 부인의 대하를 치료하는데 기를 보하고 부족한 것을 보한다. 잘게 썰어서 양념을 두고 끓여서 먹는다. 오랫동안 먹으면 나쁘다. 그것은 성질이 차기 때문이다.
○ 자라의 등딱지와 고기는 음(陰)을 보한다.
○ 발이 3개인 것과 하나인 것, 대가리와 발을 움츠렸다 내밀었다 하지 못하는 것은 독이 몹시 심하기 때문에 먹지 말아야 한다[본초].
○ 자라는 눈으로 듣기 때문에 수신(守神)이라고도 한다[입문].
별두(鱉頭)
몸푼 뒤에 생긴 탈음증[陰脫證]과 탈항(脫肛) 때에 태워서 가루내어 붙인다. 대가리의 피도 탈항에 바른다[본초].
별원(鱉黿)
성질이 약간 따뜻하다[微溫]. 습증을 치료하고 여러 가지 약독을 풀어 준다.
○ 이것은 자라 가운데서 제일 큰 것을 말한다. 강이나 호수에서 사는데 너비는 1-2장 정도이고 알의 크기는 달걀이나 오리알만하다. 이것은 사람도 잡아 먹는다[본초].
4.해蟹,바위지게-方蟹과 참게-中華絨모해 ERIOCHEIR SINENSIS H.MILNE EDWARDS 이다.맛은 짜고 성질은 차다.주로 가슴속의 사기,열이 몰려서 아픈 것,와벽-입과 눈이 한쪽으로 비뚤어지는 병,얼굴신경마비에 해당한다,면종-얼굴이 부은 것과 얼굴에 생긴 헌데 등을 치료한다.그러나 옻을 변질되게 하고 태우면 쥐가 모여든다.내복시 약성이 남을 정도로 태운 후 산제,환제로 하여 쓴다.외용시 찧어서 바르거나 볶은 후 말려서 가루내어 개어서 바른다.낭탕자와 생옻독을 해독한다.
해(蟹, 게)
성질이 차고[寒](서늘하다[凉]고도 한다) 맛이 짜며[鹹] 독이 있다(약간 독이 있다고도 한다). 가슴에 열이 몰린 것을 헤치고 위기를 도와주어 음식이 소화되게 하며 옻이 오른 것과 몸푼 뒤에 배가 아픈 것, 궂은 피가 내리지 않는 것을 치료한다.
○ 옅은 바닷가, 시냇물, 호수, 못 등에서 산다. 발이 8개인데 집게발이 둘이다. 발가락을 폈다 굽혔다 하면서 기어가는데 옆으로 가기 때문에 방해(과해,跨蟹)라고도 한다. 맛이 좋은 반찬이다.
○ 여름과 초가을에 매미처럼 허물을 벗는다. 벗을 ‘해(解)’자와 벌레 ‘충(蟲)’자를 따서 게 ‘해(蟹)’자를 만든 뜻이 있다.
○ 음력 8월 전에는 게의 뱃속에 벼가시랭이 같은 덩어리가 있는데 이것은 몸에 나쁘다. 그러므로 8월이 지나야 먹을 수 있다.
○ 서리가 내린 때에 맛이 더 좋다. 서리가 내리기 전에는 독이 있다[본초].
○ 껍데기는 넓고 누런 것은 점(䘋,꽃게)이라고 하는데 집게발이 제일 날카롭다. 이것을 먹으면 풍(風)이 동한다. 껍질이 납작하면서 큰 것은 유모(蝤蛑)라고 하는데 열을 내리게 한다. 제일 작은 것은 방게(팽활,蟛螖)라고 하는데 이것을 먹으면 토하고 설사한다. 한 개의 집게발은 크고 한 개의 집게발은 작은 것을 꽃게(擁劒)라고 하는데 이것은 먹을 수 있다[입문].
○ 집게발과 눈이 하나씩 있거나 발이 4개이거나 6개인 것은 다 독이 있기 때문에 먹지 말아야 한다. 바다에 있는 큰 게는 약으로 쓰지 못한다[본초].
해각중수/해각중황(蟹脚中髓及蟹脚中黃)
모두 끊어진 힘줄과 뼈를 이어지게 한다[본초].
해조(蟹爪)
유산하게 하고 어혈을 삭히며 몸푼 뒤에 궂은 피가 막혀 배가 아픈 것을 낫게 한다[본초].
석해(石蟹,민물게)
방게같이 생기지 않았다. 생김새가 작은데 딱지 속에 있는 장을 오랫동안 아물지 않는 헌데에 붙이면 좋다. 방게는 옆으로 가고 가재는 뒷걸음질하는 것이 다르다. 이것은 시냇물에서 산다[속방].
5.책선柞蟬,매미과 말매미 -黑蚱흑책의 허물-선퇴蟬退-선태蟬蜕CRYPTOTYMPANA ATRATA 이다.맛은 짜고 성질은 짜다.주로 어린이의 경간,울음증,전질,한열증을 치료한다.버드나무 위에 산다.내복시 1-3개를 달여 복용한다.
선각(蟬殼, 매미허물)
어린이의 간질과 말 못하는 증, 눈이 어둡고 예장이 생겨서 보지 못하는 것을 치료한다. 또한 마마[痘瘡] 때 구슬이 잘 돋지 않는 데도 아주 좋다. 특히 어린이의 여러 가지 병을 주로 치료한다. 음력 5월에 수집한다[본초].
6.제조蠐螬臣,풍뎅이과 朝鮮黑金龜子조선흑금구자 HOLOTRICHIA DIOMHALIA의 말린 유충-굼뱅이 이다.맛은 짜고 성질은 미지근하다.주로 궂은 피를 헤치고 어혈과 비증을 치료한다.궂은 피가 옆구리에 몰려 단단하고 그득하면서 아픈 것,월경이 중단된 것,눈에 생긴 부예-淫膚와 청예,흰 예막이 생긴 것을 치료한다.비렴을 사약으로 한다.부자를 꺼린다.내복시 환제,산제로 복용한다.외용시 가루내어 바르거나 찧어서 바른다.
제조(굼벵이)
성질이 약간 차고[微寒] 맛이 짜며[鹹] 독이 있다. 악혈(惡血), 어혈[血瘀], 비기(痺氣), 눈의 군살, 청예(靑翳), 백막(白膜) 및 뼈가 부스러졌거나 부러졌거나 삐인 것, 쇠붙이에 다쳐 속이 막힌 것을 치료하고 젖을 잘 나게 한다.
○ 집 근처의 두엄더미 속에서 산다. 아무 때나 잡아도 좋은데 뒤집어져서 다니는 것이 좋다. 이 벌레는 등으로 다니는 것이 다리로 다니는 것보다 더 빠르다[본초].
○ 뽕나무나 버드나무 속에서 사는데 겉과 속이 흰 것이 좋다.
○ 두엄더미 속에 있는 것은 창저(瘡疽)에만 바를 수 있다. 잡아 그늘에서 말린 다음 찹쌀(나미,糯米)과 함께 넣고 쌀이 누렇게 되도록 볶아 꺼내서 입이나 몸뚱이에 있는 검은 티를 버리고 쓴다[입문].
○ 등으로 다니지 않는 것은 좋은 굼벵이가 아니다[속방].
7.오적어골烏賊魚骨-海螵蛸해표소,오징어과 오징어-金烏鰂금오즉 SEPIA ESCULENTA HOYLE,無針무침오즉의 內殼내각-뼈이다.맛은 짜고 성질은 미지근하다.주로 여자의 적백누하,월경이 중단된 것,움부가 패이면서 붓고 아픈 것,한열증,징가,불임증을 치료한다.백렴,백급을 꺼린다.내복시 1.5-3돈을 달여서 복용하거나 환제,산제로 하여도 좋다.외용시 갈아서 가루내어 산포하거나 개어서 바른다.
오적어골(烏賊魚骨, 오징어뼈)
성질이 약간 따뜻하고[微溫] 맛이 짜며[鹹] 독이 없다(독이 약간 있다고도 한다). 부인이 하혈을 조금씩 하는 것, 귀머거리[耳聾]와 눈에서 뜨거운 눈물이 나오는 것[眼中熱淚]과 혈붕(血崩)을 치료하고 충심통(蟲心痛)을 멎게 한다.
○ 생김새는 가죽주머니 같은데 입은 배 밑에 있으며 8개의 지느러미가 다 입 곁에 모여 있다. 그리고 뼈가 1개 있는데 그 두께는 3-4푼 정도이고 작은 배같이 생겼으며 속이 빈 것같이 가볍고 희다. 또한 띠 같이 생긴 2개의 수염으로 배의 닻줄처럼 제 몸통을 잡아맸기 때문에 남어(纜魚)라고도 한다. 동해 바다에 있는데 아무 때나 잡을 수 있다[본초].
○ 이것의 뼈를 일명 해표초(海螵蛸)라고도 하는데 물에 2시간 동안 삶아서 누렇게 된 다음에 껍질을 버리고 보드랍게 가루내어 수비(水飛)한다. 다음 햇볕에 말려 쓴다[입문].
○ 물 위에 떠 있다가 까마귀가 죽은 것인 줄 알고 쪼을 때 곧 까마귀를 감아 가지고[卷取] 물 속으로 들어가 먹기 때문에 오적어라고 했다. 뼈가 없는 것은 유어(柔魚)라고 한다[본초].
오적육(烏賊肉)
성질이 평(平)하고 맛이 시다[酸]. 기(氣)를 보하고 의지를 강하게 하며 월경을 통(通)하게 한다. 오랫동안 먹으면 정(精)을 많게 해서 어린이를 낳게 한다[본초].
오적어복중묵(烏賊魚腹中墨)
어혈로 가슴이 찌르는 것같이 아플 때 식초에 갈아서 먹는다.
○ 오징어의 배 안에 있는 피와 열물[膽]은 꼭 먹과 같다. 이것은 물을 빨아들여 썩였다가 내뿜어서 물을 흐리게 하여 제 몸을 감춘다. 그러므로 잡히지 않는다[본초].
8.백강잠白僵蠶, 누에-原蠶蛾BATRYTIS BASSIANA BALS,B.MORI L.가 백강균으로 죽은 것이다.맛은 짜다.(성질은 평하다)주로 어린이의 경간과 밤울음증을 치료하고 3충을 죽이며 주근깨와 기미를 없앤다.이것을 먹으면 얼굴빛이 고와지고 남자의 음부에 생긴 헌데를 치료한다.내복시 1.5-3돈을 달여서 복용한다.또는 환제,산제로 하여 복용한다.외용시 가루내어 산포하거나 개어서 바른다.혈당강하
백강잠(白殭蠶)
성질이 평(平)하고 맛이 짜면서 매우며[鹹辛] 독이 없다(독이 약간 있다고도 한다). 어린이의 경간을 치료하고 3가지 충을 죽이며 주근깨와 여러 가지 헌데의 흠집과 모든 풍병, 피부가 가렵고 마비된 것을 낫게 하며 부인이 붕루로 아래로 피를 쏟는 것을 멎게 한다.
○ 누에가 저절로 죽어서 빛이 허옇게 되고 꼿꼿한 것이 좋다. 음력 4월에 수집해서 쓰는데 누기가 차지 않게 해야 한다. 누기가 차면 독이 생긴다.
○ 찹쌀 씻은 물에 담가 두었다가 침[涎] 같은 것과 주둥이는 버리고 생강즙에 볶아서 쓴다[본초].
9.타어갑-타갑,악어과 揚子鰐ALLIGATOR SINENSIS FAUVEL의 鱗甲이다.맛은 맵고 성질은 미지근하다.주로 흉복부의 징가,잠복해 있는 견고한 적취,한열,여자의 붕중하혈과5색대하,아랫배와 음경이 서로 당기는 것,부스럼이 난후의 굳은살을 제거한다.촉칠을 사약으로 한다.구담-개의 쓸개,감수,원화를 꺼린다.
10.저계樗雞-紅娘子홍낭자,매미과 홍낭자-베짱이HUECHYS SANGUINEA DE GEER.를 말린 전충이다.맛은 쓰고 성질은 평하다.주로 심복사기,음위를 치료한다.정을 더하고 의지를 강하게 하고 자식이 생기게 하고 좋은 안색을 갖게 하며 비위를 보하고 몸을 가볍게 한다.내복시 볶은 후 가루내어 환제,산제로 만들어 쓴다.외용시 짓찧어 붙이거나 살포하거나 개어 바른다.
저계
성질이 평(平)하고 맛이 쓰며[苦] 독이 약간 있다. 음위증(陰萎證)을 치료하고 정(精)을 보충하며 성욕을 세지게 하여 아이를 낳게 한다. 요즘 사람들이 사계(莎鷄)라고 말한다. 음력 6월이 지나면 날아다니는데 날개가 움직일 때 ‘색색’하는 소리가 난다. 가죽나무 위에 있는 것을 홍랑자(紅娘子)라고 하는데 대가리와 날개가 다 벌겋다. 음력 7월에 잡아서 햇볕에 말려 약간 닦아서 쓴다.
○ 메뚜기의 생김새는 누에나비와 비슷하나 대가리와 다리가 약간 거멓고 날개가 두 겹인데 겉의 한 겹은 잿빛이고 속의 한 겹은 짙은 붉은 빛이면서 5가지 빛이 나며 배가 크다[본초].
11.활유活蝓,연체동물-활유과 집없는 달팽이-括胎蟲괄태충 LIMAX 이다.맛은 짜고 성질은 차다.주로 적풍,와벽,힘줄이 상한데,탈홍-탈항,경간,연축-당기고 켕기어 오그라드는 것 등에 쓴다.내복시 불에 구워 말린 다음 갈아서 환제,산제로 복용한다.외용시 갈아서 가루로 하거나 짓찧어서 바른다.
와우(蝸牛, 달팽이)
성질이 차고[寒] 맛이 짜며[鹹] 독이 약간 있다. 적풍(賊風)으로 입과 눈이 삐뚤어진 것과 삐인 것, 탈항, 소갈, 경간을 치료한다.
○ 일명 해양(海羊)이라고도 하는데 즉 껍질을 지고 있는[負殼] 달팽이다. 음력 8월에 잡아서 쓰는데 생김새가 둥글면서 큰 것이 좋다. 약으로는 볶아서 쓴다.
○ 달팽이는 껍데기를 지고 다니는데 놀라면 대가리와 꼬리를 움츠려서 껍데기 속으로 들이민다. 그리고 뿔이 4개 있다. 활유와 대체로 비슷하면서 약간 다르다[본초].
활유
성질, 맛, 효능은 달팽이와 같다.
○ 달팽이보다 큰데 껍데기가 없고 2개의 뿔이 있다. 장마철에 참대밭이나 못가에 많다[본초].
12.석룡자石龍子,도마뱀과 도마뱀 EUMECES CHINENSIS 이다.맛은 짜고 성질은 차다.주로 5융,사기가 몰린 것,석림,하혈하는 것을 치료하고 소변을 잘 나오게하고 수도를 좋게한다.
석룡자(石龍子, 도마뱀)
성질이 차고[寒] 맛이 짜며[鹹] 독이 약간 있다. 5가지 임병을 치료하는데 석림을 녹여 내고[破石淋] 오줌을 잘 나가게 한다.
○ 일명 석척(蜥蜴)이라고도 하는데 약으로는 반드시 냇가나 못에서 사는 5가지 빛이 다 나는 수컷이 좋다. 5가지 빛이 나지 않는 것은 암컷인데 약 효과가 덜하다. 음력 5월에 잡아서 쓴다. 혹은 3-4월이나 8-9월에 잡아서 불에 말려 쓰기도 한다[본초].
○ 생김새는 용(龍)과 비슷한데 작다[입문].
○ 또한 갈호(蝎虎), 언정(蝘蜓), 수궁(守宮) 등과 비슷하면서 풀밭에서 사는 것은 도마뱀이 아니다[입문].
13.목맹木虻,등에과 木虻蟲목맹충-나무등에이다.소등에와 약효가 같다.맛은 쓰고 성질은 평하다.눈에 피가 지면서 아프거나 눈을 상하여 눈물이 나오는 것을 치료하며 어혈,혈폐,한열증,산시酸忄斯시(심겁心怯할 정도로 산통한다는 말이다,국역의학입문,남산당),불임증을 치료한다.
맹충(蝱蟲,등에)
성질이 차고[寒] 맛이 쓰며[苦] 독이 있다. 어혈과 혈적(血積), 징가를 주로 몰아내고 혈맥을 잘 통하게 한다.
○ 어혈로 월경이 막힌 것을 치료하고 징결(癥結)을 삭히며 뭉친 고름[積膿]을 없애고 유산하게 한다[본초].
○ 피가 몰린 것을 헤친다[회남].
○ 나무등에(木蝱)는 길고 크며 빛이 퍼렇다. 이것이 소나 말이 넘어지도록 피를 빨아먹는 경우도 있다. 비망(蜚 )이라고 하는 등에는 생김새가 꿀벌 같고 배가 오목하면서 납작하고 연하고 누런 풀빛이다. 약으로 쓰이는 등에가 바로 이것이다. 또 한 가지는 작은 등에인데 크기가 파리만하고 소나 말의 피를 몹시 빨아먹는다. 이 3가지는 대체로 같은 것인데 다 어혈을 헤친다. 음력 5월에 잡아서 쓰는데 배에 피가 들어 있는 것이 좋다. 누렇게 되도록 닦아서 대가리와 날개, 다리를 버리고 쓴다[본초].
14.비맹蜚虻,등에과 맹충-복대맹TABANUS BIVITTATUS MATS-쌍반황맹-등에 및 동속곤충의 수컷 TABANUS BIVITTATUS 이다.맛은 쓰고 성질은 서늘하다.주로 어혈과 혈적을 흩어지게 하며 속이 더부룩한 것,징가,한열증을 치료하고 혈맥과 9규를 잘 통하게 한다.마황을 꺼린다.내복시 1.85-3.7그램을 달여서 먹는다.0.37-0.74그램을 갈아서 가루내어 복용한다.혹은 환제,산제로 복용한다.
15.비렴蜚廉-蟑螂장랑,바퀴과 東方蠊동방렴-바퀴벌레BLATTA ORIENTALIS L.이다.맛은 짜고 성질은 차다. 주로 어혈(어람:逐下血),단단한 징(가),한열,적취,喉咽痺후인비비,속이 차서 자식이 없는 것을 치료한다.내복시 1-3마리를 달이거나 불에 말려 가루내어 복용한다.외용시 짓찧어 붙인다.
16.충자蟲蟅자-자충,鱉蠊별렴과 흙바퀴地鼈지별EUPOLYPHAGA SINENSIS WALKER,하북흙바퀴STELEOPHAGA PLANCYI[BOLENY],赤邊水석적변수석OPISTHOPLATIA DRIENTALIS BURMEISTER 암놈의 전체이다.맛은 짜고 성질은 차다.주로 심와부-명치밑에 한열이 그치지 않은 증상,혈적징가가 견고한 것을 부순다,월경중단을 치료한다.자식을 생기게 하는 데 아주 좋다.조협,창포를 꺼린다.내복시 1-2돈을 달이거나 환제,산제로 만들어 쓴다.외용시 전액으로 양치질하거나 짓찧어 붙인다.
17.복익伏翼-편복,편복-박쥐과 박쥐 VESPERTILO SUPERANS 이다.맛은 짜고 성질은 평하다.주로 눈이 잘 보이지 않으면서 가렵고 아픈 것을 치료하고 눈을 밝게하고 밤에도 세밀한 것까지 볼 수 있게 하며 눈정기가 돌게 한다.오래 복용하면 희락하게 하고 고와지고 근심이 없어진다.현실을 사약으로 한다.현실,운실을 사약으로 한다.내복시 환제,산제로 복용한다.외용시 가루내어 물에 개어 바른다.
하품-수부獸部 4종
1.돈란豚卵,멧돼지과 돼지 sus scrofa domestica 의 불알이다.맛은 달고 성질은 따뜻하다.주로 경간,전질,귀주,고독,한열증,분돈,5륭-로림,혈림,기림,석림,고림-,사기로 경련이 나는 것을 치료한다.내복시 두 개를 삶아 먹거나 달여서 먹는다.
저제猪蹄,돼지발굽 발톱은 주로 5가지 치질,창자에 열사가 있는 것,장옹,내식-감식창,向內性인 腐蝕-을 치료한다.
돈란(豚卵, 돼지 불알)
성질이 따뜻하고[溫] 맛이 달며[甘] 독이 없다. 분돈증(奔豚證)과 5가지 융폐증[五癃], 사기로 힘줄이 가드라드는 것[攣縮], 경간(驚癎), 전질(癲疾), 귀주(鬼疰), 고독을 치료한다.
○ 일명 돈전(豚顚)이라고도 하는데 그늘에서 말려 두되 썩지 않게 해야 한다[본초].
돈육(豚肉)
성질이 차고[寒](서늘하다[凉]고도 한다) 맛이 쓰며[苦] 독이 약간 있다. 열을 내린다.
○ 열로 대변이 막힌 데와 혈맥(血脈)이 약하며 힘줄과 뼈[筋骨]가 허약한 것을 치료한다. 돼지고기는 약 기운을 없애고 풍(風)을 동(動)하게 하기 때문에 오랫동안 먹지는 말아야 한다.
○ 수은중독과 광물성 약중독을 치료한다.
○ 돼지고기를 먹으면 살이 빨리 오르는데 그것은 비계가 많기 때문이다.
○ 돼지는 수(水)에 속하는 집짐승이다. 그리고 맛이 좋은데 달면서 짜다. 성질은 약간 찬데 그 기운은 먼저 신(腎)으로 들어간다[본초].
○ 돼지고기에서 골은 버리고 먹어야 한다[본초].
돈방고(豚肪膏)
피부를 좋아지게 하는데 손에 바르면 손이 트지 않는다. 여러 가지 악창(惡瘡)과 옹저(癰疽)도 치료하는데 벌레를 죽인다. 이것을 졸인 것은 여러 가지 고약을 만드는 데 쓴다.
○ 반묘(斑猫)와 원청(芫靑)의 독도 푼다. 음력 섣달 해일에 잡은 것을 쓰는데 물이 들어가지 않은 것은 오랫동안 변하지 않는다[본초].
○ 5달(五疸)을 치료하며 태반[胞衣]이 나오게 하고 해산을 쉽게 하게 한다[입문].
돈혈(豚血)
분돈증[奔豚氣]이나 해외에서 들어온 나쁜 기운[海中瘴氣]이 있을 때 쓴다[본초].
돈기고(豚鬐膏)
성질을 약간 찬데[微寒] 머리털이 나오게 한다[본초].
대저두(大猪頭)
허한 것을 보하고[補虛] 기를 돕는데[益氣] 경간과 5가지 치질[五痔]을 치료한다[본초].
저뇌(猪腦)
풍현(風眩)이나 머리에서 소리가 나는 데[腦鳴]와 얼어서 생긴 헌데[凍瘡]에 쓴다[본초].
저골수(猪骨髓)
성질이 차다[寒]. 맞아서 뼈가 상한 것[打撲傷]과 악창(惡瘡)을 치료한다[본초].
저골(猪骨)
여러 가지 과실에 중독된 것을 푼다. 태워 가루내어 물을 타 먹는다[본초].
저간(猪肝)
성질이 따뜻하다[溫]. 냉설(冷泄)과 피곱이나 곱을 오랫동안 누는 설사를 치료하는데 습(濕)을 없앤다. 각기(脚氣)도 치료한다[본초].
저심(猪心)
성질이 열(熱)하다. 경사(驚邪)와 경간을 치료한다. 심혈(心血)이 부족한 것을 보한다[본초].
저비(猪脾)
비위(脾胃)에 허열(虛熱)이 있는 데 쓴다. 생강(薑), 귤껍질(橘), 인삼(蔘), 파밑(葱), 묵은 쌀(陳米)과 함께 두고 국을 끓여서 먹는다[본초].
저폐(猪肺)
성질이 차다[寒]. 폐(肺)를 보(補)하고 반묘와 지담(地膽)의 독을 없앤다[본초].
저신(猪腎)
이것을 요자(腰子)라고 하는데 성질이 서늘하다[凉]. 신기(腎氣)를 고르게 하고 방광의 작용이 잘 되게 하며 신(腎)을 보하고 허리와 무릎을 덥게 한다. 또한 귀머거리와 허리가 아픈 것을 낫게 한다. 신을 보하기는 하지만 아이를 많이 낳지 못하게 한다.
○ 겨울에 먹으면 원기[眞氣]가 상하기 때문에 먹지 말아야 한다[본초].
저두(猪肚)
성질이 약간 따뜻하다[微溫]. 골증(骨蒸)과 열로(熱勞)를 치료하는데 허하고 여윈 것[虛羸]을 보하고 기운을 돕는다. 갈증을 멎게 하고 이질을 멈춘다. 또한 갑자기 이질이 생겨 허약해진 것도 치료하며 노채충[勞蟲]도 죽이는데 사철 다 쓸 수 있다[본초].
저장(猪腸)
허손되어 오줌이 잦은 것을 치료한다. 또한 하초(下焦)가 허손된 것도 보한다[본초].
저담(猪膽)
성질이 약간 차고[微寒](몹시 차다[大寒]고도 한다) 맛이 쓰다. 상한으로 열이 나고 목이 마르는 것[傷寒熱渴], 골증열과 노극(勞極)으로 대변이 나오지 않는 것을 치료하며 습닉(濕䘌)으로 고름과 피가 계속 나오는 것을 낫게 한다. 또한 어린이의 5가지 감질[五疳]도 치료하는데 벌레를 죽인다[본초].
○ 마른 것을 눅여 주고[潤燥] 대변이 잘 나오게 한다. 그리고 이 약 기운은 심으로 들어가서 혈맥을 통하게 한다[입문].
○ 성질이 차고[寒] 맛이 쓰고[苦] 짜기[鹹] 때문에 사람의 오줌과 본질적으로 같다[탕액].
저신(猪腎)
성질이 차다[寒]. 폐위(肺 )로 숨이 차고[喘息] 기로 배가 불러 오르는 것[氣腸]과 여드름, 살이 트는 것, 주근깨, 기미를 없앤다[본초].
저치(猪齒)
성질이 평(平)하다. 어린이의 경간(驚癎), 뱀한테 물린 것을 치료한다[본초].
저유즙(猪乳汁)
어린이의 경간(驚癎), 천조증(天弔證), 어른의 제간(猪癎), 계간(悸癎)을 치료한다[본초].
저설(猪舌)
비(脾)를 든든하게 하며 음식을 잘 먹게 한다[본초].
저사족(猪四足)
성질이 차고[寒] 맛이 달다[甘]. 기(氣)를 보(補)하고 젖이 나오게 한다. 이것을 삶은 물로 헌데[瘡]를 씻으면 헌데가 마르면서 아픈 것이 멎는다[득효].
저현제(猪懸蹄)
성질이 평(平)하다. 5가지 치질[五痔], 장옹(腸癰)으로 속이 패이는 것[內蝕]을 치료한다[입문].
저황(猪黃)
쇠붙이에 상한 것[金瘡]과 혈리(血痢)를 치료한다. 저황은 저담 주머니 속에 생기는 것인데 물에 타서 먹는다[본초].
저이중구(猪耳中垢)
뱀에게 물린 상처를 주로 치료한다.
저부(猪膚)
성질이 차고[寒] 맛이 달며[甘] 독이 없다. 상한으로 열이 생겨서 설사하고[傷寒客惡下痢] 목안이 아프며[咽痛] 가슴이 그득하고[胸滿] 속이 답답한 것[心煩]을 치료한다[입문].
○ 돼지는 수(水)에 속하는 집짐승인데 그 기운은 먼저 신(腎)으로 들어가서 소음경(少陰經)에 있는 열을 내린다. 부(膚)란 가죽을 말한다. 검정 돼지의 가죽을 쓰는 것이 좋다[활인].
2.미지麋脂,사슴과 미지-고라니-큰사슴-누렁이 ELAPHURUS DAVIDIANUS 의 기름이다.맛은 맵고 성질은 따뜻하다.주로 옹종,악창,굳은살,한열증,풍한과 풍습으로 생긴 비증,팔다리가 오그라들거나 늘어지면서 잘 쓰지 못하는 것,풍으로 머리가 아픈 것,종기를 치료한다.또 주리를 열어준다.대황을 두려워한다.
미지(麋脂, 누렁이 기름)
성질이 따뜻하고[溫](몹시 열하다[大熱]고도 한다) 맛이 매우며 독이 없다. 옹종(癰腫), 악창(惡瘡), 풍, 한, 습으로 생긴 비증[風寒濕痺]으로 팔다리를 잘 쓰지 못하는 것[四肢不收]을 치료한다. 음부에 가까이 대지 말아야 한다. 가까이 대면 음위증이 생긴다. 일명 궁지(宮脂)라고도 한다[본초].
○ 누렁이는 성질이 음탕[淫決]하므로 그 기름이 결코 사람의 음경에 힘이 없게 하지는 않을 것이다. 어떤 책에는 “음부에 가까이 대지 말아야 한다. 가까이 대면 음경이 늘 일어서 있게 된다”고 씌어 있는데 이 말이 그럴 듯하다[본초].
○ 퍼런 누렁이(靑麋)란 큰 사슴을 말한다. 민간에서는 이것을 고라니라고 한다[본초].
미용(麋茸)
미용은 양기(陽氣)를 보하는데 좋고 녹용은 음기(陰氣)를 보하는데 좋다. 뼈와 피를 보하며 음경[陽道]을 힘있게 하고 골수(骨髓)를 든든하게 한다. 뿔끝이 마노(瑪瑙)나 홍옥(紅玉) 같은 것이 제일 좋은 것이다.
○ 약 효과가 녹용보다 낫다[본초].
미각(麋角)
성질이 따뜻하고[溫] 맛이 달며[甘] 독이 없다. 정이 많아지게 하고[添精] 골수를 보해주며[補髓] 혈맥을 좋게 하고[補益] 허리와 무릎을 덥게 하며 얼굴빛을 좋아지게 하고 양기(陽氣)가 세지게 한다. 그리고 남자의 병을 더 잘 낫게 하는데 허리와 무릎을 잘 쓰지 못하는 것을 낫게 하며 혈을 보한다[본초].
○ 『예기(禮記)』월령(月令)에는 음력 5월에 사슴의 뿔이 떨어지고 음력 2월에 누렁이의 뿔이 떨어진다고 씌어 있다. 일화자(日華子)는 하지(夏至)에 누렁이의 뿔이 떨어진다고 하였는데 이것은 잘못된 말이다. 사슴은 산에서 사는 짐승인데 하지에 음기(陰氣)를 받는다. 이때에 뿔이 떨어지는 것은 양기(陽氣)가 물러가는 것을 본받은 것이다. 누렁이는 못가에서 사는 짐승인데 동지에 양기를 받는다. 이때에 뿔이 떨어지는 것은 음기가 물러가는 것을 본받은 것이다[본초].
○ 달여서 갖풀(阿膠)처럼 만들면 녹각교(鹿角膠)와 효과가 같다[본초].
미골(麋骨)
허로(虛勞)를 치료한다. 이 뼈를 고운 물로 술을 만들어 먹으면 살이 찌고 얼굴빛이 좋아진다[본초]
미육(麋肉)
성질이 열(熱)한데 기를 돕고 중초를 보[補中]한다. 허리와 다리의 병을 치료한다[본초].
3.누서鼺鼠,날다람쥐-오서鼯鼠-棕鼯鼠종오서 PETAURISTA PETAURISTA 이다.유산시키고 순산하게 한다.혈압강하
누서(鼺鼠, 날다람쥐)
성질이 약간 따뜻하다[微溫]. 유산하게 하며 아이를 쉽게 낳게 한다.
○ 날다람쥐가 바로 오서(鼯鼠)인데 날아다니는 쥐(飛生鳥)이다. 산속에 있는데 생김새는 박쥐같고 크기는 까치나 비둘기만 하며 밤에 날아다닌다. 그 가죽을 벗겨 두었다가 해산할 때에 손에 쥐고 있으면 아이를 쉽게 낳게 된다.
○ 털은 벌거면서 거멓고 꼬리가 길다. 날아 다니기는 하나 멀리 날아가지는 못한다. 사람들이 이것을 보고 비생(飛生)이라고도 한다[본초].
4.6축모제갑六畜毛蹄甲,말,소,양,돼지,개,닭의 털과 발굽이다.맛은 짜고 성질은 평하다.주로 귀주,고독,한열,경간,전질로 미쳐 날뛰는 것을 치료한다.
하품-충어부蟲魚部 18종
1.하마蝦蟆,청개구리-澤蛙 RANA LIMNOCHARIS BOIE ,RANA CHENSINENSIS DAVID이다.맛은 맵고 성질은 차다.주로 사기를 없애고 징가,어혈,옹종을 삭히고 음창을 낫게한다.또[先預선예,미리] 먹으면 열병을 앓지 않는다.내복시 환제,산제로 복용한다.외용시 찧어 도포하거나 가루내어 문지른다.
하마(청개구리)
성질이 차고[冷] 독이 없다. 옹종과 악창을 치료하고 열이 몰려서 부은 것을 내리게 한다.
○ 등에는 검은 반점이 있는데 생김새가 작고 배가 크며 잘 뛰어다니면서 여러 가지 벌레를 잡아 먹는다. 때로는 ‘합합(呷呷)’하는 소리를 내면서 몹시 빨리 움직이는데 못에서 산다[본초].
2.마도馬刀,말씹조개과 말씹조개-말조개-장죽정長竹蟶SOLEN GOULDII CONRAD이다.맛은 맵고 성질은 서늘하다.주로 적백누하,한열증,석림등을 치료하고 새나 짐승,賊鼠쥐를 죽이는데 쓴다.물을 섞으면 좋다.
마도(馬刀, 말조개)
성질이 약간 차고[微寒] 맛이 매우며[辛] 독이 있다. 적백대하를 치료하고 석림을 삭히며 5장의 열을 내리고 새나 짐승, 쥐를 죽이며 담음으로 아픈 것을 치료한다(이것은 껍질의 효과이다).
○ 일명 마합(馬蛤)이라고도 하는데 강이나 호수, 못에서 산다. 여러 지방에 다 있는데 가늘고 긴 것은 작은 조개이다. 흔히 진흙이나 모래에서 산다. 아무 때나 잡아서 불에 구워 쓴다[본초].
○ 생김새가 참마도(斬馬刀)와 같이 때문에 마도라고 하는데 백합조개종류이다. 살로는 젖을 담근다. 그러나 많이 먹으면 풍담(風痰)이 생긴다. 진주조개, 살조개, 가막조개, 소라, 골뱅이는 대체로 비슷하면서 약간 다르다[입문].
3.사태蛇蜕臣,뱀허물이다.맛은 짜고 성질은 평하다.주로 소아의 120종 경간,계종,전질,한열증,장치,蟲毒충독[또는 고독],사간蛇癎으로 혀를 날름거리고 머리를 흔드는 것을 치료한다.구워 먹으면 더 좋다.자석,술을 두려워한다.내복시 0.5-1돈을 달여서 복용하거나 가루내어 산제로 사용한다.외용시 달여서 씻거나 가루내어 조합해서 바른다.임신부는 금한다.
오사(烏蛇)
성질이 평(平)하고 맛이 달며[甘] 독이 약간 있다(독이 없다고도 한다). 문둥병으로 눈썹이 빠진 것과 피부에 감각이 없는 것, 헌데가 생긴 것, 열독풍(熱毒風), 모든 풍증, 두드러기, 옴, 버짐을 치료한다.
○ 잔등은 세모가 나고 옻같이 검은데 성질이 순하여 사람을 잘 물지 않는다. 대가리에는 거꾸로 나온 털이 있고 말라 죽어도 눈을 감지 않기 때문에 살아 있는 것 같다. 무게가 30-40g 되는 것이 제일 좋다. 지나치게 큰 것은 약 효과가 적다.
○ 꼬리가 가늘고 길어서 작은 동전 백닢을 꿸 만한 것이 좋다. 이 뱀은 등골뼈가 높기 때문에 민간에서는 검척오사(劒脊烏蛇)라고 한다. 흔히 갈밭에서 살면서 갈꽃의 향기를 맡으며 남풍을 들여마시는데 잡기가 매우 힘들다. 술에 담갔다가 껍질과 뼈를 버리고 살만 발라서 약한 불기운에 말려 쓴다[본초].
○ 황해남도의 풍천과 초도 등에서 난다. 늘 조피나무 위에서 살면서 그 향기를 마시는데 잡기가 아주 힘들다[속방].
백화사(白花蛇)
성질이 따뜻하고[溫] 맛이 달면서[甘] 짜며[鹹] 독이 있다. 문둥병과 갑자기 생긴 풍증으로 가려운 것, 중풍이 되어 입과 눈이 삐뚤어진 것, 몸 한쪽을 쓰지 못하는 것, 뼈마디가 아픈 것, 백전풍(白癲風), 두드러기, 풍비(風痺) 등을 치료한다.
○ 뱀으로는 풍증을 치료하는데 그것은 뱀이 뚫고 들어가는 성질이 있어서 약 기운을 끌고 풍병이 있는 곳까지 들어가서 풍(風)을 진정시키기 때문이다. 그러므로 사약(使藥)이라고 한다.
○ 검은 바탕에 흰 점이 있고 모가 난 무늬가 있는 뱀이 백화사보다 좋다. 이것으로 풍증을 치료하는데 다른 뱀보다 효과가 빠르다. 일명 건비사(褰鼻蛇)라고도 하는데 깊은 산골짜기에 있다. 음력 9-10월에 잡아서 불에 말린다.
○ 모든 뱀은 다 코가 아래로 향하였지만 이 뱀만은 위로 향하였기 때문에 건비사라고 한다. 말라 죽어도 살아 있는 것처럼 눈을 감지 않는 것이 좋은 것이다.
○ 이 뱀은 독이 많은데 대가리와 꼬리 쪽에서 각각 2자 길이만한 부분에는 독이 더 많다. 그러므로 가운데 토막만 술에 담가서 푹 축인 다음에 껍질과 뼈를 버리고 그 살만 약한 불기운에 말려서 써야 한다. 그리고 뼈는 먼 곳에 버리거나 묻어야 한다. 그것은 산 뱀이나 다름없이 사람을 상하게 하기 때문이다[본초].
사태(뱀허물)
성질이 평(平)하고 맛이 짜며 독이 없다(독이 있다고도 한다). 어린이의 120가지 경간과 전질(癲疾), 어린이가 5가지 사기로 미쳐서 날치는 것[五邪狂亂], 여러 가지 귀매(鬼魅), 후비(喉痺), 고독을 치료하고 쉽게 몸풀게 한다. 또한 눈에 생긴 장예가 심한 것도 없애고 악창도 치료한다.
○ 일명 용자의(龍子衣)라고도 하는데 들판에서 산다. 음력 5월 5일부터 15일 사이에 모아 들이되 돌 위에 있는 것으로 온전한 것[完全]이 좋다. 그리고 은빛같이 흰 것을 써야 한다.
○ 뱀허물은 입에서부터 벗는데 이때에는 눈알도 함께 벗어진다. 이것은 눈약으로 쓴다[본초].
○ 흙 속에 하룻밤 동안 묻어 두었다가 식초에 담갔다 구워 말려 쓰거나 약성이 남게 태워서 쓴다[입문].
복사담(蝮蛇膽, 살모사쓸개)
성질이 약간 차고[微寒] 맛이 쓰며[苦] 독이 있다. 익창을 치료하고 벌레를 죽인다.
○ 이 뱀고기는 독이 많기 때문에 경솔하게 쓰지 말아야 한다.
○ 뱀의 빛깔은 검누른 빛인데 턱은 누렇다. 그리고 주둥이가 뾰족하고 독이 아주 심하다. 모든 뱀 가운데서 이 뱀만이 새끼를 낳는다[본초].
토도사(土桃蛇)
이 뱀의 빛깔은 누렇고 땅굴 속에서 산다. 가을이 되면 우는데 멀리에서도 그 소리를 들을 수 있다. 살을 발라서 구워 가루내어 술에 타 먹는다. 문둥병과 여러 가지 풍증을 치료한다[속방].
4.구인邱蚓,큰지렁이-巨蚓과 白頸구인-구인-地龍-흰테지렁이 PHERETIMA ASATICA 이다.맛은 짜고 성질은 차다.주로 사가-열격증의 한가지이다.즉 회충증으로 배안에 뱀모양으의 종물이 때때로 만져지면서 음식을 잘 먹지 못하는 병-을 치료하고 3충을 죽이며 복시,귀주,고독을 없애고 장충을 물이 되게 한다.내복시 5.55-11.1그램을 달여서 복용한다.또는 환제,산제로 하여 먹는다.외용시 짓찧거나 물에 녹이거나 가루내어 개어서 바른다.혈압을 내린다.
구인(지렁이)
성질이 차고[寒] 맛이 짜며[鹹] 독이 없다(독이 약간 있다고도 한다).
○ 사가(蛇瘕)㈜와 고독을 치료하고 3충을 없애며 회충을 죽인다.
[註] 사가(蛇瘕) : 식적과 충적으로 배에 뱀 비슷한 징가가 생겨서 때로 가슴으로 치밀어 올라 답답하고 음식을 먹지 못하는 증.
상한 때에 잠복된 열로 발광하는 것과 황달, 돌림열병, 후비, 뱀이나 벌레한테 물린 것을 치료한다.
○ 일명 지룡(地龍)이라고도 한다. 목에 흰 테를 두른 것은 늙은 것인데 이것을 약으로 쓴다. 음력 3월에 잡아서 흙을 뺀 다음 햇볕에 말려 약간 닦아서 가루내어 쓴다. 산것을 잡아 흙을 뺀 다음 소금을 치면 곧 물로 되는데 이것을 지렁이즙(地龍汁)이라고 한다.
○ 길가던 사람이 밟아서 죽은 것을 천인답(千人踏)이라고 하는데 이것을 불에 구워서 약으로 쓴다[본초].
○ 성질이 차서[寒] 열독을 잘 푸는데 신장풍(腎藏風)과 하주병(下疰病)에 없어서는 안 될 약이다. 반드시 소금 끓인 물에 타서 먹어야 한다[단심].
5.열옹蠮螉,나나니벌과 나나니벌-蜾臝EUMENES POMIFOMIS 이다.맛은 맵고 성질은 평하다.오랜 귀머거리와 기침을 치료하고 독기를 없애며 가시를 나오게 한다.내복시 볶아서 갈아서 복용한다.외용시 갈아서 개어 바른다.
얼옹
성질이 평(平)하고 맛이 매우며[辛] 독이 없다(독이 있다고도 한다). 오래된 귀머거리와 코가 메는 것을 치료하고 구역을 멎게 하며 참대나 나무가 찔려 박힌 것을 뽑아지게 한다. 이것이 바로 과라( 羸)이다. 일명 포로(蒲盧)라고도 한다. 허리가 가는 벌이다. 빛이 검고 허리가 가늘며 진흙으로 집담벽이나 어떤 물체에 붙어서 대롱을 여러 개 묶어 놓은 것 같은 집을 짓는다. 약으로는 볶아서 쓴다[본초].
6.오공吳蚣,왕지네과 왕지네-小棘巨소극거오공 SCOLAPENDRA SUBSPINIPES MUTILANS 이다. 맛은 맵고 성질은 따뜻하다.주로 귀주,고독을 치료하고 뱀,벌레,물고기의 독을 푼다.귀정물,늙은 도깨비의 정물을 죽이며 온학을 치료하고 3충을 몰아낸다.내복시 0.5-1.5돈을 달여 복용하거나 환제,산제로 복용한다.외용시 가루내어 개어서 바른다.임신부는 금기이다.혈압강하
오공(蜈蚣, 지네)
성질이 따뜻하고[溫] 맛이 매우며[辛] 독이 있다. 귀주(鬼疰), 고독, 사매(邪魅)와 뱀독을 치료하고 헛것을 없애며 3충(三蟲)을 죽이고 온학(溫瘧)과 명치 아래와 배에 뭉친 징벽(癥癖)을 낫게 하고 유산시키며 궂은 피[惡血]를 나가게 한다.
○ 흙이나 돌짬[石間], 썩은 풀잎이 쌓여 있는 곳, 지붕이나 벽짬[壁間]에서 사는데 등은 검푸른 빛이 나면서 번쩍거리고 발은 벌거며 배는 누렇고 대가리는 금빛이다. 그리고 발이 많은데 대가리와 발이 벌건 것이 좋다. 음력 7월에 잡아 햇볕에 말려서 쓰거나 구워서 쓴다.
○ 일명 즉저(蝍蛆)라고도 한다. 회남자(淮南子)가 즉저는 대(帶)를 맛있게 먹는다고 하였는데 대(帶)라는 것은 작은 뱀(小蛇)을 말한다. 왕지네(오공)는 뱀을 억누르는 성질을 가지고 있다. 뱀을 보기만 하면 곧 덮쳐서 골을 먹는다.
○ 왕지네는 활유를 무서워한다. 활유가 왕지네 몸에 닿기만 하여도 곧 죽는다. 그러므로 활유는 왕지네의 독을 푸는 것이다[본초].
○ 생강즙을 발라 구워서 대가리와 발을 버리고 가루내어 쓴다[입문].
○ 일명 천룡(天龍)이라고도 한다[유취].
7.수질水蛭,거머리과 거머리 HIRUDO NIPPONIA WHITMAN,寬體金線蛭관체금선질WHITMANIA PIGRA(WHITMAN),茶色蛭다색질W.ACRANULATA(WHITMAN)이다.맛은 짜고 성질은 평하다.주로 궂은피와 어혈을 몰아내고 혈기가 뭉친 것과 적취를 흩어지개 하며 월경이 중단된 것과 불임증을 치료한다.내복시 0.1-1돈을 환제,산제로 복용한다.외용시 살아있는 거머리를 환부에 놓아 피를 빨게 하거나 거머리의 체액을 이용한다.허약하고 피가 허하여 어혈이 없는 환자 및 임산부는 금기이다.
수질(水蛭, 거머리)
성질이 평(平)하고(약간 차다[微寒]고도 한다) 맛이 짜면서[鹹] 쓰고 독이 있다. 어혈(瘀血), 적취(積聚), 징가를 치료하고 유산시키며 오줌을 잘 나가게 한다. 월경이 나오지 않다가 혈로(血勞)가 되려고 하는 것도 치료한다.
○ 못에서 사는데 음력 5-6월에 잡아서 햇볕에 말린다.
○ 일명 마기(馬蜞), 마황(馬蟥)이라고도 한다. 혹 큰 것도 있는데 작은 것이 좋다. 사람이나 소, 말의 피를 빨아 먹어서 배가 똥똥해진 것이 좋다.
○ 거머리를 잡아 길게 늘어서 배에 있는 알을 버려야 한다. 거머리를 죽이기는 힘들다. 불에 구워서 1년 동안 두었던 것도 물을 만나면 다시 살아난다고 한다[본초].
○ 쌀 씻은 물에 하룻밤 담가 두었다가 햇볕에 말린 다음 잘게 썰어서 석회와 함께 누렇게 볶아 쓴다[득효].
8.반묘班苗-班蝥반모,원청과 가뢰-班蝥[남방대반모-중국가래 MYLABRIS PHALERATA,황흑소반모-띠띤가래 M.CICHORII]이다.성질은 맵고 차다.주로 한열증,귀주,고독,서루,옴,버짐,악창,저식창,굳은살을 치료하고 석림을 흩어지게 한다.마도를 사약으로 하고 파두,단삼,공청을 두려워하고 부청을 꺼린다.외용시 갈아서 가루내어 도포하거나 발포發泡시키거나 술,초에 담가서 먹는다.내복시 1-2釐리를 닦아서 구운 다음 가루내어 산제,환제에 넣어 쓴다.극독이 있으므로 내복시 신중해야 하고 허약자 및 임신부는 금한다.
반묘(斑猫,가뢰)
성질이 차고[寒] 매우며[辛] 독이 많다. 귀주, 고독을 치료하고 죽은 살을 썩여 내며 석림을 녹여 내고[破石淋] 오줌을 잘 나가게 한다. 또한 나력을 치료하고 유산하게 한다.
○ 콩꽃이 필 때에 콩잎 위에 많은데 길이는 5-6푼 정도이고 딱지 위에는 검누른 반점이 있다. 배는 거멓고 주둥이는 뾰족하며 크기는 파두만하다. 음력 7-8월에 잡아서 그늘에 말려 쓰는데 날개와 발을 버리고 찹쌀과 함께 넣어서 쌀이 누렇게 되도록 볶아 쓴다. 생것을 쓰면 토하고 설사한다[본초].
원청(芫靑,청가뢰)
성질이 약간 따뜻하고[微溫] 맛이 매우며[辛] 독이 있다. 크기는 반묘만한데 청록색이다. 음력 3-4월에 잡아서 햇볕에 말린다[본초].
9.패자貝子,寶貝과 자패-패치-貨貝 MONETARIA MONETA,環紋환문화패M.ANNULUS(L.) 이다.맛은 짜고 성질은 평하다.주로 눈의 예막,귀주,고독,배아픔,하혈,5가지 융병을 치료하고 수도를 좋게한다.구워서 복용하면 더 좋다.내복시 2-5돈을 달여서 (먼저 달여 두는 것이 좋다)복용한다.또는 산제로 복용한다.외용시 가루내어 뿌린다.
패자(貝子)
성질이 평(平)하고(서늘하다[凉]고도 한다) 맛이 짜며[鹹] 독이 있다. 5가지 임병을 치료하는데 오줌을 잘 나가게 하고 열기가 몰린 것을 헤치며 눈에 생긴 장애(障碍)를 낫게 한다.
○ 바다에 사는 조개 종류 가운데서 제일 작은데 물고기 이빨같이 희기 때문에 일명 패치(貝齒)라고도 한다.
○ 자패는 큰 것을 말한다. 작은 것을 패자라고 한다. 아무 때나 잡아서 쓴다.
○ 술에 씻어서 불에 구운 다음 보드랍게 가루내어 수비해서 쓴다[본초].
10.석잠石蠺,석잠과 석아石蛾 또는 그것과 유사한 곤충-물여우 PHRYGANEA JAPONICA ML.의 유충이다.맛은 짜고 성질은 차다.주로 5륭을 치료하고 석림을 부수며 낙태시키고 기가 모인 것을 속으로 삮히고 수도를 좋게하며 열을 제거한다.
11.작옹雀甕,쐐기나방과 쐐기나방-天漿子의 집-점사방 MONEMA FLAVESCENS WALKER이다.맛은 달고 성질은 평하다.주로 소아의 경간,한열증,기가 몰린 것,고독,귀주를 치료한다.내복시 환제,산제로 복용한다.
작옹(雀瓮, 쐐기벌레집)
성질이 평(平)하고 맛이 달며[甘] 독이 없다(독이 있다고도 한다). 어린이의 경간과 여러 가지 병을 치료한다.
○ 일명 천장자(天漿子)라고 하는 것이 바로 쐐기벌레집이다. 흔히 나뭇가지 위에서 사는데 생김새는 새알 같다. 그리고 자줏빛과 흰빛이 나는 반점이 있고 새끼는 독집 속에 있는데 그것은 마치 누에번데기가 고치 속에 있는 것과 같다. 음력 8월에 새끼를 잡아 쪄서 쓴다.
○ 이 벌레는 누에와 비슷하나 짧고 등에는 5가지 빛의 반점이 있다. 잔등에 있는 털로 사람을 쏘는데 독이 있다. 늙으면 입으로 허연 물을 토하는데 이것이 엉킨 것을 모아서 독집을 만든다. 새끼는 그 독집 속에 들어가 있는데 이것은 마치 고치 속에 번데기가 있는 것과 같다[본초].
○ 어린이의 경풍(驚風)을 치료하는 데 아주 좋다[입문].
12.강랑蜣蜋,풍뎅이과 말똥구리-길강蛣蜣 -시객랑屎虫各蜋CATHARSIUS MOLOSSUS 이다.맛은 짜고 성질은 차다.주로 소아경간과 계종,배가 불러오는 것,한열증,어른의 전질,광증을 치료한다.양뿔,석고를 두려워한다.내복시 1.11-2.96그램을 달여서 복용한다.또는 환제,산제로 하여 복용한다.외용시 가루내어 개어서 바르거나 혹은 짓찧어 바른다.임신부는 금한다.
강랑(말똥구리)
성질이 차고[寒] 맛이 짜며[鹹] 독이 있다. 어린이의 경간, 배가 불러 오르고 추웠다 열이 났다 하는 것, 어른의 전광(癲狂), 분돈(奔豚)을 치료하고 화살촉이 박힌 것을 나오게 하며 악창을 아물게 하고 유산하게 한다.
○ 일명 길랑(蛣螂)이라고도 하는데 곳곳에 다 있다. 소나 말똥 속에 잘 들어가며 그것을 둥글게 만들어 밀고 다닌다. 민간에서는 이것을 구환(推丸)이라고 하는데 큰 것을 잡아 쓴다. 코끝이 납작한 것이 제일 좋은 것이다. 이것을 약으로 쓰는데 날개와 발을 버리고 닦아서 약에 넣는다. 음력 5월에 잡아 쪄서 둬둔다. 쓸 때에는 구워서 쓴다. 그 가운데서 코끝이 높고 눈이 우묵한 것을 호강랑(胡蜣螂)이라고 하는데 제일 좋은 것이다[본초].
13.누고螻蛄,땅강아지과 땅강아지-도루래-土狗 GRYLLOTALPA AFRICANA 이다.맛은 짜고 성질은 차다.아이를 쉽게 낫게하고 살 속에 박힌 가시를 나오게 하며 옹종을 삭힌디.또 목안이 막힌 것을 낫게하고 해독하며 악창을 치료한다.기가 약하고 신체가 허약한자 및 임신부는 금한다.
누고(도루래)
성질이 차고[寒](서늘하다[冷]고도 한다) 맛이 짜며[鹹] 독이 없다(독이 있다고도 한다). 난산에 쓴다. 옹종(癰腫)을 삭히고 목구멍에 걸린 것을 내려가게 하며 악창을 낫게 하고 가시를 나오게 하며 부은 것을 내린다[본초].
○ 이 약은 소장이나 방광의 병에 효과가 아주 빠르다[강목].
○ 일명 곡(瑴)이라고도 하는데 민간에서는 토구(土狗, 하늘밥도둑)라고 한다. 어느 곳에나 다 있는데 두엄더미 밑의 흙에 구멍을 뚫고 산다. 밤에 나오는 것이 좋은데 하지가 지난 다음에 잡아서 햇볕에 말려 닦아서 쓴다. 허리에서부터 앞부분은 조여들게 하여 대소변이 지나치게 나가는 것을 멎게 하고 허리에서부터 뒤쪽 부분은 대소변을 잘 나가게 하는 약으로 쓴다[본초].
누고뇌(腦)
참대가시가 살에 찔려 박혀서 나오지 않을 때 바르면 곧 나온다[본초].
14.마륙馬陸,원마륙과 노래기-약안거마륙PROSPIROBOLUS JOANNSI (BROLEMANN) 혹은 마륙류의 전충이다.맛은 맵고 성질은 따뜻하다.주로 뱃속이 아주 단단해 지는 징癥과 적취를 부수고 궂은 살과 악창과 백독창을 치료한다.외용시 오래 바싹 달여서 고약을 만들어 쓰거나 갈아서 가루내어 쓰거나 짓찧어 바른다.독이 있어 내복시 신중해야 한다.
15.지담地膽,가뢰과 곤충 지담-땅가뢰MELOE COARCTATUS MOTSCH이다.맛은 맵고 성질은 차다.주로 한열,서루,악창,굳은 살을 치료하고 징가를 부수고 낙태시킨다.감초를 꺼린다.내복시 가루를 내어 환제,산제로 복용한다.외용시 갈아서 분말로 도포하거나 붙인다.수침하거나 술로 끓인 즙을 바른다.몸이 약하거나 임신부는 복용을 금한다.
지담(地膽,땅가뢰)
성질이 차고[寒] 맛이 매우며[辛] 독이 있다. 효능과 약 만드는 방법은 반묘와 같다.
○ 이 벌레가 음력 2-3월에 원화(芫花) 위에 있을 때에는 원청이라고 하고 6-7월에 칡꽃(葛花)에 있을 때에는 갈상정장(葛上亭長)이라고 하며 8월에 콩꽃(豆花) 위에 있을 때에는 반묘(斑猫)라고 한다. 9-10월에는 땅에 들어가서 숨기 때문에 이때에는 지담(地膽)이라고 한다. 이것은 한 가지 벌레이지만 계절에 따라 이름이 다르다[본초].
16.서부鼠婦,쥐며느리과 쥐며느리-平甲蟲 ARMADILLIDIUM VULGARE 이다.맛은 시고 성질은 따뜻하다.기륭으로 소변을 보지 못하는 것,월경이 중단된 것,혈가,간질,한열증을 치료하고 수도를 좋게한다.내복시 1-2돈을 달여서 보굥하거나 환제,산제로 쓴다.외용시 가루내어 개어서 바른다.임신부는 금한다.
서부(鼠婦)
성질이 따뜻하고[溫](약간 차다[微寒]고도 한다) 맛이 시며[酸] 독이 없다(독이 있다고도 한다). 기(氣)로 생긴 임병으로 오줌을 누지 못하는 것과 월경이 나오지 않는 것, 혈가(血瘕)를 치료하고 오줌을 잘 나가게 하며 유산하게 한다.
○ 또한 습생충(濕生蟲)이라고도 하는데 집 근처의 습기 있는 땅이나 질그릇 밑, 흙구덩이 속에서 산다. 쥐의 잔등에 언제나 있기 때문에 서부라고도 한다[본초].
○ 이것이 바로 지계(地鷄)라는 것인데 단오날에 잡아서 햇볕에 말린다[입문].
17.형화螢火,개똥벌레과 개똥벌레-반딧불 LUCIOLA VITTICOLLIS 이다.맛은 맵고 성질은 미지근하다.주로 눈을 밝게하고 어린이가 불에 덴데나 뜨거운 것에 상한 데 쓰며 고독,귀주를 없애고 정신을 맑게한다.
형화(螢火, 반딧불)
성질이 약간 따뜻하고[微溫] 맛이 매우며[辛] 독이 없다. 눈을 밝게 하고 청맹과니[靑盲]와 고독, 귀주를 치료하며 정신이 좋아지게 한다.
○ 일명 야광(夜光)이라고도 하는데 썩은 풀 속에서 생겨난다. 대서 전후에 많이 날아다닌다. 이것은 여름의 더운 기운을 받아 그것을 불빛으로 변화시켜 밝게 비치게 한다. 음력 7월 7일에 잡아 술에 넣어 죽여서 말린다[본초].
18.의어衣魚,반대좀과 반대좀-좀LEPISMA SACCHARINA L.이다.맛은 짜고 성질은 따뜻하다.독이 없다.부인의 산가,소변을 잘 보지 못하는 것을 치료하며 소아가 중풍[御覽:頭風]으로 목과 등이 뻣뻣해지는 데[어람:彊] 문질러준다.내복시 달이거나 산제로 복용한다.외용시 가루내어 개어서 바른다.혹은 점안한다.
의어(衣魚, 옷좀)
성질이 따뜻하고[溫] 맛이 짜며[鹹] 독이 없다(독이 있다고도 한다). 부인의 산가(疝瘕)와 오줌이 잘 나오지 않는 것, 어린이가 중풍으로 목이 뻣뻣해진 것, 임병을 치료하는데 오줌을 잘 나가게 한다. 그리고 유산하게 하며 헌데의 흠집을 없앤다.
○ 일명 벽어(壁魚)라고도 하는데 옷 속에 많다. 그리고 책 가운데나 오랫동안 둬두었던 비단 속에도 많다. 몸뚱이에는 가루가 두텁게 있는데 손으로 만지면 떨어진다. 생김새가 마치 물고기와 비슷하기 때문에 의어라고도 한다. 아무 때나 잡아서 쓴다[본초].
댓글 없음:
댓글 쓰기